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근대한국학의 뿌리와 갈래 : 서양 선교사, 일본 관학자, 조선 지식인을 연결하기 또는 다시 뒤섞기 / 육영수 지음 인기도
발행사항
파주 : 돌베개, 2024
청구기호
951 -24-37
자료실
[서울관] 의원열람실(회관),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부산관] 로비(1층 로비),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도서위치안내(서울관)  도서위치안내(부산관)
형태사항
332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돌베개 한국학총서 ; 24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2836850
ISBN: 9788971995013(세트)
제어번호
MONO12024000063285
주기사항
대등표제: New genealogy of modern Korean studies : (dis)connecting or reshuffling Western missionaries, Japanese public scholars, and Korean intellectuals during the colonial era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진흥사업단)의 한국학총서 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목차보기더보기

감사의 말
머리말

1부. 서양 선교사와 근대한국학의 첫 물결

1장. 서양 선교사와 근대한국학의 (재)발명
1. 19세기 중·후반 한국학 터 닦기: 전사前史(prequel)
2. 프랑스 가톨릭 선교사의 한국학 발명: 달레와 리델
3. 영·미 프로테스탄트 선교사의 한국학 재발명: 로스와 그리피스

2장. 한국학의 국제화와 콘텐츠 생산·개발의 포럼: 『코리안 리포지터리』와 『코리아 리뷰』
1. 19세기 말 한국학의 국제적 네트워크 만들기
2. 『코리안 리포지터리』에 투영된 한국학의 성격과 특징
3. 『코리아 리뷰』와 한국 속담 및 민담 채집
4. ‘선교사 제국주의’ 지식-권력의 도구로서의 근대한국학?

3장. 한국학 전문화와 시스템 만들기, 1900~1940년: 영국왕립아세아학회 한국지부
1. 영국왕립아세아학회 한국지부 창립과 영-미 네트워크의 강화
2. 『트랜잭션』의 콘텐츠와 주요 성격
3. 연구 주제의 개척과 확장: 생태·환경의 역사
4. 연구논문의 새로운 형식과 글쓰기 전략
5. 미래 한국학 전문가의 인큐베이터

4장. 19세기 말~20세기 전반 서양 선교사의 한국 문화예술 담론 만들기
1. 한국 문학의 기원과 품성 따지기: 게일-헐버트 논쟁
2. 선교사 2세대의 한국 미술 및 음악 비평
3. 한국 문화예술사의 시대 구분과 정전 만들기

5장. 서양 선교사와 근대 한국 민속 연구의 제1물결
1. 서양 선교사의 초창기 민속 연구 개척
2. 존스와 헐버트, 민속 연구의 확장과 심화
3. 한국 민속 연구 첫 물결의 알갱이와 쭉정이

2부. 식민지 시기 조선학 연구의 계보

6장. 일본제국의 ‘앎에의 의지’와 근대한국학의 제1.5물결
1. 근대 ‘일본제국’의 발명과 식민지 연구
2. 일본제국의 조선학 지식-권력 제작 공정에 끼어들기
3. 조선총독부의 조선학 골격 세우기
4. 은유적 기표인 근대한국학 제1.5물결의 지형도

7장. 비교사적 시각으로 재조명한 일본제국의 식민지 통치술
1. 서구제국의 식민지 통치 모델
2. 일본제국의 서구제국 식민지 통치 방식 응용하기
[톺아 읽기] 조선총독부의 조선학 길라잡이

8장. 조선학 연구 1세대와 한국 근대 지식인의 탄생
1. 조선학 연구 1세대: 이능화, 최남선, 안확
2. ‘식민지 계몽주의’를 넘어서
3. 한국 근대 지식인의 탄생과 조선학 연구의 세대 교체

9장. 아카데미 조선학의 제도화와 구별 짓기: 경성제국대학
1. 개교 100주년을 돌아보기
2. ‘제국’대학의 설립과 일본인 ‘공무원-지식인’의 등장
3. 경성제국대학의 식민지 지식-권력 만들기
4. 경성제국대학 조선인 졸업생과 조선학 연구

10장. 조선 미술사 연구의 제2물결: 고유섭 찾아가기
1. 일본 미술사의 거울에 비친 한국 미술사
2. ‘외국인’ 미술평론가 눈에 비친 조선 미술: 야나기 무네요시와 안드레아스 에카르트
3. 독자적 조선 미술사 서술을 위한 출사표?: 고유섭
4. 연결하기 또는 다시 뒤섞기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20489 951 -24-37 [서울관] 의원열람실(회관) 이용불가
0003120490 951 -24-37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24712 951 -24-37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3124713 951 -24-37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06230 951 -24-37 [부산관] 로비(1층 로비) 북큐레이션
(관내이용)
B000106231 951 -24-37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서양 선교사, 일본 관학자, 조선 지식인은 어떻게 따로 또 같이 근대한국학을 만들었는가?
    앎과 지식의 식민성을 넘어서기 위한 역사학의 모험!

    ■ 서양 선교사, 일본 관학자, 조선 지식인이 따로 또 같이 만든 근대한국학

    『근대한국학의 뿌리와 갈래』는 식민지 근대화론과 수탈론으로 포착할 수 없는 한국 근현대사의 새로운 국면을 밝힌다. 19세기 한국에 진출한 서양 선교사의 한국 이해, 식민지 시기 조선총독부와 일본인 학자의 조선학 만들기, 조선 지식인의 조선학 연구가 어떻게 근대한국학 담론을 따로 또 같이 형성했는지를 계보학과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재구성한다.

