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케이팝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01 한국의 음악산업
02 글로벌 음악 산업과 케이팝
03 케이팝의 탄생
04 케이팝의 글로벌 전략
05 케이팝과 아이돌
06 케이팝의 스토리텔링 전략
07 케이팝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08 케이팝의 팬덤
09 케이팝의 과학기술
10 케이팝의 확산

이용현황보기

케이팝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050906 781.630951 -23-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050907 781.630951 -23-1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95075 781.630951 -23-14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케이팝은 어떻게 세계 대중음악의 대세가 되었나?
한류 선두주자 케이팝에 대한 종합 연구서


케이팝의 세계적 위상에 대해서 이제 의심하는 사람은 없다. 초기만 해도 긴가민가하던 이들도 이제 ‘세계 대중음악의 대세’라는걸 인정한다. 그만큼 케이팝, 그리고 아이돌의 활약이 대단하고 그 성과가 엄청나기 때문이다. 단순한 ‘국뽕적’ 감성이 아니라 실제 케이팝과 그에 종사하는 가수들, 관련 산업이 일군 성과는 검증되고도 남았다.
여러 가지 지표에 취해 있는 사이, 그리고 해외에서 케이팝을 소비하는 소비자들의 환호에 젖어 있는 사이 케이팝은 산업적으로나 문화적 파급의 측면 등 여러 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취를 이루고 자리도 잡았다. 하지만 이런 성과에 대해 학문적 또는 이론적으로 접근해서 분석하는 등의 작업은 다소 소홀했지 않았나 싶다. 단편적 감상이나 의견의 글들, 파편적 분석과 연구는 없지 않았으나 케이팝 전반에 대해 집대성한 연구서나 단행본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한류의 중심 케이팝의 모든 것을 다룬 종합 연구서가 이번에 책으로 나왔다. 그동안 케이팝은 물론 K-컬처 전반에 대해 오래 연구해온 정지은 교수가 펴낸 <케이팝>이다.

이 책은 케이팝의 태생부터 성과, 글로벌 음악시장에서 위상, 글로벌 시장과 케이팝의 관계 등은 물론이고 케이팝의 성장 전략, 아이돌, 스토리텔링 전략, 팬덤, 과학기술 활용 등을 모두 다룬 종합보고서다. 케이팝에 대해 잘 모르는 이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내용도 알차다. 특히 아이돌의 세대별 성장과정이나 글로벌 팬 확보를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 변화하는 미디어 활용이나 소비자와 쌍방향 소통을 위한 미디어간 유기적 연결전략 등을 다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팬덤의 발전 양상 등의 이야기는 흥미진진하기까지 하다.

저자는 세계적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케이팝의 지난 과정을 점검하고 지속적인 성과를 위해서 케이팝에 대해 살펴봐야할 시점이 지금이라고 주장한다. 더 넓은 확장을 위해 케이팝 가수의 제작 시스템 개발, 소셜 미디어를 통한 글로벌 팬덤 구축, 첨단기술과 공연의 접목 등 혁신적인 시도도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케이팝이 변화와 성장을 계속해 갈 수 있도록 관련 업계나 정책 당국, 연구자는 물론이고 일반인들도 일독해볼 것을 권한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글로벌 음악 시장의 규모는 2021년 기준 492억 7400만 달러로, 2020년 대비 약 28% 증가하면서 코로나19 이전의 시장 규모를 회복했다. 2026년에는 770억 2500만 달러를 달성하며 글로벌 음악 시장 규모가 점차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즉, 코로나19로 인해 침체한 글로벌 음악 산업 시장은 점차 회복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인다.
-02_“글로벌 음악 산업과 케이팝” 중에서
글로컬라이제이션은 세계화와 지역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글로컬라이제이션은 지역의 세계화로 이해할 수 있으며, 세계적인 면과 동시에 다양한 지역의 문화가 보전되고 개발되어야 한다는 개념을 담고 있다. 케이팝 현장에서는 글로벌라이제이션, 로컬라이제이션,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들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04_“케이팝의 글로벌 전략” 중에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은 케이팝 콘텐츠의 기획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스토리(Story)’, ‘말하기(Tell)’, ‘상호작용(Interaction)’으로 구성된다. 케이팝의 스토리텔링은 가사 및 시각적인 요소를 포함한 퍼포먼스에도 다양한 스토리를 담는다.
-06_“케이팝의 스토리텔링 전략”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