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보 설치구간 퇴적환경 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 2011년(1년차) 보고서. 1 / 한강수계관리위원회,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편] 인기도
발행사항
양평군 :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2011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형태사항
xx, 174 p. : 삽화, 표 ; 30 cm
총서사항
한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 ; 2011
제어번호
MONO1201225993
주기사항
연구기관: 연세대학교
연구책임자: 강호정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22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2

1. 연구의 목적 22

2. 연구의 필요성 22

제2절 연구사업의 내용 및 범위 24

1. 조사연구사업의 내용 24

2. 사업범위 24

제2장 국내·외 연구 현황 25

제3장 조사연구 수행 내용, 방법 및 범위 38

제1절 수계유역현황 38

1. 일반현황 38

2. 기상현황 66

3. 토지이용 변화분석 71

제2절 대상유역 현황 72

1. 대상유역 72

2. 수질 오염원 현황 73

3. 환경기초시설 현황 81

제3절 대상유역 오염부하량 83

1. 발생부하량 현황 및 변동추이 83

2. 배출부하량 현황 및 변동추이 92

제4절 시료 채취 및 분석방법 101

1. 시료 채취 지점의 선정 101

2. 시료의 분석 106

제5절 정도보증/정도관리 119

1. 퇴적물 분석 정도관리 119

2. 정도관리 분석방법 119

제4장 연구결과 및 고찰 128

제1절 수계유역현황 128

1. 일반현황 128

2. 기상현황 129

3. 토지이용 변화분석 129

제2절 대상유역 현황 130

1. 대상유역 130

2. 수질 오염원 현황 130

3. 환경기초시설현황 131

제3절 대상유역 오염부하량 132

1. 발생부하량 현황 및 변동추이 132

2. 배출부하량 현황 및 변동추이 132

제4절 시료채취 지점의 선정 133

제5절 수질조사항목 136

1. 현장측정 조사항목 136

2. 수질시료 분석결과 137

제6절 하천 퇴적물 이화학적 특성 138

1. 하천 퇴적물 이화학적 특성 분석항목 138

제7절 하천 퇴적물 오염물질량 조사 155

1. 하천 퇴적물 오염물질량 분석항목 155

제8절 정도보증/정도관리 180

1. 퇴적물 분석 정도관리 180

2. 정도관리 물질 분석결과 181

제5장 결론 183

제6장 조사연구결과의 활용방안 186

제7장 조사연구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187

제1절 연구개발 목표 및 달성도 187

1. 조사 연구 목표 187

2. 조사 연구 대상 및 범위 187

3. 달성도 188

제2절 대외기여도 189

참고문헌 190

표 2.1.1-1. 수중보 설치제원(1997) 28

표 2.1.1-2. 남한강 수표면적 변화(1997) 30

표 2.1.1-3. 수중보 설치지점의 모델링 결과(1997) 31

표 2.1.1-4. 한강의 오염 퇴적물 준설 기준(서울시 1993) 34

표 2.1.1-5. 호소의 퇴적물 준설 기준 (환경부 1993) 34

표 2.1.1-6. 하상퇴적물 내 중금속 목표수준과 우려수준 설정을 위한 비교 36

표 3.1.1-1. 남한강하류 소권역 유역특성 40

표 3.1.1-2. 남한강하류 하천특성 41

표 3.1.1-3. 남한강하류 중권역 하천현황 42

표 3.1.1-4. 남한강하류 하천 및 호소 수질측정망 지점 53

표 3.1.1-5. 년도별 남한강하류유역 수질현황 54

표 3.1.1-6. 남한강하류유역 특성 60

표 3.1.1-7. 토양분석 명칭 61

