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정보
소속
직위
직업
활동분야
주기
서지
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 열기
원문 아이콘이 없는 경우 국회도서관 방문 시 책자로 이용 가능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발간사 / 김문현
머리말 / 한수웅
목차
법령 및 참고문헌 간략표기 12
제1장 총칙 14
[헌법재판 일반론] 14
I. 헌법재판의 의미와 기능 16
II. 헌법재판의 법적 성격과 한계 23
III. 헌법재판제도의 유형 46
IV. 한국 헌법재판의 역사 60
V. 헌법소송과 헌법소송법 67
제1조 77
I. 입법연혁 및 관련 규정 77
II. 헌법재판소법의 목적 및 내용 77
III. 헌법재판소법을 구체적으로 형성하는 입법형성권의 한계 78
제2조 80
I. 입법연혁 및 관련규정 81
II. 헌법재판소의 관할과 권한을 결정하는 2가지 요소 81
III. 현행 헌법상 헌법재판소의 관할과 권한 82
IV. 헌법재판소와 입법자의 관계 88
제3조 90
I. 입법연혁 및 관련 규정 90
II. 재판관 구성에 있어서 입법형성의 한계 91
III. 재판관의 수 92
제4조 95
I. 입법연혁 및 관련규정 95
II. 재판관의 직무상 독립 96
제5조 103
I. 입법연혁 및 관련규정 103
II. 재판관의 자격 105
III. 현행 재판관 자격규정의 문제점 107
제6조 110
I. 입법연혁 및 관련규정 112
II. 재판관 선임제도의 내용 115
III. 주요국가의 재판관 선임제도 117
IV. 현행 재판관 선임제도의 문제점 119
V. 헌법재판관 선임제도의 개선방안 128
VI. 인사청문제도의 의미 및 구체적 내용 133
VII. 인사청문제도의 문제점 134
VIII. 후임자의 임명기한 136
IX. 후임자의 임기 138
X. 후임자 임명제도의 보완 필요성 139
제7조 141
I. 입법연혁 및 관련규정 141
II. 재판관의 임기 142
III. 재판관의 연임 145
IV. 재판관의 정년 147
제8조 150
I. 입법연혁 및 관련규정 150
II. 재판관의 신분보장 151
제9조 154
I. 입법연혁 및 관련 규정 154
II. 재판관의 정치 관여 금지규정의 의미 155
제10조 158
I. 입법연혁 및 관련규정 158
II. 규칙제정권의 의미 159
III. 헌법기관 규칙의 법적 성격 161
IV. 헌법재판소규칙 제정의 절차 167
V. 헌법재판소규칙의 공포 167
제10조의2 169
I. 입법연혁 및 관련규정 169
II. 입법의견 제출권의 의미와 기능 170
제11조 172
I. 연혁 172
II. 헌법재판소 경비의 독립계상의 원칙과 그 의의 172
III. 헌법재판소의 독립성 존중을 위한 국가재정법상의 규율 174
IV. 예비비 174
제2장 조직 176
제12조 176
I. 연혁 177
II. 헌법재판소장의 임명 177
III. 헌법재판소장의 권한 183
IV. 헌법재판소장의 권한 대행 184
제14조 187
I. 연혁 187
II. 겸직금지의 목적 188
III. 겸직금지의 범위 188
IV. 겸직금지의 위반의 법적 효과 191
제15조 192
I. 연혁 192
II. 헌법재판소장의 대우와 보수 192
III. 재판관의 대우와 보수 193
제16조 194
I. 연혁 194
II. 재판관회의의 구성, 소집 및 운영 194
III. 재판관회의의 의결사항 195
IV. 재판관회의의 법적 성격 195
제17조 196
I. 연혁 196
II. 사무처 197
제18조 200
I. 연혁 200
II. 사무처공무원 201
제19조 203
I. 연혁 204
II. 헌법연구관의 직무 205
III. 연구관의 자격과 신분 206
IV. 헌법연구관에 대한 인사와 신분보장 209
V. 헌법연구관의 제척·기피·회피의 문제 211
제19조의2 212
I. 연혁 212
II. 헌법연구관보의 직무 213
III. 헌법연구관보의 신분과 지위 213
제19조의3 214
I. 연혁 214
II. 헌법연구위원의 직무 214
III. 헌법연구위원의 신분 215
제19조의4 216
I. 연혁 216
II. 헌법재판연구원의 설립목적 217
III. 헌법재판연구원의 조직, 구성, 운영 217
제20조 219
I. 연혁 219
II. 헌법재판소장 비서실 219
III. 재판관 비서관 220
제21조 221
I. 연혁 221
II. 서기 221
III. 정리 223
제3장 일반심판절차 224
[심판절차 일반론] 224
I. 헌법소송의 주요원칙 227
II. 헌법소송의 당사자 240
III. 가처분 251
제22조 289
I. 연혁 289
II. 재판부 290
III. 재판장 291
제23조 292
I. 연혁 293
II. 심리정족수 294
III. 결정정족수 297
제24조 309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310
II. 제도의 의의와 특성 312
III. 제척 314
IV. 기피 323
V. 회피 327
VI. 감정인, 헌법재판소 사무관등, 헌법연구관에 대한 제척·기피·회피 328
제25조 330
I. 연혁 330
II. 정부가 당사자인 경우 331
III. 국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당사자인 경우 331
IV. 사인이 당사자인 경우 333
제26조 339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340
II. 심판청구의 의의와 방식 340
III. 심판청구의 효과와 심판청구의 변경 342
IV. 심판의 대상 344
V. 청구의 취하 346
제27조 352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352
II. 심판청구의 접수 353
III. 청구서 등의 송달 354
제28조 357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357
II. 심판청구의 보정 357
III. 심판청구서의 보정 358
제29조 360
I. 입법연혁 360
II. 답변서의 제출 360
제30조 362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362
