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발간사
책머리에

제1부 4월혁명의 지역적 기원과 전개
제1장 대구의 2 28과 4 19혁명 l 김태일
제2장 대전 충남지역 4월혁명의 발발 l 허종
제3장 3 15마산의거의 지역적 기원과 전개 l 이은진
제4장 서울에서의 4월혁명

제2부 4월혁명의 발전
제1장 4월혁명 직후 학생운동의 '후진성'극복 지향과 동요 l 오제연
제2장 4 19혁명 직후 노동운동과 민주주의 이행
제3장 4월혁명 직후 진행된 각 정파의 경제발전 지향을 둘러싼 제논의 l 조석곤
제4장 4월혁명과 미국 : 한국 정치변동과 미국의 개입양식 l 정일준

제3부 4월혁명과 정치 사회변화
제1장 4월혁명 직후 군대와 경찰 l 노영기
제2장 4월혁명과 부정축재 처리문제 l 박진희
제3장 4 19혁명 시기 민주당에 대한 분석 l 박태균
제4장 4월혁명과 언론의 변화 l 박용규
제5장 한국문학에 나타난 4월혁명 l 임헌영
제6장 영화와 혁명 -반경험으로서의 영화- l 김선아

제4부 4월혁명의 계승과 제도화
제1장 4월혁명의 순환구조와 6 3항쟁 l 조대엽
제2장 4월혁명 기억의 제도화와 사회적 결과 l 홍성태

찾아보기
필자소개

이용현황보기

4월혁명과 한국민주주의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581225 951.724 -10-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581226 951.724 -10-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4월혁명은 식민지 체제를 경험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시기에 터져 나온 시민혁명이자 아시아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증명한 기념비적 사건이었다. 대한민국의 헌법 전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4월혁명은 한국현대사를 민주주의의 승리의 역사로 만들어간 출발점이자 정의가 살아있음을 깨우쳐주는 이정표이다. 4월혁명은 1970년대 권위주의적 독재체제하에서 새롭게 자라나는 학생들에게는 민주주의의 가치를 각인시키고, 직접 혁명에 참여했던 4·19세대들에게는 끊임없이 민주주의적 가치에 충실할 것을 요구했던 사상적 죽비라고 할 수 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4월혁명 50주년을 맞이하여 4월혁명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현재까지 연구가 미진한 주제들을 예비적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지역에서의 시위를 거쳐 4월혁명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좀 더 뚜렷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승만 대통령 하야 이후 학생들의 동향에 대한 엄밀한 분석을 통해 당시 학생운동진영이 생활계몽운동과 통일운동으로 양분된 것이 아니라 상호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었음을 밝혀냈다. 또 4월혁명 이후 폭발적으로 전개된 노동운동계의 투쟁과제를 분석함으로써 당시 노동운동진영이 어떠한 이념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밝혔다. 4월혁명이 언론계와 문학, 영화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지만, 역기능도 하였음을 밝히고, 4월혁명 기억의 제도화과정을 분서함으로써 앞으로 4월혁명을 어떻게 기억하고 계승해야 되는지에 대한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