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샹파뉴의 석회암 무덤 2. 바장쿠르에서 아통샤텔까지 3. 레제파르주 4. 두시와 몽시 5. 참호전의 일상 6. 솜 전투를 알리는 전주곡 7. 기유몽 8. 생피에르바스트에서 9. 솜에서의 후퇴 10. 프레누아 마을에서 11. 인도인에 맞서 12. 랑게마르크 13. 레니에빌 14. 다시 한번 플랑드르 15. 캉브레에서의 이중 전투 16. 코죌 강에서 17. 대전투 18. 영국군의 진격 19. 내 마지막 돌격 20. 우리는 헤쳐나간다
옮긴이의 말
이용현황보기
강철 폭풍 속에서 : 에른스트 윙거 장편소설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969017
833 -14-5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969018
833 -14-5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제1차 세계대전의 참상을 참혹하리만치 사실적인 문체로 그려낸 20세기 독일 문학을 대표하는 거장 에른스트 윙거의 기념비적 데뷔작!
보르헤스, 브레히트, 앙드레 지드와 같은 세계적인 문호들의 칭송을 받은 에른스트 윙거의 대표작이자 1차대전을 다룬 최고의 문학으로 꼽히는 『강철 폭풍 속에서』가 1차대전 발발 100주년이 되는 올해 국내 초역으로 출간되었다. 이 책은 전쟁에 참전한 4년 동안의 전시 일기에 바탕을 둔 회고록으로, 한 평범한 독일 병사의 눈으로 본 전쟁의 참상을 조명한다. 사회성 짙은 문학작품을 소개하는 뿌리와이파리 ‘알알이 시리즈’의 네 번째 책인 이 작품은 고전문학을 읽는 재미를 선사할 뿐 아니라 한국 독자들에게는 여전히 낯선 1차대전의 실상과 그 성격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피비린내 나는 전장을 냉정한 필치로 그려낸 걸작 논픽션 1914년 1차대전이 발발하자 사병으로 입대한 열아홉 살의 윙거는 종전까지 제73연대에 소속되어 솜, 캉브레, 파스샹달 등의 유명한 전투에 참가했다. 그는 열네 차례에 걸쳐 부상을 당했지만 매번 다시 전선에 나섰고, 그 공로를 인정받아 1급 철십자훈장과 호엔촐레른 기사훈장, 독일 제국의 최상급 무공훈장인 푸르르메리트 훈장을 받았다. 1920년 윙거는 전쟁의 경험을 담은 『강철 폭풍 속에서』를 발표하며 이후 75년 동안 이어질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윙거의 데뷔작이자 가장 널리 알려진 이 작품은 히틀러의 『나의 투쟁』, 레마르크의 『서부 전선 이상 없다』와 함께 바이마르 공화국의 3대 베스트셀러가 되었을 정도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윙거는 이 작품에 특히 애착을 보여 여러 차례 개정했으며, 최종 판본인 여덟 번째 개정판(1961)이 1978년 슈투트가르트에서 출간된 윙거 전집 제1권에 수록되었다. 이 작품은 1차대전 문학의 최고작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데, 그 이유로는 서부 전선에서 가장 오래 복무한 작가인 윙거의 생생한 전투 경험이 서술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전쟁에 관한 감상적 인도주의를 거부하고 특유의 몰이데올로기적 관점을 견지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책에서 윙거는 유혈이 난무하는 전장의 상황을 가감없이 묘사하는 데에 주저함이 없다. 소총과 기관총, 포탄과 수류탄, 독가스 등 각종 무기를 통해 양측의 병사들이 죽고 죽이는 장면들이 처절하게 그려진다. 그는 심지어 자신의 살육 행위마저도 있는 그대로 기록하고 있는데, 이러한 솔직함은 여타의 전쟁문학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더욱 특기할 점은 전쟁 자체에 대해 비판하지 않는 윙거의 태도다. 그는 전쟁의 정당성을 분석하거나 그 결과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다. 윙거는 자신이 본 것과 행동한 것을 충실히 묘사할 뿐이고 그 점에서 이 작품과 비교할 만한 전쟁문학은 없다.
