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 14~15] 어른들은 아이들에게 특정 현상을 논리적으로 설명해 주려는 버릇이 있다. 그래서인지 날개에 있는 검은 점의 개수를 보면 무당벌레의 나이를 알 수 있다는 엉뚱한 이야기까지 생겨났다. 관찰력이 뛰어난 아이라면, 이 법칙이 옳다면 왜 한 살이나 세 살짜리 무당벌레는 한 마리도 보이지 않느냐며 한 번쯤 이의를 제기할 것이다. 하지만 어른들은 대개 “걔들은 다 숨어 있는 거야.”라거나 “눈에 띄지 않으면 다른 곳에 살고 있는 거야.”라는 어설픈 논거로 아이의 이의를 무시해 버린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런 이야기가 성인 연령대까지도 이어진다는 점이다. 산타클로스, 이빨 요정 아니면 일각수 따위는 마침내 상상의 세계로 들어가고 말았지만, 이 무당벌레 가설은 여전히 유효하다.
Question 1 무당벌레 날개의 반점 개수가 나이를 나타낸다고?
[P. 36~37] 슈메털링은 처음에는 애벌레로 살다가 번데기가 되어 고치 안에서 조용히 시간을 보낸 뒤에 성충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신앙심 깊은 사람들은 이들을 영혼 부활의 상징으로 여겼다. 이미 고대 그리스에서는 처음에는 밤나비(Nachtfalter=나방. 어원적으로 밤(Nacht)에 날개를 팔락거리는 동물(Falter)을 의미함/역자)에게 영혼이 있다고, 나중에는 낮나비에게도 영혼이 있다고 여겼다. 그래서 고 대 그리스어에서 슈메털링은 ‘프시케(숨, 호흡, 영혼, 생명/역자)’ 및 동명의 여인, 즉 에로스와 사랑을 나누었고 고전적으로 나비의 날개를 가진 것으로 묘사되는 여인 프시케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했다. 그러나 심리학이 나비 연구와 같을 수는 없다는 건 당연한 사실이다.
Question 7 슈메털링은 왜 슈메털링이라 불릴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