표 3.1.1-8. 남한강하류유역 행정구역 현황 61

표 3.1.1-9. 남한강하류 중권역 행정구역 현황 61

표 3.1.2-1. 남한강수계내 기상청 관측소 현황 67

표 3.1.2-2. 이천관측소의 월별 기상자료(1979~2008년) 67

표 3.1.2-3. 양평관측소의 월별 기상자료(1979~2008년) 69

표 3.1.3-1. 남한강하류 토지피복현황 71

표 3.2.1-1. 남한강하류유역 행정구역별 현황 72

표 3.2.2-1. 2006년 소권역별 생활계 오염원 현황 73

표 3.2.2-2. 2006년 행정구역별 생활계 오염원 현황 74

표 3.2.2-3. 2006년 소권역별 폐수배출업소 현황 75

표 3.2.2-4. 2006년 행정구역별 폐수배출업소 현황 76

표 3.2.2-5. 2006년 행정구역별 산업계 오염원 현황 77

표 3.2.2-6. 2006년 소권역별 산업계 오염원 현황 77

표 3.2.2-7. 2006년 소권역별 축산계 오염원 현황 78

표 3.2.2-8. 2006년 행정구역별 축산계 오염원 현황 79

표 3.2.2-9. 2006년 소권역별 토지이용 현황 80

표 3.2.2-10. 2006년 행정구역별 토지이용 현황 80

표 3.2.3-1. 환경기초시설 현황 81

표 3.2.3-2. 공공하수처리시설(500톤/일 이상) 현황 81

표 3.2.3-3.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현황 82

표 3.2.3-4. 분뇨처리시설 현황 82

표 3.3.1-1. 행정구역별 BOD 발생부하량 83

표 3.3.1-2. 행정구역별 TN 발생부하량 86

표 3.3.1-3. 행정구역별 TP 발생부하량 89

표 3.3.2-1. 행정구역별 BOD 배출부하량 92

표 3.3.2-2. 행정구역별 TN 배출부하량 95

표 3.3.2-3. 행정구역별 TP 배출부하량 98

표 3.4.1-1. 하천·호소 퇴적물 측정망 지점 선정 101

표 3.4.1-2. 1차년도 측정망 구성 및 시료채취 실시 102

표 3.4.2-1. 남한강 유역 수질조사 항목 및 방법 107

표 3.4.2-2. 남한강 유역 퇴적물 조사 항목 및 방법 108

표 3.4.2-3. 남한강 유역 중금속 조사 항목 및 방법 115

표 3.5.2-1. 남한강 유역 퇴적물 조사 항목 및 방법 120

표 4.4.1-1. 각 보 구간 시료채취 지점의 접근방법 133

표 4.4.1-2. 보 설치 전후 시료채취 지점의 GPS 좌표 135

표 4.5.1-1. 조사지점의 현장측정항목 136

표 4.5.2-1. 보 설치 후 수질시료분석결과 137

표 4.5.2-2. 보 설치 후 수질 상류2km와 하류2km의 농도비 비교 138

표 4.6.1-1. 보 설치 전 입도분포 139

표 4.6.1-2. 보 설치 후 입도분포 140

표 4.6.1-3. 보 설치 전 함수율 140

표 4.6.1-4. 보 설치 후 함수율 141

표 4.6.1-5. 완전연소가능량 상류2km와 하류2km의 농도비 비교 143

표 4.6.1-6. 화학적산소요구량 상류2km와 하류2km의 농도비 비교 145

표 4.6.1-7. TOC 상류2km와 하류2km의 농도비 비교 147

표 4.6.1-8. TP 상류2km와 하류2km의 농도비 비교 149

표 4.6.1-9. SRP 상류2km와 하류2km의 농도비 비교 151

표 4.6.1-10. TP와 SRP의 농도비 비교 152

표 4.6.1-11. TN 상류2km와 하류2km의 농도비 비교 153

표 4.7.1-1. 보 설치 전 시료 퇴적물 내 중금속 원소 농도 156

표 4.7.1-2. 보 설치 전 시료 퇴적물 내 보존성 원소 농도 156

표 4.7.1-3. 보 설치 후 시료 퇴적물 내 중금속 원소 농도 157

표 4.7.1-4. 보 설치 후 시료 퇴적물 내 보존성 원소 농도 157

표 4.7.1-5. 보 설치 전후 중금속 농도비 160

표 4.7.1-6. 보 설치 전 강천보 지점의 중금속 평균 농도 161

표 4.7.1-7. 보 설치 후 강천보 지점의 중금속 평균 농도 161

표 4.7.1-8. 보 설치 전 여주보 지점의 중금속 평균 농도 167

표 4.7.1-9. 보 설치 후 여주보 지점의 중금속 평균 농도 167