II. 심리의 방식 363
III. 변론 364
제31조 368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369
II. 헌법재판과 증거조사 369
III. 증거조사의 절차와 방식 370
IV. 입증의 정도와 입증책임 377
제32조 384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384
II. 자료제출 요구 등의 의의 및 방법 384
제33조 387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387
II. 심판의 장소 387
제34조 388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388
II. 변론 및 선고의 공개와 예외 389
III. 서면심리 및 평의의 비공개 389
제35조 391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391
II. 재판장의 심판지휘 392
III. 재판장의 법정경찰권 393
IV. 심판정의 용어 393
V. 녹화·촬영·중계방송 등의 금지 394
제36조 396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397
II. 평의 398
III. 종국결정의 의의, 범위와 종류 408
IV. 종국결정에 관한 절차 409
V. 소수의견의 공표 411
제37조 414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414
II. 심판비용 415
III. 공탁금 416
제38조 418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418
II. 심판기간 419
제39조 420
I. 입법연혁 및 관련 법령 421
II. 헌법재판소 결정의 효력 개요 421
III. 헌법재판에서 일사부재리의 의미 422
IV. 자기구속력, 형식적 확정력 423
V. 기판력 424
VI. 재심 430
제39조의2 433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434
II. 사건기록 열람·복사의 유형과 의의 434
III. 당사자나 이해관계인의 열람·복사 등 434
IV. 일반인의 열람·복사 435
제40조 438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438
II. 헌법소송법의 법원(法源) 439
제4장 특별심판절차 444
제1절 위헌법률심판 444
[위헌법률심판 일반론] 444
I. 규범통제의 역사 445
II. 규범통제의 기원 및 발전 446
III. 규범통제의 유형 447
IV. 한국 헌법에서 규범통제제도의 변화 454
제41조 458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460
II. 위헌법률심판의 목적 및 구조 461
III. 제청의 주체: 법원 467
IV. 대상규범 469
V. 재판의 전제성 478
VI. 제청 관련 절차 506
VII. 심사기준 509
제42조 513
I. 입법연혁 513
II. 재판정지의 의미와 범위 514
III. 재판정지 기간 515
제43조 516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516
II. 제청서의 기재사항 517
제44조 518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518
II. 당해사건 당사자와 법무부장관의 의견 제출 518
III. 심판규칙에 의한 의견제출제도의 확대 520
제45조 521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524
II. 규율내용 및 적용범위 524
III. 심판 및 위헌결정의 범위 528
IV. 위헌결정 532
V. 헌법불합치결정 541
VI. 헌법재판소의 독자적인 경과규율 572
VII. 한정위헌·합헌결정 576
VIII. 여타의 변형결정 590
IX. 합헌결정 593
제46조 597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597
II. 결정서 송달 597
제47조 599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601
II. 헌법재판소 결정의 기속력 603
III. 위헌결정된 법률의 효력 상실(일반적 효력) 619
IV. 위헌결정된 법률의 시간적 효력범위 624
V. 형벌조항에 대한 위헌결정의 소급효와 그 제한 639
제2절 탄핵심판 646
[탄핵심판 일반론] 646
I. 탄핵제도의 기원과 입법례 647
II. 한국 탄핵제도의 변천 651
III. 탄핵(심판)제도의 의의, 기능과 유형 653
제48조 659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660
II. 탄핵의 대상 661
III. 탄핵의 사유 667
IV. 탄핵소추의 발의 및 의결 676
제49조 683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684
II. 탄핵심판의 당사자 685
III. 탄핵심판의 심판대상과 탄핵소추사유의 추가 686
IV. 탄핵심판의 청구 및 청구의 취하 689
V. 탄핵심판의 심리 693
제50조 695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695
II. 권한행사 정지의 의의, 기간 및 효과 696
III. 입법론 697
제51조 699
I. 입법연혁 699
II. 탄핵심판절차의 성격 699
III. 심판절차의 정지 701
제52조 703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703
II. 피청구인 본인의 출석 여부 703
제53조 705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705
II. 종국결정의 유형 706
III. 징계파면으로 인한 심판청구의 기각 706
IV. 결정의 효력 707
V. 소수의견의 공표 711
제54조 712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712
II. 파면결정의 부수적 효력 713
