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필름 페미니즘 : 포괄적 입문 / 크리스틴 르네 홀, 디야나 옐라차 지음 ; 인현정, 안상원 옮김 인기도
발행사항
성남 : 에디투스, 2024
청구기호
791.436522 -24-1
자료실
[서울관] 의원열람실(회관),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도서위치안내(서울관)  도서위치안내(부산관)
형태사항
600 p. : 삽화, 초상화 ; 21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1535136
제어번호
MONO12024000064387
주기사항
원표제: Film feminisms : a global introduction
번역 감수: 황은주
참고문헌 수록

목차보기더보기

들어가는 글

1장. 여성 영화제작자와 페미니스트 저자(성)
2장. 관객과 수용
3장. 영화와 신체
4장. 스타: 젠더화된 텍스트, 순환하는 이미지
5장. 다큐멘터리: 지역의 현실, (초)국가적 시각
6장. 페미니즘과 실험 영화 및 비디오
7장. 서사영화: 젠더와 장르
8장. 영화에서 뉴미디어로: 새롭게 등장하는 페미니즘의 시각들

참고문헌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21803 791.436522 -24-1 [서울관] 의원열람실(회관) 이용불가
0003121804 791.436522 -24-1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106228 791.436522 -24-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중
B000106229 791.436522 -24-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필름 페미니즘』은 (책의 분량으로 짐작할 수 있듯이) 영화를 포함한 영상 매체에 관한 페미니즘 사유의 거의 모든 주제와 층위를 다루고 있을 만큼 포괄적이지만, 그렇다고 쉽게 읽힐 수 있는 개설서가 아닌 분석의 깊이와 더불어 논쟁적인 성격을 지닌 책이다. 여덟 장으로 구성된 책은 페미니즘 영화 연구에서 역사적 전환이 된 페미니스트 저자(성)의 발견에서 시작하여 관객과 새로운 독해의 가능성, 정신분석적 시선 이론에서 영화의 신체적 만남으로의 이동, 텍스트로서의 스타, 페미니즘 다큐멘터리의 실천과 초국가적 시선, 실험 영화의 전략과 형식, 서사영화(극영화)의 장르들과 젠더의 문제, 뉴미디어 시대와 새로운 페미니즘 시각들이라는 쟁점적 주제들을 갱신과 확장을 이뤄온 페미니즘 영화 이론이 어떻게 해석해 왔으며, 나아가 어떤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 가야 하는지를 탐문한다. 이는 영화와 페미니즘 간의 다양한 연결과 상호작용을 다루는 방대한 작업일 수밖에 없는데 무엇보다 두드러져 보이는 것은 책에서 일관되게 적용하는 초국적 지향성과 교차적 접근법이다. 이 점에서 두 사람의 공저자의 관점은 단호하지만 책은 특정한 정치적·이론적 입장을 지지하지 않고 다양한 페미니즘 영화 이론이 상호 경합하면서 논쟁을 통해 보다 역동적이고 생산적인 필름 페미니즘의 출현을 겨냥하고 있다. 각 장마다 텍스트와 관련된 이슈와 쟁점에 대한 토론을 제시하는 등 교육적 요소를 배치한 것도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로 서울국제여성영화제가 26회를 맞고 ‘씨네 페미니즘 학교’ 등 페미니즘 영화에 대한 관심에 부합하는 활동들이 있지만 정작 제대로 된 통합된 텍스트가 여전히 부재한 상황에서 『필름 페미니즘』의 출간은 분명 반길 만한 일이다. 환기해야 할 것은 필름 페미니즘은 페미니즘 운동의 파생물이 아니라 영화 연구와 이해 자체를 갱신하는 문제 제기로 출현하고 존재해 왔다는 점이다. 페미니스트는 물론이고 영화 연구자에게도 유용한 교과서로 읽히기를 기대한다.

    당신이 떠올릴 수 있는 여성 감독의 이름은 몇 개?