표 4.7.1-10. 보 설치 전 이포보 지점의 중금속 평균 농도 173

표 4.7.1-11. 보 설치 후 이포보 지점의 중금속 평균 농도 173

표 4.7.1-12. 보 설치구간 중금속 농도 수준 비교 179

표 4.8.1-1. 정도관리 항목별 분석방법 180

표 4.8.2-1. ERA 시료분석 결과 182

그림 2.1.1-1. 경기도 내 보 현황 26

그림 2.1.1-2. 고정보 단면도(1997) 29

그림 2.1.1-3. 수중보 계획평면도(1997) 29

그림 2.1.1-4. 가동보 단면도(1997) 30

그림 2.1.1-5. 보 설치 전후 수위변화(1997) 31

그림 2.1.1-6. 보 설치 후 수면폭 변화(1997) 32

그림 2.1.1-7. 보 설치 후 유속 변화(1997) 32

그림 2.1.1-8. 중금속 수계 내 퇴적물 공극수, 생물간 거동 모식도 35

그림 3.1.1-1. 남한강하류 소권역 39

그림 3.1.1-2. 남한강하류 중권역 하천도 52

그림 3.1.1-3. 한강유역 대표수질측정망 BOD경향 그래프 57

그림 3.1.1-4. 한강유역 대표수질측정망 T-N경향 그래프 58

그림 3.1.1-5. 한강유역 대표수질측정망 T-P경향 그래프 58

그림 3.1.1-6. 남한강하류 수질측정망 59

그림 3.1.2-1. 이천관측소의 월평균 기온 68

그림 3.1.2-2. 이천관측소의 월평균 강수량 68

그림 3.1.2-3. 양평관측소의 월평균 기온 70

그림 3.1.2-4. 양평관측소의 월평균 강수량 70

그림 3.2.1-1. 남한강하류유역 행정구역 72

그림 3.4.1-1. 강천·여주·이포보 시료채취 지점 103

그림 3.4.1-2. 시료채취 대상지점의 조사 104

그림 4.6.1-1. 보 설치 전 함수율 141

그림 4.6.1-2. 보 설치 후 함수율 142

그림 4.6.1-3. 보 설치 전 완전연소가능량 143

그림 4.6.1-4. 보 설치 후 완전연소가능량 144

그림 4.6.1-5. 화학적산소요구량과 완전연소가능량과의 상관관계 145

그림 4.6.1-6. 보 설치 전 화학적산소요구량 146

그림 4.6.1-7. 보 설치 후 화학적산소요구량 146

그림 4.6.1-8. 보 설치 전 용존유기탄소 148

그림 4.6.1-9. 보 설치 후 용존유기탄소 148

그림 4.6.1-10. 보 설치 전 T-P 150

그림 4.6.1-11. 보 설치 후 T-P 150

그림 4.6.1-12. 보 설치 전 SRP 152

그림 4.6.1-13. 보 설치 후 SRP 153

그림 4.6.1-14. 보 설치 전 총질소 154

그림 4.6.1-15. 보 설치 후 총질소 154

그림 4.7.1-1. 보 설치 전 Cr, Cu, Pb, As, Zn, Ni 농도 158

그림 4.7.1-2. 보 설치 후 Cr, Cu, Pb, As, Zn, Ni 농도 158

그림 4.7.1-3. 보 설치 전 Cd, Hg 농도 159

그림 4.7.1-4. 보 설치 후 Cd, Hg 농도 159

그림 4.7.1-5. 보 설치 전후 강천보 Cr 농도 162

그림 4.7.1-6. 보 설치 전후 강천보 Cd 농도 162

그림 4.7.1-7. 보 설치 전후 강천보 Cu 농도 163

그림 4.7.1-8. 보 설치 전후 강천보 Pb 농도 163

그림 4.7.1-9. 보 설치 전후 강천보 As 농도 164

그림 4.7.1-10. 보 설치 전후 강천보 Zn 농도 164

그림 4.7.1-11. 보 설치 전후 강천보 Ni 농도 165

그림 4.7.1-12. 보 설치 전후 강천보 Hg 농도 165

그림 4.7.1-13. 보 설치 전후 여주보 Cr 농도 168

그림 4.7.1-14. 보 설치 전후 여주보 Cd 농도 168

그림 4.7.1-15. 보 설치 전후 여주보 Cu 농도 169

그림 4.7.1-16. 보 설치 전후 여주보 Pb 농도 169

그림 4.7.1-17. 보 설치 전후 여주보 As 농도 170

그림 4.7.1-18. 보 설치 전후 여주보 Zn 농도 170

그림 4.7.1-19. 보 설치 전후 여주보 Ni 농도 171

그림 4.7.1-20. 보 설치 전후 여주보 Hg 농도 171