제3절 정당해산심판절차 716
[정당해산심판 일반론] 716
I. 개관 716
II. 정당해산제도의 역사 718
III. 정당해산제도의 문제점과 그 효율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 720
IV. 입법례 및 정당해산사례 722
V. 정당해산요건에 대한 해석의 지침 727
VI. 정당해산심판절차의 법원(法源)과 민사소송법령의 준용의 문제점 729
제55조 734
I. 연혁 736
II. 정부의 심판청구 736
III. 피청구인 746
IV. 청구사유 754
제56조 775
I. 연혁 775
II. 청구서 775
III. 청구서의 송달 776
제57조 777
I. 입법연혁 778
II. 정당활동정지 가처분제도의 의의 778
III. 가처분발동권의 헌법적 근거 778
IV. 가처분의 절차 780
V. 가처분신청사건의 접수 및 송달 782
VI. 가처분의 실체적 요건 782
VII. 가처분심판의 절차 784
VIII. 가처분결정 786
IX. 가처분재판 이후의 절차 788
X. 가처분 결정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법개정의 필요성 789
제58조 790
I. 입법연혁 790
II. 청구 등의 통지 791
III. 심판의 절차 791
IV. 정당해산심판 종료의 통지 799
V. 정당해산심판절차의 수정·보완 필요성 799
제59조 803
I. 입법연혁 804
II. 종국결정의 선고 804
III. 종국결정의 종류 805
IV. 정당해산결정의 효력 813
제60조 822
I. 연혁 822
II.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정당해산결정의 집행 822
III. 헌법재판소의 포괄적인 결정집행권 인정 필요성 827
제4절 권한쟁의심판 830
[권한쟁의심판 일반론] 830
I. 권한쟁의심판제도의 의미와 목적 830
II. 한국 헌법재판제도에서 권한쟁의심판 835
제61조 842
I. 심판청구의 적법요건 843
II. 권한쟁의심판권의 범위 871
제62조 885
I. 국가기관 상호간의 권한쟁의심판 886
II.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간의 권한쟁의 897
III.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권한쟁의 909
제63조 914
I. 청구기간규정의 목적과 의미 914
II. 청구기간의 기산점 915
제64조 920
I. 입법연혁 920
II. 심판청구의 절차 921
III. 심판청구서의 기재사항 921
제65조 924
I. 입법연혁 924
II. 가처분의 의의 924
III. 가처분의 신청 926
IV. 가처분의 요건 926
V. 가처분결정의 내용 929
제66조 930
I. 입법연혁 및 관련법령 931
II. 심리 및 심판정족수 931
III. 결정주문 939
제67조 957
I. 입법연혁 및 관련법령 957
II. 결정의 기속력 958
III. 법 제67조 제2항의 의미 960
제5절 헌법소원심판 962
[헌법소원심판 일반론] 962
I. 헌법소원의 생성사 및 개념 963
II. 주요국가의 헌법소원제도 969
III. 헌법소원제도의 기능 975
IV. 한국헌법재판제도에서 헌법소원심판 984
제68조 제1항 988
I. 입법연혁과 관련법령 993
II. 헌법소원의 대상 994
III. 청구인능력(소원능력) 1064
IV. 법적 관련성 1087
V. 보충성 1129
VI. 권리보호이익 1140
제68조 제2항 1148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1149
II. 의의와 성격 1149
III. 절차와 요건 1151
IV. 심사기준 1158
V. 결정의 형식 및 효력 1158
제69조 1161
I. 법 제69조 제1항의 청구기간 1162
II. 법 제69조 제2항의 청구기간 1182
제70조 1183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1184
II. 국선대리인제도의 의의 1184
III. 국선대리인 선임의 사유 1185
IV. 신청 및 선임의 절차 등 1188
제71조 1191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1191
II. 청구서의 기재사항 1192
III. 기재사항 누락 및 잘못된 기재 1196
제72조 1198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1199
II. 사전심사제도의 의의 1199
III. 입법례 1200
IV. 지정재판부의 구성과 심리절차 1203
V. 결정 및 효력 1204
VI. 지정재판부 권한 강화의 입법론 1207
제73조 1208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1208
II. 입법취지 및 통지의 대상과 주체 1209
제74조 1211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1211
II. 이해관계기관 등의 의견 제출 1212
제75조 1215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1216
II. 인용결정의 유형과 효력 1216
III. 침해된 기본권과 침해의 원인인 공권력 행사의 주문 기재 1222
IV. 헌법소원 인용결정의 기속력 1225
V. 부수적 위헌선고 1226
VI. 재심 1228
제5장 전자정보처리조직을 통한 심판절차의 수행 1230
제76조-제78조 1230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1231
II. 전자헌법재판의 도입과 의의 1232
III. 전자문서에 의한 서면의 제출과 접수 1235
IV. 전자서명 1238
V. 전자송달 1239
VI. 그 밖의 전자적 업무처리 1241
제6장 벌칙 1244
제79조 1244
I. 입법연혁과 관련 법령 1244
II. 형사처벌의 의의와 요건 1245
헌법재판소법 1250
헌법재판소 심판 규칙 1266
사항색인 1276
집필자 약력 1292
판권기 1293
이용현황보기
가상서가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