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서울건축사 : 건축으로 읽는 629년의 사회문화사 : 1394-2022 / 지은이: 임석재
발행사항
서울 : 미진사, 2022
청구기호
720.95191 -22-1
자료실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도서위치안내(서울관)  도서위치안내(부산관)
형태사항
674 p. : 삽화, 지도 ; 25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40806654
제어번호
MONO12022000073592
주기사항
부록: 주소 목록 ; 서울 도시건축 기록사진 ; 도판 목록
참고문헌(p. 624-630)과 색인 수록

목차보기더보기

서문

1부 조선시대 전통건축 1394~1880

1장 한양 천도와 태조의 건축 활동
조선시대 한양 이전의 서울
서울의 탄생 - 조선 건국과 한양 천도
한양 1호시설 - 종묘와 사직단
경복궁 창건 - 유교 형식미를 통한 사회질서를 세우다
태조(재위 1392~1398)의 건축 활동 개괄
서울 한양도성과 남산 봉수대 - 돌쌓기 미학의 정수
사대문과 보신각 - ‘인의예지신’의 유교정신을 구현하다
정릉과 흥천사 - 왕릉과 원찰의 짝
문묘 - 조선유교 건축 교과서 요약본

2장 태종과 세종의 건축 활동
태종 대(재위 1400~1418)의 건축 활동 개괄
창덕궁 창건 - 경복궁을 부정한 ‘변의 미학’
종묘 형식의 정립 - 정전에 익실을 더해 ‘ㄷ’자로 만들다
경회루 건립 - 주역의 원리를 구현하다
경회루와 종로를 이어 한양 내 물길을 정비하다
세종 대(재위 1418~1450)의 건축 활동 개괄
종묘 영녕전 창건과 ‘조묘-제천’의 확립
서울 한양도성 개보수와 무악동 봉수대 설치
경복궁 중건 - ‘화’의 미학을 더해 예치정신을 완성하다
경복궁 중건을 통해 애민정신과 ‘평’의 미학을 구현하다

3장 문종 이후( 1 )?궁궐, 왕릉, 종묘, 서울 한양도성
‘문종~고종 전반부(1450~1880)’ 사이의 한양 건축 개괄
문종 이후 한양의 5대 궁궐 약사
창경궁 창건 - 여성들의 궁궐, 자유롭고 은밀한 공간 구성
창덕궁 정비 - 후원을 완성하다
경복궁 중창 - 왕실과 나라의 권위를 바로 세우다
왕릉 건축의 구성 요소 - 홍살문, 참도(신로와 어로), 정자각(정청과 배위청)
‘길의 미학’이 빼어난 왕릉 - 최고의 도시공원
종묘의 확장 - 정전의 압도적 수평선과 영녕전의 덩어리미학
서울 한양도성 증개축 - 돌쌓기의 미학을 완성하다

4장 문종 이후(2)?관아, 사찰, 일반 한옥, 왕실 한옥
관아 건축(1) - 삼군부, 모화관, 영은문
관아 건축(2) -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군기시 터
서울 사찰 건축의 현황
왕릉을 지키던 원찰 두 곳, 흥천사와 봉은사
흥천사 - 용머리 장식과 공예미학
봉은사 - 서울 시내에서 산사 삼문의 구성을 갖춘 유일한 사찰
화계사 - 소품이 뛰어난 도심형 사찰의 모범
보문사 - 궁궐 여성들이 찾던 비구니 사찰
일반 한옥과 재사의 현황
이승업 가옥, 김진흥 가옥, 도정궁 경원당, 윤보선 가옥, 한규설 가옥, 창녕위궁 재사
왕실 한옥을 대표하는 고종의 잠저 운현궁
연경당과 낙선재 - 궁궐 내 살림집


2부 근대기 1880~1990

5장 1차 전환기(1880~1907)?개항과 서양 건축의 등장
일반사에서 1차 전환기의 의미 - 전통시대에서 근대기로
서울건축사에서 1차 전환기의 의미 - 우리가 주체가 되었던 근대 도입기
건물 차원에서 1차 전환기의 구체적인 내용 - 전통 공간에서 서양식 공간으로