그림 4.7.1-21. 보 설치 전후 이포보 Cr 농도 174

그림 4.7.1-22. 보 설치 전후 이포보 Cd 농도 174

그림 4.7.1-23. 보 설치 전후 이포보 Cu 농도 175

그림 4.7.1-24. 보 설치 전후 이포보 Pb 농도 175

그림 4.7.1-25. 보 설치 전후 이포보 As 농도 176

그림 4.7.1-26. 보 설치 전후 이포보 Zn 농도 176

그림 4.7.1-27. 보 설치 전후 이포보 Ni 농도 177

그림 4.7.1-28. 보 설치 전후 이포보 Hg 농도 177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보 설치구간 퇴적환경 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II. 조사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최근 국내의 하천 환경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이는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하천 퇴적물의 준설과 보(weir)의 설치와 연관되어 있다. 특히 보의 설치는 주변 수체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물을 정체시켜 퇴적물의 축적량을 증가시키고 부영양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사업의 1차년도 목표는 보가 건설되는 남한강수계 강천보·여주보·이포보 설치구간에 대한 퇴적물의 이화화적인 특성을 조사하여 퇴적물의 환경질(Sediment Quality)을 평가하고, 보 인접지점의 하상퇴적물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있다. 건설 중인 보 인접지역을 선정하여 퇴적물을 조사·채취·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상퇴적물에 대한 이화학적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III. 조사연구의 내용 및 범위

1. 조사연구사업의 내용

□ 수질 조사항목

- 수층의 수심 조사

- 용존산소량(DO) 조사

- 전기전도도 조사

- GPS 좌표

- 탁도 조사

- SS 조사

- TP, PO₄-P 조사

- TN, NH₃-N, NO₃-N 조사

□ 하천 퇴적물 이화학적 특성조사

- 퇴적물 입도 조사

- 함수율 조사

- 완전연소 가능량 조사

- 퇴적물의 화학적 산소요구량(CODsed) 조사

- 총 유기탄소(TOC) 조사

- 총 질소(TN), 총 인(TP) 조사

- 수용성 인(SRP) 조사

□ 하천 퇴적물 오염물질량 조사

- 중금속원소(Pb, Zn, Cu, Cr, Ni, As, Cd, Hg)조사

- 보존성원소(Al, Li)조사

2. 사업범위

□ 연구의 시간적 범위: 2011년 5월~12월(보 설치 전/후 2회 실시)

□ 연구의 공간적 범위: 강천보, 여주보, 이포보 인접지역

IV. 조사연구결과

1. 수계유역현황

남한강 중권역의 유역현황은 청미천 합류점부터 남한강하구까지의 구간으로 행정구역상 충북 음성군(9%)와 경기도 양평군(29%), 여주군(28%), 이천시(22%), 용인시(6%), 안성시(5%), 광주시(1%) 등 2개 도, 7개 시·군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유역면적은 2,072.72㎞² (한강유역 23,292.83㎞²의 8.9%에 해당), 유역둘레, 유역평균폭, 유역평균표고, 유역 평균경사, 수계빈도, 수계유지 등을 조사한다. 남한강하류 중권역의 수질수계현황은 내 총 34개(하천16, 호소2, 농업용수 16) 수질 측정망이 설치되어 있으며 분석 결과 양화천, 복하천, 청미천3, 이포지점의 BOD, TN, TP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 밖에도 수질수계현황, 토양 및 지질, 행정구역현황, 기상현황 등을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를 통해 조사하였다.

