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3

Ⅰ. 서론 8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8

2. 연구 목적 및 내용 11

3. 연구 방법 12

Ⅱ. 사회적 고립의 개념 및 해외연구 동향 15

1. 사회적 고립의 개념 15

1) 사회적 고립의 개념에 대한 국내외 연구의 흐름 15

2) 사회적 고립의 정의 21

2. 사회적 고립의 발생배경 22

1) 사회적 고립의 사회구조적 원인(거시적 요인) 22

2) 사회적 고립의 사회구조적 원인(미시적 요인) 23

3. 국가별 사회적 고립 유형의 연구 동향 26

4. 함의점 40

Ⅲ. 경기도 사회적 고립 현황 분석 43

1. 분석개요 43

1) 사회조사의 목적 43

2) 조사부문 44

2. 사회조사의 경기도 사회적 관계망 분석결과 44

3. 함의점 52

Ⅳ. 결론 54

1. 사회적 고립의 개념 및 유형에 따른 지원방안 54

2. 제언 59

참고문헌 61

판권기 65

〈표 Ⅰ-1〉 은둔형 외톨이의 사회문제 관련 언론보도 9

〈표 Ⅱ-1〉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을 구분한 연구사례 15

〈표 Ⅱ-2〉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을 구분하는 국내의 주요 연구 16

〈표 Ⅱ-3〉 Vincenzi and Grabosky(1987)의 사회적 고립 척도 16

〈표 Ⅱ-4〉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을 통합하여 접근하는 국내의 주요 연구 17

〈표 Ⅱ-5〉 사회적 고립의 범위 21

〈표 Ⅱ-6〉 SR에 의한 데이터 추출 26

〈표 Ⅱ-7〉 양적 및 질적 분석 사례 논문 일람표 27

〈표 Ⅱ-8〉 사회적 고립 고령자 8 유형 33

〈표 Ⅱ-9〉 상황적 고립과 구조적 고립의 고령자 유형 8분류 구체적 특징 33

〈표 Ⅱ-10〉 일본의 사회적고립 대응책 변화 주요내용 39

〈표 Ⅲ-1〉 성, 연령집단 및 교육수준별 사회적 고립도(2009~2017 추이) 47

〈표 Ⅲ-2〉 2017 전국 및 경기도 사회적 관계망 48

〈표 Ⅲ-3〉 외로움과 고독 원인 변화추이 51

〈표 Ⅳ-1〉 사회적 고립의 개념 및 유형 55

〈표 Ⅳ-2〉 생애주기에 따른 사회적 고립 유형을 고려한 예방 및 지원방안 58

〈그림 Ⅰ-1〉 친구/이웃과 연락, 왕래빈도 추이 10

〈그림 Ⅰ-2〉 연구 흐름도 14

〈그림 Ⅱ-1〉 사회적 고립의 생애주기적 접근 모델 20

〈그림 Ⅱ-2〉 조콕스(Jo Cox) 외로움 끝내기 캠페인 36

〈그림 Ⅱ-3〉 조콕스(Jo Cox) 외로움 리포트 2017_대화의 시작 37

〈그림 Ⅱ-4〉 은둔형 외톨이(히키코모리) 지원에 관한 인력양성연수 및 서포터사업 39

〈그림 Ⅱ-5〉 사회적 고립의 발생원인 생애주기별 통합모델 40

〈그림 Ⅲ-1〉 사회적 고립도(연도별 추이_2009~2017) 45

〈그림 Ⅲ-2〉 사회적 관계망 2017 경기도_성별 비교 49

〈그림 Ⅲ-3〉 사회적 관계망 2017 경기도_연령별 비교 49

〈그림 Ⅲ-4〉 사회적 관계망 2017 경기도_교육수준별 비교 50

〈그림 Ⅲ-5〉 사회적 관계망 2017 전국 동읍면부 및 직업별 비교 50

〈그림 Ⅲ-6〉 외로움과 고독 51

〈그림 Ⅲ-7〉 외로움과 고독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