6장 근대 형성기(1880~1945)?고종의 건축 활동
고종의 근대화 의지와 건축 활동 - 서양 건축을 가장 먼저 시작하다
독립문과 독립관 - 영은문과 모화관을 넘어 독립 의지를 천명하다
양화진 외국인선교사묘원과 대한의원 본관 - 고종의 동도서기론과 궤를 같이하다
우정총국과 황학정 - 전통 건축으로 민족정신을 고취하다
탑골공원, 장충단, 뚝섬수원지 제1정수장 - 경성을 근대적 대도시로
고종 어극 40년 칭경 기념비전 - 궐 밖 시민 품에 지은 또 하나의 궁궐
고종 어극 40년 칭경 기념비전 - 또 하나의 작은 도시공원
덕수궁 건설 - 대한제국과 광무개혁의 산실

7장 근대 형성기(1880~1945)?서양 세력의 진출과 서양 역사주의 양식의 정착
근대 건축 형성기의 4대 서양 세력
서양 공사관 건축 - 각국의 전통 양식 전시장
프랑스 가톨릭 건축 - 19세기 유럽 중세주의의 향연
미국 개신교회 건축 - 19세기 영국 빅토리안 고딕
선교사학의 출범과 배재학당 동관 - 르네상스 양식과 영국 저택 양식
연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 영국 컨트리하우스와 표준화
영국성공회 -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과 구세군 중앙회관
서양식 주택 - 배화여고 생활관, 한국기독교 장로회총회 선교교육원, 딜쿠샤

8장 근대 형성기(1880~1945)?일제강점기의 경성 건축
일제강점기 건축의 역사적 해석 - 5단계를 거쳐 인류애로 나아가기
순종 대의 건축 - 공업전습소 본관, 서대문형무소, 광통관, 창경궁 식물원
유럽 역사주의 - 고전주의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양식
1930년대 전체주의 양식 - 극우 제국주의 건축으로 국민을 억압하다

9장 근대 형성기(1880~1945)?일제강점기의 항일 민족건축
항일 문화운동 개괄 - 종교, 교육, 언론을 통한 비폭력투쟁
항일 민족건축 개괄 - 건물을 짓는 일만으로도 문화투쟁이 될 수 있다
종교계의 항일 민족건축 - 천도교 봉황각과 불교 조계사
교육계의 포괄적인 항일 민족건축 - 서북학회, 중앙고등학교, 고려대학교

10장 2차 전환기(1945~1960)?해방공간과 1950년대
폐허 속 서울건축의 전환성 - 근대화의 씨앗을 뿌리다
2차 전환기의 네 가지 전환성과 여섯 가지 건축 현상
일제 잔재의 청산과 정치 공간으로서의 건물
서양 전통 건축의 연속 현상 - 개신교회
서양 전통 건축의 연속 현상 - 사립대학교
근대 건축의 씨앗을 뿌리다 - 일반 콘크리트 건물의 등장과 작가주의의 탄생
골목길의 초기 토대 - 근대 서울을 건설한 중산 서민의 주거 건축

11장 근대 완성기(1960~1990)?국제주의 양식과 고도성장의 신화
새로운 생활 공간의 수요를 딛고 한강의 기적을 이끈 근대 건축
박스형 육면체 - 생산적 증오에 기반한 압축 근대화의 돌격대
국제주의 양식의 두 가지 모델 - 중저층 백색 빌라와 고층 건물의 커튼월
백색 빌라 모델의 완성 - 건국대학교 도서관과 서강대학교 본관
백색 빌라 모델의 확산 - 연세대학교 백양관과 서울대학교 관악 캠퍼스
고층 건물 - 커튼월 모델 가톨릭회관, 유네스코회관, 삼일빌딩
근대 건축 2세대 - 남산도서관과 YMCA 회관
어린이회관, 삼성본관, 현대빌딩, 을지한국빌딩 - 근대적 대도시 서울을 이끌다
대형 공간의 탄생 - 고도성장의 상징, 대우센터빌딩
세운상가 - 강북 도심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주상복합 건물의 원조
장충체육관과 순복음중앙교회 - 장스팬의 단일 원형 공간
남산 서울타워와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수직 대형 공간과 수평 대형 공간