2. 대상유역현황

전국오염원조사자료 및 지자체 통계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2006년을 기준으로 조사하였으며, 행정구열별 자료를 유역에 포함되는 면적점유율에 따라 배분하여 유역별 생활계, 산업계, 축산계, 토지계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남한강하류 중권역내의 환경기초시설에는 공공하수처리시설 17개소,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2개소, 분뇨처리시설 4개소 운영 중이며 공공하수처리시설(500m³/일 이상 하수처리시설)의 경우 '07년기준 남한강하류 중권역내 공공하수처리장은 양평, 이천, 여주 등 총 17개소가 운영 중에 있다.

3. 대상유역 오염부하량

수집·작성된 오염원자료를 기초로 하여 남한강하류 유역의 발생 및 배출부하량을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토지이용계에 대해 BOD, TN, TP의 발생량 산정, 배출량 산정을 하였다. 본 자료는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에 기초한다.

4. 시료 채취 지점의 선정

사전답사를 통해 현장 접근의 용이성을 파악하고, 보 설치 전 6월 시료채취 시 지역어민의 도움을 받아, 시행착오법을 통하여 시료채취 지점을 결정하였고, 시료의 동질성 확보를 위해 2차 시료채취 시에는 보 설치 전 시료 채취점을 최대한 활용하였다.

□ 사전답사 : 2011년 5월 26일

□ 보 설치 전 1차시료 채취 : 2011년 6월 21일~6월 23일(보 완공률 95%)

□ 보 설치 후 2차시료 채취 : 2011년 9월 29일~10월 1일(보 시범가동)

본 연구진은 보 설치구간 퇴적물 시료채취를 수행하기 위해 지역 어민의 보트를 빌려서 시료 채취에 이용하였으며, 시행시료 채취시 준설지역과 강의 폭 변화 적합한 시료채취 지점 등에 관해 지역 어민과의 협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보 설치 전 시료채취 중 이포보 하류 2km 이내 지역은 당일 오후부터 한달 간 장마가 시작되어 불가피하게 시료채취를 할 수 없게 되었다. 본 시료 채취는 2차년도 연구와 퇴적물 측정망 운영에도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되며, 시료의 분석방법은 하천·호소 퇴적물 측정망 메뉴얼을 따른다.

5. 수질현장 조사항목

현장 측정 조사항목으로 수층의 수심, 수온, 용존산소량(DO), 수소이온지수(pH), 전기전도도를 조사하였고, 보 설치 전 퇴적물 시료 분석결과 수질시료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실시하였다. 수질분석은 탁도, SS, 총인, 인산염인, 총질소,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에 대해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보 상·하류의 뚜렷한 차이는 대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며 경향 또한 보이지 않았다. 이는 지류 등 수체의 이동으로 인한 영향이 컸으리라 판단된다.