    ■ 근대한국학 제1물결, 제1.5물결, 제2물결: 너무나 혼성적인
    이 책은 서양 선교사가 선교의 목적으로 수행한 한국에 대한 앎에의 의지를 근대한국학 제1물결, 일제의 조선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한 지식-권력으로서 일본 학자의 조선학 연구를 제1.5물결, 조선 학자의 조선학 연구를 제2물결로 지칭하면서, 이 세 물결이 중첩되고 서로 밀고 당기면서 만들어내는 근대한국학의 형태와 무늬를 그린다. 근대한국학이 한국인의 고유한 관점으로만 형상화되지 않았을뿐더러, 한국다움이나 한국적인 것, 한국과 한국인을 이해하기 위한 근대한국학의 계보에는 서양 선교사의 오리엔탈리즘과 제국주의, 일본 학자의 식민사관, 그리고 이들로부터 자유롭지 않았던 조선인 학자의 ‘과학적 방법론’(실증주의)에 대한 강박, 서양 및 일본 따라 하기, 지적 방황이 모두 새겨져 있다.

    ■ 근대한국학의 출발, 오리엔탈리즘과 서구우월주의로 점철되다
    근대한국학을 발명한 주체는 프랑스의 가톨릭 선교사들이었다. 샤를 달레의 『한국천주교회사』는 프랑스 선교사들과 조선 가톨릭 신자들의 고난과 순교 이야기를 기록한 책으로, 서두에서 프랑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조선 역사와 문화를 간략히 소개한다. 샤를 달레의 조선 이해에는 오리엔탈리즘과 기독교 문명의 우월성, ‘선교사 제국주의’의 시각이 개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병인양요에서 프랑스 함대를 안내한 이는 프랑스 선교사 리델이었다), 이것이 문제적인 이유는 식민시대 일본 관학자가 이러한 견해를 타율성론, 정체성론, 당파성론 등의 식민사관으로 변형, 반복한다는 점에 있다. 개신교 선교사들 역시 한국을 이해하는 데 있어 진보사관에 입각한 서구우월주의와 오리엔탈리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기독교 선교사들의 국제적 네트워크로 기능한 학술 잡지들은 일본 언론매체와 활발히 교류하며 한국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교환했다. 또한 한국의 언어문화뿐 아니라 자연과 환경을 서양 과학의 보편적 체계로 포섭함으로써 근대적 ‘앎과 지식에의 의지’를 발현했다. 저자는 서양 선교사들이 발명한 한국학은 이후 일본 관학자들과 조선 지식인이 참조했다는 점에서 근대한국학의 출발이자 주요한 요소로서, 결코 무시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고 말한다.

    ■ 식민지 지배를 뒷받침하는 ‘앎과 지식’
    일본제국 인류학자와 민속학자의 조선 민간신앙 연구는 역설적으로 ‘식민지 근대화’라는 제국의 사명을 뒷받침하는 데 기여했다. 그리고 조선총독부와 관학 아카데미가 협업한 대표적 성과 중 하나는 조선사편수회의 『조선사』 간행이다(1932~1938). 『조선사』는 “일본 관학자들이 창출ㆍ축적한 조선학 연구”로서, 실증사학의 방법론이 구현되었다. 실증사학은 식민지 시기 일본 관학자들이 견지한 연구 방법론으로, 그들이 가르친 경성제국대학의 조선인 제자들에게 전수되었고, 해방 이후 한국 역사학계에도 장기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실증주의는 인문사회과학 방법론으로서 그 한계가 여실히 드러난 바 있으며, 특히 식민시대의 실증사학은 과학적 방법론을 표방하며 현실참여적 역사의식을 억제하고 식민사관을 공고히 하는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 일본 관학자와 조선 지식인의 결합과 공모: 앎과 지식의 식민성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인』(1921)과 스에마쓰 야스카즈의 『조선사 길잡이』(1936)는 조선총독부가 의뢰하고 일본인 관학자가 실천한 ‘식민지 한국학’의 결정판이자, “조선 통치를 위한 지식-권력의 길라잡이”다. 다카하시 도루는 조선반도의 지리학적 특성이 사상의 독창성 결여, 사대주의와 정체성(停滯性), 순종 의식을 낳았다고 평가하는데, 나중에 조선인 학자들이 이 지리결정론, 문화본질주의를 그대로 따라 했다는 점은 간단히 볼 문제가 아니다. 다카하시 도루의 경성제국대학 제자 조윤제는 스승이 『조선인』에서 범주화한 조선인의 특성을 재연하기라도 하듯 ‘은근과 끈기’로 한국인을 규정하기도 했다.
    스에마쓰 야스카즈의 『조선사 길잡이』는 조선의 “오천년 역사를 ‘발전’과 ‘계몽’에 이르기 위한 필연적 과정으로 종합”하는 식민사학의 압축판이다. 이 책은 일제의 패망으로 생명이 다하지 않고 약 20년 후에도 지속되는 놀라운 운명을 보여준다. 1963년 유엔 국제기구인 유네스코가 한국 역사를 전 세계에 소개하기 위해 간행한 『짧은 한국사』(A Short History of Korea)의 원본으로 바로 조선총독부가 기획ㆍ출간한 이 『조선사 길잡이』가 번역되어 재활용된 것이다. 저자 육영수는 한국 학계에서 이 사건에 침묵한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경성제국대학 일본 관학자와 그들에게 배운 한국인 학자 간의 암묵적 공모를 의심한다. 이 암묵적 공모는 근대한국학 담론의 엄연한 현실이다. 근대한국학 담론을 제대로 알고 성찰하는 것은 “앎과 지식의 식민성”을 극복하기 위한 시작점이 될 것이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