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사진]

발간사 / 李順龍

목차

1. 개항기 저항 운동 11

가. 발단배경 11

나. 부산지방민의 저항 15

1) 일, 군함 봉상함(鳳翔艦)사건(1876. 4) 15

2) 부산 해관 수세사건(1878. 9) 15

3) 쌀판매 거절사건(1884. 10) 16

4) 선창가 투쟁사건(1886. 6) 17

5) 일본감수소(日本監守所) 여인 납치사건(1886. 9) 18

다. 주변지역 저항 18

1) 동학농민 전쟁과 부산항(1894. 1~) 18

2) 의병장 최익현 운구사건(1906. 11) 20

2. 애국계몽운동 23

가. 운동개요 23

나. 교육구국운동 24

1) 동래 기영회(耆英會)의 선구적 역할 25

2) 노동야학교 설립 29

다. 국채보상운동 30

1) 부산 상무회원의 선구적 역할 31

2) 우리고장 진원지(震源地)인 동래부 일심회 32

3) 여성이 남성보다 앞장서 32

라. 비밀결사 조직운동 36

1) 대동청년단의 결성 36

2) 대동청년단의 활동 38

3. 三.一독립운동 45

가. 운동개요 45

나. 부산진 일신여학교(日新女學校) 3.1운동 51

다. 동래고보(東萊高普) 학생 의거 61

라. 동래 범어사(梵魚寺) 학생의거 67

마. 구포(龜浦) 장터 의거 83

바. 기장(機張)의거 91

사. 좌천(佐川)시장 의거 95

아. 일광(日光)의거 102

자. 명호시장(鳴湖市場) 의거 107

차. 가덕진(加德鎭) 의거 109

카. 계속되는 시위운동 111

4. 임시정부 수립과 우리고장 121

가. 활동개요 121

나. 임시정부 자금 조달과 첩보총책 白山 安熙濟 124

1) 신학문 배움과 교육 보급 125

2) 대동청년단 조직 126

3) 연해주 망명 126

4) 백산상회 설립 127

5) 임시정부를 통한 활동 127

6) 1920년대 항일운동 128

7) 발해(渤海)농장의 설립과 대종교 활동 130

다.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역임한 宵海 張建相 135

1) 上海서 독립운동 참여, 망명자 인도 136

2) 임시정부 수립의 산파역 담당 136

3) 조선공화정부 외무총장에 선임 137

4) 『레닌』 만나 독립운동자금 요청 137

5) 남지나(南支那) 독립운동 단체의 단합 주도 138

6) 上海서 일경에 체포, 부산경찰서 감금 138

라. 임시정부 재무부장을 역임한 金甲(이명 瑨源) 144

1) 3.1운동 경상도 연락책임자 144

2) 상해임시정부 설립 초기 활동 144

3) 조선공화정부 재무총장 역임 144

4) 위임통치 청원 통박(痛駁) 등 활약 145

5) 임시정부 재무부장 등 역임 145

마. 임시정부 재정 문제 해결사 石山 尹顯振 146

1) 조선유학생 학우회 조직 항일 투쟁 146

2) 안희제 선생과 白山商會서 함께 일해 146

3) 3.1운동후 상해 망명 147

4) 임시정부 초대 재무차장에 피임(1919~1921) 147

5) 울분과 고초로 병얻어 29세로 순국 148

바. 초대 駐佛대사 徐嶺海(이명 義洙) 148

1) 3.1운동으로 수배중 상해 도피 149

2) 임정요인 주선 프랑스 유학 149

3) 고려 통신사 차려 신문기자 활동 149

4) 외교활동 등 초대 駐佛대사 임명 150

5) 임시정부대표 선전포고문 발송 151

6) 상해로 되돌아가 행방불명 151

사. 임시정부 경남 간부·간사장 鄭寅贊 152

1) 3.1독립만세 부르다 석달 옥고치러 152

2) 임시정부 경남간부·간사장으로 활동 152

3) 독립자금 조달위해 海東商會 설립 153

4) 이국땅에서 망국의 설움달래 153

5) 정미소 요정차려 독립운동 153

6) 고문여독으로 가출옥 3일만에 순국 154

5. 의열투쟁 155

가. 활동개요 155

나. 朴載赫의 부산경찰서 폭파사건 157

1) 의열단 가입 독립운동 투신 157

2) 중국 고서적상으로 가장 하시모도 서장과 면담 성사 158

3) 대구복심원에서 사형언도받아 158

4) 기념조형물 건립 159

다. 朝鮮義勇隊 부녀복무단장 朴次貞 166

1) 중국망명 의열단장 金元鳳과 결혼 166

2) 군사간부학교 교관으로 활동 167

3) 조선의용대 부녀 복무단장으로 활동 168

4) 곤륜산 전투참가 부상으로 사망 168

6. 근로대중의 항일운동 171

가. 운동개요 171

나. 1920년대 전반기 근로대중의 항일운동 173

다. 1920년대 후반기 근로대중의 항일운동 180

라. 1930년대 근로대중의 항일운동 185

7. 사회·문화운동 191

가. 운동개요 191

나. 민족자본가에 의한 사회 문화운동 192

1) 조선인 회사 설립 192

2) 기미 육성회 조직활동 193

3) 부산 예월회 조직활동 193

다. 청년단체에 의한 사회 문화운동 195

1) 주택문제 개선운동 196

2) 조선가스전기회사 항의운동 197

3) 물산장려운동 198

4) 노동자 도일저지 철폐운동 199

라. 1920년대 후반기 사회문화운동 200

1) 신간회 활동 201

2) 근우회 활동 202

3) 기타 운동(언론·종교) 203

마. 식민지 교육에 대한 저항운동 204

1) 맹휴·격문항쟁 205

8. 일제말기 학생 항일운동 209

가. 운동개요 209

나. 노다이 사건 213

1) 발단경위 213

2) 전개과정 217

3) 주동학생 피검 221

다. 조선독립당 225

1) 발단경위 225

2) 전개과정 226

3) 주동학생 피검 228

라. 순국당 229

1) 발단경위 229

2) 전개과정 230

3) 주동학생 피검 234

맺는말 243

參考文獻 245

부록 251

우리고장 독립유공포상자 현황 및 명단 253

판권기

이용현황보기

釜山獨立運動史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837707 951.61 ㅂ431ㅂ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