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7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3
1. 연구의 필요성 13
2. 연구의 목적 16
제2절 개인정보 및 전자노동감시의 개념과 종류 17
1. 개인정보의 개념과 유형 17
2. 전자노동감시의 개념과 유형 20
제3절 개인정보처리의 근로조건성 22
제2장 근로자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현행 법제의 한계 24
제1절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이중적 성격 24
제2절 개인정보보호법의 노동관계 적용의 한계 26
1. 정보주체로서 근로자와 정보처리자로서 사용자 26
2. 개인정보처리의 대원칙 : 동의와 정당한 이익 27
제3절 통신비밀보호법ㆍ위치정보보호법의 한계 30
1. 통신비밀보호법의 노동관계 적용과 한계 30
2. 위치정보보호법의 노동관계 적용과 한계 33
제3장 해외 주요 국가의 근로자 개인정보보호 비교 36
제1절 독일의 근로자 개인정보보호법제 및 전자노동감시 규제 법안 36
1. 서론 36
2. 독일 기본법상 근로자 개인정보보호 등 관련 규정 38
3. 법률상 근로자 정보보호 관련 내용 45
4. 근로자에 대한 전자노동감시 규제 관련 법리 72
5. 소결 78
제2절 일본의 근로자 개인정보보호법제 및 전자노동감시 규제 법안 79
1. 법제도의 개관 79
2.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한 근로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전자노동감시 규제 82
3. 전기통신사업자법에 따른 전자노동감시의 규제 113
4. 노동관계법령에 의한 개인정보보호 117
5. 개인정보 취득ㆍ전자노동감시와 프라이버시권 침해 129
6. 시사점 133
제3절 호주의 근로자 개인정보보호법제 및 전자노동감시 규제 법안 134
1. 서론 134
2. 호주의 근로자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 137
3. 호주의 프라이버시법 138
4. Capital Territory주의 사업장 프라이버시법 150
5. 우리나라에서의 사업장 감시 법리와 Capital Territory주의 사업장 프라이버시법의 비교 156
6. 소결 164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166
제1절 해외 법제의 시사점 166
제2절 우리 법제의 개선 방향 168
1. 개인정보보호법 내 노동장의 신설 168
2. 노동법제 내 집단적 의사결정의 보완 170
3. 근로자 개인정보보호와 전자노동감시에 관한 국회 입법안 검토 171
참고문헌 175
판권기 179
[그림 3-1]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의 구성 137
[그림 3-2] 사업장 프라이버시법 개정 과정 15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3096078 | LM 342.0858 -24-4 | 서울관 법률정보센터(206호) | 이용가능 | |
0003096079 | LM 342.0858 -24-4 | 서울관 법률정보센터(206호) | 이용가능 | |
B000121651 | LM 342.0858 -24-4 | 부산관 의회자료실(2층) | 북큐레이션 (관내이용)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법률정보센터(206호) / 서가번호: 1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