12장 근대 완성기(1960~1990)?작가주의, 형태주의, 공간주의
개인 창의력을 바탕으로 한 형태미학의 시대
김중업 - 국제주의 양식과 형태주의 사이에서
김수근 - 구조주의와 공간주의
이희태 - 재료구성주의와 한국적 모더니즘
작가주의 1세대의 건축 경향 - 형태주의, 구성주의, 국제주의 양식
신기념비주의 - 대형 공공문화시설로 전통논의를 이끌다
남산 국립극장, 세종문화회관, 예술의전당
’86 서울아시안게임과 ’88 서울올림픽 - 구조미학을 발휘할 드문 기회
서울종합운동장 - 라멘 구조를 이용한 형태주의
올림픽공원 - 특수 구조와 라멘 구조의 조화


3부 현대기 1990~

13장 3차 전환기(1990~2000)?현대 다원주의를 향한 첫걸음
후기산업사회와 다원주의 - 세 번째 전환기를 이끌다
IMF 사태의 극복과 건축가의 세대 교체 - 세계화의 흐름을 이끌다
3차 전환기의 다섯 경향 - 현대기의 씨앗을 뿌리다

14장 현대기(2000~)?도시주의의 탄생
독립 오브제에서 도시건축으로 - 도시주의의 다섯 가지 주제
열린 공간으로 도시와 소통하다 - 등뼈형 공간
도시 외부 공간의 길을 건물 안으로 들이다
중정형 공간 - 안마당까지 공간을 더 열다
출입구 형식화 - 도시를 향해 예절을 갖춰 인사하다
도시재생과 리모델링 - 시간의 공간화와 고쳐 쓰기의 미학
오래된 산업시설을 살려 쓰다 - 명품 도시의 조건
일제강점기 건물의 리모델링 - 문화시설로 승화시켜 식민 역사를 극복하다
인간을 위한 도시 - 공간 인프라의 발전

15장 현대기(2000~)?다원주의와 건축적 순도의 문제
탈근대시대에 건축의 기본다움을 고민한 다섯 경향
건축의 기본요소, 구조 - 한 단계 발전한 구조미학
건축의 기본요소, 공간 - 길과 여정, 다락방, 뒤집힌 공간
건축의 기본요소, 형태 - 도형기하주의, 사선, 삼각형
축조성과 육면체 각색 사이
다원주의 시대의 비정형 - 곡면 자유 형태
다원주의 시대의 비정형 - 분산적 사선과 수정체
다원주의 시대의 비정형 - 소형 입체 쌓기

16장 현대기(2000~)?구성미, 스키니즘, 포스트모더니즘
구성 분할, 표피 장식, 재료미학 - 구성미의 여섯 경향을 이끈 3대 주제
자본주의 도시에서 살아남기 - 소비상업주의, 대중주의, 표피조작
구성과 표피주의 - 분할, 혼성, 장식
패션 장식화 경향 - 건물을 패션화해서 상업자본주의에 부응하다
포스트모더니즘 - 상업장식, 고전장식, 색과 팝
재료와 파사드 - 모듈 요소를 반복해서 유동주의를 구현하다

17장 현대기(2000~)?후기산업사회와 자본이 주도하는 건축
자본의 논리가 건축가의 창의력을 압도하다
고층 건물의 변화 - 표피주의와 형태주의
상업 공간과 소비상업 양식의 문제 - 서울 현대 건축의 반성 지점
후기산업사회와 대형 공간 - 도시 경관을 이식하다
건축설계시장의 세계화와 외국 건축가의 활약

18장 현대기(2000~)?공공 영역과 고전의 역할
강화된 공적 개념을 담아내야 하는 과제 - 공공 건축의 세 가지 주제
새로운 관공서 양식 - 열린 공간과 구성 분할
전통논의와 신기념비주의 - 분리되고 변화하면서 명맥을 유지하다
서양 고전주의 - 금융권 건물, 대학교 건물, 관공서 청사

부록
주소 목록
서울 도시건축 기록사진
참고 문헌
도판 목록
색인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947355 720.95191 -22-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2947356 720.95191 -22-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2950544 720.95191 -22-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2950545 720.95191 -22-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B000073792 720.95191 -22-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