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프롤로그

CHAPTER 1 ESG경영은 왜 필요한가?

1 ESG경영이란 무엇인가?
2 UN의 사회책임투자원칙(PRI)에서 시작된 ESG
3 기업의 가치평가 기준, ESG 선별투자의 쟁점
4 기후, 환경, 안전, 보건혁신으로 변화하는 기업의 핵심가치
5 ESG 경영의 장애물/미래 기술과 보존가치 융합의 관점
6 ESG 투자 확대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7 배출권 거래제와 재생에너지가 주는 영향
8 합리적 ESG로 가는 방향

CHAPTER 2 조직 전반의 기조에서 평가되는 ESG

9 기업경영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ESG 평가
10 ESG의 평가 체계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투자를 위한 결정에 필요한 CDP
다우존스지속가능경영지수 DJS(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
경제정의지수(KEJI index)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ESG 평가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 평가
11 ISO 표준과 ESG
12 ESG 경영과 컴플라이언스
13 한국형 지표, K-ESG의 시작

CHAPTER 2 조직 전반의 기조에서 평가되는 ESG

14 세계의 ESG 동향
ESG 사례 1 모빌리티 혁신 가능성 보여 준 ‘9유로 티켓’
ESG 사례 2 IT기업의 친환경 데이터센터 구축
ESG 사례 3 파타고니아: 경영 자체가 ESG인 기업
ESG 사례 4 ESG Brand 폭스바겐, 넷플릭스
ESG 사례 5 국민연금·KIC도 ESG 투자 대열
15 ESG 디지털융합의 접점
16 ESG 브랜딩 시대: 국내외 기업 디지털 ESG 전략
17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되는 ESG
18 그린 & 디지털 혁신, 트윈 트랜스포메이션
19 AI로 진화하는 ICT에서 기업의 지속가능성
20 미래의 새로운 에너지원을 찾는 AI
21 디지털 기술로 예방하는 중대재해처벌
22 새로운 기회의 시대

이용현황보기

Digital ESG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요구 : How to cook digital ESG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B000068389 658.408 -23-14 부산관 로비(1층 로비) 북큐레이션
(관내이용)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우리나라는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의 상장사에 ESG 공시를 의무화, 2030년부터 모든 코스피 상장사로 ESG 공시를 의무화할 예정이다. 이제 ESG는 비단 비재무적 요소로 평가받기는 어려워 보이며, 명실상부한 기업의 가치 평가 표준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기업들에게 가장 먼저 명확한 이해와 준비가 필요한 부분은 ESG 데이터이다. ESG 데이터란 “기업이 경영활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내외부의 모든 데이터를 GRI, SASB와 같은 글로벌 ESG 정보공개 기준으로 통합 및 재가공한 데이터”라고 정의할 수 있다.

기업 활동 전반에서 생산하는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재구성해 비즈니스 전략에 녹이는 것이 우선되어야 ESG 정보 공시와 비즈니스 전환을 계획할 수 있다. 대기업은 협력사와 그룹사를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고, 중견·중소기업은 그러한 관리 체계에서 자사 ESG 경영을 점검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디지털 전환과 ESG 경영을 결합하는 ‘트윈 트랜스포메이션(twin transformation)’이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전환과 ESG 경영의 결합은 당연한 수순이며 전략적 선택이라고 말한다.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 디지털 기술 활용이 지속가능경영 추진의 핵심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ESG 경영은 ‘하면 더 좋은 것(nice to have)’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제 ESG에서는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이 ‘필수 전략’으로 여겨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