6. 하천 퇴적물 이화학적 특성

시료채취 현장에서 수질현장측정항목을 측정하였으며, 채취된 퇴적물은 실험실 분석을 통해 퇴적물 입도, 함수율, 완전연소가능량, 화학적 산소요구량(CODsed), 총 유기탄소(TOC), 총 인(TP), 총 질소(TN), 수용성인(SRP), 중금속(Pb, Zn, Cu, Cr, Ni, As, Cd, Hg), 보존성 원소(Al. Li)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퇴적물 분석결과, 강천보, 여주보, 이포보의 입도는 Sand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강천보, 여주보, 이포보의 토질은 Clay함유량이 낮아 유기물, 영양염류농도, 화학적 산소요구량 등이 낮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실제 완전연소가능량 10%미만, 화학적산소요구량 1% 미만으로 그 값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완전연소가능량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보 설치 전과 보 설치 후의 완전연소가능량이 평균 3배 이상 보 설치 후 완전연소가능량이 높아진 것이 뚜렷이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보상류와 하류의 비교에 따르면 보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완전연소가능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또한 보 설치 전과 보 설치 후 시료에서 보상류와 보하류간의 차이인 농도비 비교를 통해 보 건설 후 유기물이 보를 지나 하류로 가면서 보에 의해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 사료된다. 퇴적물의 화학적산소요구량은 보 설치 전 시료에서는 보상류에 비해 보하류의 농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보 설치 후시료는 여주보를 제외한 강천보와 이포보는 보하류보다 보상류의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남을 보였다. 이는 6월은 보의 완공 전으로 하류로 갈수록 COD가 높아지는것, 즉 유기물 함유율이 높음을 의미하고, 보 설치 후 시료는 여주보를 제외한 강천보와 이포보는 보하류보다 보상류의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남을 보였다. 보 설치 전에는 하류로 갈수록 COD 농도가 높아졌으나, 보 설치 후에는 보상류가 보 하류에 비해 COD 농도가 높은 결과로부터 유역에서 흘러들어온 유기물의 이동 및 퇴적 양상이 보에 의해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보 설치 전과 보 설치 후의 용존유기탄소량을 비교할 때, 보 설치 후 평균적으로, 특히 각 보 4km 분석구간에서 용존유기탄소량이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보 상류에서 보 하류로 갈수록 최저 1.2~최대 5.52배 정도 용존유기 탄소량이 작아짐을 알 수 있다. 그만큼 보 설치 이후 각 보의 상하간의 차이가 확실해졌다고 할 수 있겠다. 퇴적물 분석결과 총인 농도는 보 설치 전 시료의 평균 총인 농도가 보 설치 후 시료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보 설치 후의 인의 농도가 줄어든 것으로 상당한 퇴적물 내 인의 손실이 있었음을 암시한다. 각 보의 상류와 하류의 농도비 분석결과 대부분의 보상류가 보하류보다 더 높은 농도값을 가짐으로 보아 보를 지남과 동시에 총인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총인과 마찬가지로 SRP 또한 장마기인 보 설치 후의 시료 농도는 보 설치 전보다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보상류와 보하류간 농도비는 총인의 농도비와 달리 보 설치 전 시료와 보 설치 후 시료 모두 보상류의 SRP 농도가 높은 것을 보여준다. SRP의 농도가 높다는 것은 퇴적물 속에 쉽게 용출될 수 있는 인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SRP는 총인과 관련이 있는데 보 설치 전 시료와 보 설치 후 시료 간 SRP농도 변화를 정량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총인에 대한 SRP의 농도비를 구해보았다. 그 결과 보 설치 전 시료의 총인에 대한 SRP의 농도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보 설치 후에 비해 보 설치 전 퇴적물이 쉽게 용출될 수 있는 인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 설치 전 총질소의 분석결과 보 설치 후, 보 설치 전과 비교하여 총질소량이 대체적으로 비슷했으나, 보 설치 후에 각 보 상류에서 보 하류로 갈 수록 총질소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확실해 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들로부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보의 설치는 수체내 유기물 몇 영양 염류의 이동에 영향을 주는 수체 내 구조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7. 화천 퇴적물 오염물질량 조사

완전분해법을 이용하여 하상퇴적토가 가지는 총 중금속 농도를 구하고, 이를 분석하여 보 설치구간의 중금속 농도 분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보 설치 전 시료 분석결과, 중금속 농도는 보의 전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보의 하류 지점에서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의 상류부와 하류부에 형성되는 물리적, 환경적 조건에 변화가 하상퇴적물 내 중금속 농도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보 설치 후 채취하였던 2차 시료의 분석결과, 중금속 농도는 보 설치 전 보였던 보 상·하의 유의한 차이와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V. 조사연구결과의 활용방안

□ 보 설치구간 하상퇴적물 내 유기물/중금속의 양적인 평가

□ 퇴적물 측정망 대상지점(강천보, 여주보, 이포보)내 퇴적물관리 기초자료 제공

□ 보 설치 전·후 퇴적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평가

□ 수량, 수질 확보를 위한 퇴적물 관리, 준설 등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 보 유지관리를 위한 퇴적물 관리 시나리오 분석에 필요한 입력 자료 제공 및 정책 결정 지원 및 제도 개선효과

□ 보 구간과 보 작동 방식별 퇴적특성에 따른 퇴적 특성조사와 부유물질 및 동반 오염물질 농도 조사를 통해 향후 보 퇴적물 조사 및 관리의 기초자료로 직·간접적 활용으로 유역관리 대책수립의 설계인자 제공

□ 2차년도에 실시예정인 퇴적물의 양적인 변동사항 연구와 더불어 보 설치구간의 퇴적환경 유지관리 및 퇴적물로 인한 수위의 감소, 수질의 악화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수질 및 수자원을 확보를 위한 관리방안 도출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6754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v.1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