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제지=0,1,1

머리말/국회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 박성범=0,2,1

차례=i,3,1

표목차=ii,4,1

Ⅰ. 연구 목적 및 배경=1,5,4

Ⅱ. 새로운 안보개념과 안보환경=5,9,1

1. 새로운 안보개념=5,9,4

2. 안보환경의 중요성=9,13,2

Ⅲ. 한반도 주변의 안보상황=11,15,1

1. 동북아시아 주변국들이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비중=11,15,4

2. 냉전기 당시 동북아 안보상황=15,19,2

3. 탈냉전기 동북아 안보상황=16,20,6

4. 9.11 테러 이후 동북아 안보상황의 변화=21,25,5

Ⅳ. 한국 안보상황의 변화=26,30,1

1. 냉전기 한국의 안보상황=26,30,2

2. 탈냉전기 한국의 안보상황=27,31,8

3. 김대중 정부 출범이후 한국 안보상황의 변화=35,39,6

Ⅴ. 한ㆍ미 동맹관계의 변화=41,45,1

1. 동맹의 정의와 특성=42,46,5

2. 냉전기 당시의 한ㆍ미 동맹=46,50,6

3. 탈냉전기 한ㆍ미 동맹=51,55,4

4. 김대중 정부 출범이후 한ㆍ미 동맹관계의 변화=54,58,10

Ⅵ. 주한미군의 역할 및 성격 변화=64,68,2

1. 냉전기 미국의 세계전략과 주한미군의 역할=65,69,7

2. 탈냉전기 미국의 세계전략과 주한미군의 역할=71,75,3

3. 주한미군의 현주소=73,77,3

4. 미국의 안보ㆍ군사전략의 변화와 군사혁신=75,79,7

5. 주한미군 감축 및 재배치 현황과 문제점=81,85,17

Ⅶ. 한국 안보상황의 진단과 대안=98,102,1

1. 한국의 안보와 한ㆍ미 동맹=98,102,5

2. 한ㆍ미 동맹의 필요성과 발전적 변화를 위한 대안=103,107,7

표목차

(표1) 한ㆍ미 동맹의 미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4,8,1

(표2) 총체적 포괄적 국가안보개념=7,11,1

(표3) 동북아 국제질서 변화에 따른 한반도 안보상황=14,18,1

(표4) 9.11 테러 이후 동북아 4강의 안보전략의 변화=25,29,1

(표5) 탈냉전 화해협력시대 한반도의 안보위협구조=28,32,1

(표6) 북한의 군사력=29,33,1

(표7) 한반도 비군사 안보의 위협과 취약성=34,38,1

(표8) 남북한 인적 교류 현황=37,41,1

(표9) 국가안보에 위협을 주는 요인=38,42,1

(표10) 북한에 대한 인식=38,42,1

(표11) 한국 국민들의 통일관=39,43,1

(표12) 한ㆍ미 동맹관계 반세기의 변천 과정=48,52,1

(표13) 냉전시대 한ㆍ미 동맹관계의 평가=50,54,1

(표14) 냉전시대와 탈냉전시대의 한ㆍ미 동맹관계 비교=54,58,1

(표15) 북한의 도발 가능성=57,61,1

(표16) 한ㆍ미 동맹에 관한 인식 여론조사=58,62,1

(표17) 주변4강 중 우리나라 통일에 적대적ㆍ우호적인 국가=59,63,1

(표18) 미국의 동아시아 3대 동맹 비교=60,64,1

(표19) 미 국무부 라이스 정책실장의 아시아 각국 평가=61,65,1

(표20) 주한미군 감축사=74,78,1

(표21) A. 주한미군 병력현황(2003년 기준)=75,79,1

(표21) B. 병력 규모(2003년 기준)=75,79,1

(표22) 새로 발표된 미 행정부의 주요 국방 전략=79,83,1

(표23) 미국의 동북아 미군 재편안=81,85,1

(표24) 주한미군 주요 전투부대 감축 및 증강계획=82,86,1

(표25) 미국이 제시한 주한미군 감축 세부안=82,86,1

(표26) 주한미군 감축 최초 미 통보안과 한ㆍ미 타결안 비교=84,88,1

(표27) 주한미군 감군과 주요 한ㆍ미간 안보일정=85,89,1

(표28)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위협권=89,93,1

(표29) 주한미군 '10대 군사임무'의 한국군 이양 계획=92,96,1

이용현황보기

韓國 安保狀況의 診斷과 代案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053935 355.00951 ㅂ199ㅎ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