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책을 펴내며

머리글: 역사도시 진주와 3ㆍ1운동 - 김중섭
1. 역사도시 진주의 의미
2. 진주 3ㆍ1운동의 배경과 성격
3. 진주 3ㆍ1운동의 영향
4. 이 책의 구성

권두논문: 3ㆍ1운동의 역사적 의미 - 이준식
1. 3ㆍ1운동의 올바른 이름 찾기
2. 동아시아 혁명의 시대와 3ㆍ1운동
3. 3ㆍ1운동과 새로운 근대 주체의 등장
4. 3ㆍ1운동과 민주주의
5. 3ㆍ1운동과 국제주의, 그리고 세계 평화
6. 맺음말

I 진주지역 3ㆍ1운동의 배경 - 김준형
1. 머리말
2. 진주의 입지 변화와 저항거점 형성
1) 진주의 역사지리적ㆍ행정적 입지의 변화
2) 저항운동 거점으로서의 진주
3. 19세기 후반 이후의 농민항쟁, 동학군 봉기와 의병투쟁
1) 1862년 진주농민항쟁과 1894년 동학군 봉기
2) 진주 부근에서의 의병투쟁
4. 진주지역 계몽운동의 분석
1) 다양한 계몽운동의 추이
2) 계몽운동의 주도 세력
5. 각 종교 세력의 추이
1) 보수 유림의 대응
2) 천도교의 입지
3) 불교 세력의 입지
4) 기독교 세력의 대응
6. 맺음말

II 진주지역 3ㆍ1운동의 전개 과정 - 조헌국
1. 들어가는 말
2. 본문
1) 진주만세시위의 주동자와 그 역할
2) 진주만세시위 장소와 참가자
3) 진주만세시위 날짜별 진행 과정
4) 진주만세시위 시작을 알렸던 신호
3. 마무리

III 진주 3ㆍ1운동과 지역사회운동: 청년, 농민, 노동운동을 중심으로 - 김희주
1. 머리말
2. 진주지역 사회운동의 사상적 기반
1) 개조론의 유입과 실력양성론
2) 사회주의 이념의 수용과 전파
3. 청년운동의 발흥과 추이
4. 농민운동의 양상과 진주농민조합
1) 소작운동의 전개
2) 진주농민조합의 결성과 활동
5. 노동운동의 발전
1) 노동조합의 조직과 파업투쟁
2) 1920년대 후반의 동향과 진주지방협의회
6. 맺음말

IV 진주지역 3ㆍ1운동과 사회적 약자: 어린이, 여성을 중심으로 - 김형목
1. 머리말
2. 진주지역 3ㆍ1운동의 전개 양상
3. 유치원교육과 소년운동 확산
4. 여성운동의 진전
5. 맺음말

V 진주지역 3ㆍ1운동과 형평운동의 전국적 전개 - 조미은
1. 시작하면서
2. 진주의 3ㆍ1운동과 사회운동의 확산
1) 진주지역 3ㆍ1운동과 사회운동의 확산
2) 형평사 창립과 형평운동의 출발
3. 형평사와 형평운동의 전국적 확산
1) 형평사 조직의 빠른 증가
2) 형평운동 정신의 상징성 확산: 백정들의 인권해방운동에서 한국의 독립ㆍ해방운동으로
4. 마무리하면서

마무리 논문: 진주지역 3ㆍ1운동과 근대 사회 발전 - 김중섭
1. 시작하며
2. 3ㆍ1운동 이후 진주지역 사회운동의 양상
3. 1920년대 진주지역 사회운동의 특징
4. 3ㆍ1운동 이후 진주지역 사회운동의 지향성
1) 신분제 청산
2) 유교 폐습의 타파
3) 소작 관행의 불공정 시정
4) 문맹 퇴치
5. 진주지역 사회운동 발전의 토양
6. 맺음말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진주 3·1운동과 근대 사회 발전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29932 951.63 -2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53282 951.63 -2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53283 951.63 -21-4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B000009408 951.63 -21-4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진주지역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지향하는 ‘진주학총서’ 시리즈의 첫 번째 책!
진주지역의 역사를 살펴보면, 3·1운동은 이전의 역사적·사회적 과정과 밀접하게 이어져 있다. 식민지로 전락되는 전후 시기에 진주에서는 전국의 흐름에 맞추어 의병 활동이 벌어졌고, 국채보상운동이 전개되었다. 그러한 맥이 3·1운동으로 이어졌다. 이 책의 1장은 이러한 진주 3·1운동의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또 3·1운동에 이어서 소년운동, 농민운동, 소작인운동, 학교 설립 운동, 주민교육운동, 형평운동 등 근대 사회로 나아가려는 활동이 일어났다. 이러한 일련의 역사적 흐름은 역사도시 진주의 오랜 유산을 토대로 하여 근대로 나아가려는 사회적 바람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3·1운동 이후의 사회운동을 이 책의 제3장, 제4장, 제5장에서 깊이 있게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진주지역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서를 지향하는 ‘진주학총서’ 시리즈를 여는 책이다. 제1장에서 김준형 교수는 진주 3·1운동의 배경이 된 역사지리적·행정적 입지 변화와 19세기 후반 역사적 과정을 논의하고, 제2장에서 조헌국 선생은 자료 비판을 통해 진주지역 3·1운동의 전개 과정을 둘러싼 쟁점을 살펴본다. 제3장에서 김희주 교수는 진주지역의 청년운동, 노동, 농민운동을 논의하고, 제4장에서 김형목 박사는 사회적 약자인 어린이, 여성을 위한 진주지역 사회운동을 살펴보고, 제5장에서 조미은 박사는 진주지역 중심으로 형평운동을 심층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머리글을 쓴 필자가 근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한 3·1운동과 그 이후 사회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마무리 논문으로 정리하고 있다.
이 책은 진주 3·1운동의 배경과 진행 과정을 설명하고, 그 이후의 사회운동과 연결 지어 논의하며 그 역사적 의미를 평가하려는 것이다. 진주지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의 역사적 과정과 밀접하게 이어져 있는 이 역사는 근대 사회로의 이행 과정을 설명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한국 사회가 근대 사회로 나아가는 데 선구적 역할을 한 진주의 3·1운동과 그 이후의 사회운동은 또한 역사도시 진주의 위상을 높이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