전범이냐 문호냐, 20세기 독일 문학을 대표하는 문제적 작가 1차대전의 영웅이자,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의 보수적 혁명의 제창자이자, 2차대전 초기에 파리 주둔 장교였던 윙거는 종전 뒤 전범 시비에 휘말려 50년 가까이 은둔의 삶을 살았다. 전쟁이 끝난 1945년에는 연합국이 탈나치화 정책의 하나로 그에게 요구한 과거청산을 위한 설문지 작성을 거부하여 그해부터 1949년까지 5년 동안 저작 출판을 금지당하기도 했다. 이러한 윙거의 이력 탓에 독자들 사이에는 윙거가 전쟁을 찬양한 작가였는지 반전작가였는지, 또는 나치 정권에 찬성했는지 반대했는지 등을 둘러싼 논쟁이 끊이지 않았다. 윙거의 의도가 어떠했든, 그는 전후 독일에서 우파에게는 숨은 영웅으로, 좌파에게는 그 문학적 무게가 불편한 반민주주의의 상징으로 대접받았다. 1982년 프랑크푸르트 시로부터 괴테상을 받았을 때에는 독일 지식인들이 격렬하게 반발했을 정도였다. 그러나 1990년의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학계는 대체로 윙거가 정치적으로는 보수주의자에 속하지만 나치 정권에 대해서는 협력도 저항도 아닌 모호한 태도를 취했다고 보고 있다. 그 근거로는 윙거가 나치당의 가입 권유를 거절해 줄곧 감시 상태에 있었다는 점, 그리고 히틀러가 반대하던 테러리스트 농부운동을 지원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2차대전 초기 파리에서 장교로 복무할 때에는 베를린에서 오는 군의 명령에 따르기보다는 장 콕토를 비롯한 프랑스 문인들과 교유하는 데에 더 몰두하기도 했다. 프랑스에서는 이런 윙거를 일찍이 사면했을 뿐 아니라 그의 작품 대부분이 번역되어 나올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100회 생일을 맞은 1995년에는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그의 작품들을 새로이 출간하기도 했다. 오늘날 독일에서도 정치적 성향의 좌우를 막론하고 윙거의 문학적 가치를 부인하는 사람은 찾기 어려우며, 그의 작품은 독일 초중고 학생들이 반드시 읽어야 하는 필독서로 꼽힌다. 극작가 하이너 뮐러와 비평가 세바스티안 클라인슈미트는 윙거를 20세기 독일 문학의 최고봉이라고까지 평가했다.
책속에서
[P.49~50] 잡초가 수북이 자라난 들판은 황량했고, 그 위로 거대하고 검은 구름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었다. 복잡하게 얽히고설킨 참호들에는 철조망을 잇는 노랗거나 하얀 고리들이 보였고, 철조망은 실처럼 길게 늘어져 교통호로 이어졌다. 여기저기에서 유령의 손이 올려보낸 것 같은 포탄 연기가 공중으로 피어오르며 바람 속에서 파르르 떨렸다. 또는 유산탄의 탄알들이 천천히 녹아내리는 하나의 커다란 눈송이처럼 황폐한 불모지 위에 붕 떠 있었다. 그 모든 풍경이 음산하고도 우화적이었다. 전쟁은 이 지역에서 사랑스러운 것을 다 지워버리고 그 뻔뻔스러운 특징만을 뚜렷이 새겨서 그 전경을 홀로 바라보는 이를 경악하게 만들었다.
[P. 101] 이 전쟁에 참여한 여느 병사들과 마찬가지로 너무나도 자주 이런 상황에 처했던 나는 이제 이 상황에 딱 맞는 비유를 찾았다고 생각했다. 말뚝에 꽁꽁 묶인 채 큰 쇠망치를 휘둘러대는 놈에게 연신 위협을 당하는 상황이 그것이다. 지금은 망치가 놈의 머리 뒤로부터 다시 휘둘러지기 직전이다. 이제 망치가 공기를 가르며 나를 향해 날아온다. 이제 내 머리통이 박살나고 말 것이다. 그리고 망치는 말뚝을 후려치고, 나뭇조각들이 사방으로 튄다. 바로 이것이 총격과 포화 한가운데에 엄폐물 하나 없이 노출되어 있는 사람이 겪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다.
[P. 122~123] 쑥대밭이 된 전쟁터는 끔찍했다. 살아 있는 방어군 사이에 죽은자들이 누워 있었다. 간이호를 팔 때 우리는 그들이 겹겹이 층을 이루며 쌓여 있다는 걸 알았다. 한 중대의 뒤를 이어 또 다른 중대가 배치되고, 그 병사들은 집중포화 속에서 한꺼번에 몰살당했던 것이다. 시체들은 포탄이 터질 때 치솟아올랐다가 쏟아져내린 흙더미에 덮였고, 그 전사자들이 싸웠던 자리는 다른 병사들이 메웠다. 이제는 우리 차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