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구성원 관계 02 민군 관계 03 언론 관계 04 SNS 관계 05 국제 관계 06 쟁점 관리 07 위기관리 메시지 08 위기관리 시스템 09 프레임/프레이밍 효과 10 글쓰기 문화
이용현황보기
국방 커뮤니케이션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42799
355 -23-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42800
355 -23-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90848
355 -23-7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강한 군대는 소통 능력에서 나온다 박창식 전 국방홍보원장, ‘국방 소통’ 체계적 연구
흔히 ‘커뮤니케이션’ 하면 대인간, 또는 미디어를 매개로 하는 매스커뮤니케이션 등이 떠오른다. 실제 그 분야에서 많은 연구들이 이뤄진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생활 영역이나 전문 분야로 눈을 돌리면 의외로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타이틀을 가진 연구 영역이 많다. 많이 알려진 대로 의료 커뮤니케이션이나 과학 커뮤니케이션, 환경 커뮤니케이션 등 특정 영역의 소통과 이해를 돕기 위한 이론적, 기술적 연구가 활발하다. 그런데 잘 들어보지 못한 분야 중 하나가 국방 커뮤니케이션이다. 많이 생소하다. 군도 한 국가의 중요한 집단이고 대내외적으로 끊임없는 소통을 이어가고 있는 조직이라고 본다면 의외다. 따지고 보면 군의 특수성과 폐쇄성 등이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 쳐도 선진국 국방 당국들이 이런 분야에 연구 성과를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 군으로서는 비교적 뒤쳐진 영역이 아닐까 한다. 이런 안타까움에 ‘국방 커뮤니케이션’의 기본부터 실전 사례까지 망라한 좋은 책을 집필한 전문가가 있다. 박창식 전 국방홍보원장의 <국방 커뮤니케이션>은 이 분야 황무지에 뿌리 튼실한 씨앗이다.
저자는 국방 커뮤니케이션, 즉 군과 관련한 소통분야 전문가다. 언론인이자 언론학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학자이기도 한 저자는 문재인 정부에서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홍보원 원장을 지냈다. 국방부에서도 국방 관련 소통 업무 향상을 위해 전문가가 필요했을 터고,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저자가 적임자였는데 임무를 마친 저자가 더 큰 일을 해냈다. 불모지인 우리 국방 커뮤니케이션 영역의 모든 분야를 이론과 실제 사례까지 접목한 교범을 펴낸 것이다. 이 책이 의미 있는 것은 앞서도 언급했듯이 국방 홍보나 소통 등 커뮤니케이션 분야에 이렇다 할 지침서가 없는 상황에서 전문서를 펴냈다는 점이다. 그리고 국방 분야 소통 능력을 높여 우리 군의 능력을 발전시키겠다는 취지와 목적도 분명하다. 국방 영역의 여러 소통요인들을 다뤘다. 민군, 대언론, SNS, 국제관계, 쟁점관리, 위기 시 메시지와 관리 시스템, 국방 분야 글쓰기를 위한 팁까지 두루 망라했다. 그리고 이런 영역을 이해하기 위한 에피소드가 풍부해 읽는 맛도 좋다. 군 내에서 소통업무를 담당하는 병사부터 고급 간부까지 군인들의 필독서로 추천한다. 학계에서도 국방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는 좋은 교재가 될 것이다.
책속에서
시민사회와 군 관계를 다루는 군사학 영역을 민군 관계라고 부른다. 국방이 시민 생명과 안전을 지켜줘야 시민들이 경제와 문화, 사회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시민들이 국방을 지지할 때 국방은 구성원 역량이 커지며 시민사회를 잘 지키게 된다. -02_“민군 관계” 중에서
많은 사람이 요즘 SNS를 이용한다. SNS 시대에는 신문사와 방송사 같은 전통 미디어뿐만 아니라, 개별 매체 이용자도 뉴스와 콘텐츠를 생산한다. 전통적인 언론기관은 콘텐츠 생산 독점력과 영향력이 과거보다 줄어들었다. 이 현상을 PR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보면 어떨까? -04_“SNS 관계” 중에서
발생한 사건에 수동적으로 단기적으로 대응하는 게 위기관리라면, 쟁점 관리는 조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공공의제를 장기적으로 다양한 수단을 동원하여 홍보하는 활동(공중과 소통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06_“쟁점 관리(Issue Management)”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