    “21세기에 이르렀는데도 여전히 사람들은 여성 감독 이름 다섯 개를 대는 것조차 어렵다고 생각한다.” 『필름 페미니즘』의 서두는 이런 말로 시작한다. 글쓴이는 더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분법적 성별에 속하지 않는 감독 이름을 단 하나 떠올리는 것조차 곤란하다고 느낄 것이라 추정한다. 한국의 상황도 결코 나을 바 없어서 굳이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등의 자료를 들여다보게 되면 여성 감독들이 이렇게 많다는 사실에 놀라다가도 일상에서 그 이름들은 머릿속에서 증발되어 버린다. 그 이름들은 소위 영화 시장을 지배하는 영화들과 인연이 없거나 다른 문법의 영화를 추구하는 탓이 크리라. 물론 이런 말을 끄집어내는 의도가 여성(들)이 만드는 영화가 시장을 지배하는 주류 영화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 마치 페미니즘의 목표가 여성에 의한 지배가 아니듯이, 페미니즘 영화가 불평등한 사회의 변화에 있는 한 영화의 존재 방식 또한 주류 영화와는 다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이는 주류 영화가 모두 만들거나 볼 만한 가치가 없다는 말이 아니며 『필름 페미니즘』의 저자가 결코 동의하지도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영화를 페미니즘 영화라 하며 그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우선 저자(책은 두 사람의 저자가 공동 집필한 것이지만 여기서는 단수로 칭한다)의 말처럼 감독이 여성, 트랜스젠더 혹은 비주류 인종에 속한다는 사실이 그들의 작품이 정치적으로 진보적임을 보장해 주는 것은 아니지만, 권력의 재생산과 이미지의 정치학에 관한 질문들, 그리고 그것이 이미지를 만드는 사람들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영화에 대한 페미니즘적 사유의 출발을 이루었던 것은 분명하다. 글머리에서 여성 감독의 이름을 거론한 이유도 이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600페이지에 이르는 『필름 페미니즘』은 영화를 포함한 영상 매체에 관한 페미니즘 사유의 거의 모든 주제와 층위를 다루고 있을 만큼 포괄적이지만, 그렇다고 쉽게 읽힐 수 있는 개설서가 아닌 분석의 깊이와 더불어 논쟁적인 성격을 지닌 책이다. 여덟 개의 장으로 구성된 책의 첫 장 역시 앞서 말한 영화를 만드는 주체와 관련이 있다. 여기서 저자는 남성 감독에 편중되어 있는 영화의 작가주의적 해석(작가성)에 대비되는 저자성의 개념으로 표준 영화사에서 삭제된 초기 여성 영화 선구자들에 대한 시야로 확장하며, 협업으로서의 영화 작업의 성격을 부각함으로써 여성 영화 제작들만이 아니라 연출 이외에 시나리오 작업과 촬영, 편집과 같은 영역에도 이 ‘저자성’의 개념을 적용한다. 하지만 이후 다른 쟁점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지만 여기서도 저자는 결코 젠더를 고정적이거나 본질주의적인 것으로 바라보는 입장을 경계한다. 퀴어, 인종, 계급, 탈식민성과 같은 사안들은 영화의 저자(주체)를 이야기할 때도 빠트릴 수 없는 고려 사항인 것이다. 다음은 『필름 페미니즘』이 지닌 특징과 장점을 요약한 것이다.

    『필름 페미니즘』의 장점과 특징

    - 『필름 페미니즘』은 갱신과 확장을 이어온 페미니즘 이론에 기반을 두면서 이것들이 영화 (혹은 다른 영상 텍스트) 해석에 어떻게 적용되어 왔고 그러한 비평적 입장들이 어떻게 경합하고 교차하면서 더 역동적이고 생산적인 페미니즘 영화 연구로 나아갈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겨냥하고 있다. 이 책의 서술이 ‘논쟁적’인 성격을 지닌 것은, 이를테면 페미니즘 영화 이론과 실천에 있어 선구적인 로라 멀비의 성과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그 한계를 동시에 비판적으로 극복하려는 입장들을 보여 줌으로써 비평적 사유를 확장하고 교차적으로 만드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서 비롯한다. 여기에는 초·중기 페미니즘 영화 이론이 포괄하지 못했던 철학적 사유들이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 교차적인 관점은 필연적으로 논쟁적일 수밖에 없으며 상대주의와는 다른 비교주의적 태도를 지탱하면서 고정되지 않은 개방적인 태도를 견지하는 것이다. 초기 페미니즘 영화 이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정신분석이나 기호주의적 혹은 구조주의적 해석틀은 경험주의의 문제의식과 직면하게 되는데 특히 들뢰즈/가타리 철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도 그러한 연유이다.

    - 책은 영화와 페미니즘 간의 다양한 연결과 상호작용을 다루는 방대한 작업이지만 저자가 페미니즘 영화 연구와 그와 관련된 지적 궤적들이 어떻게 교차하고 변화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들은 포스트식민주의, 초국가, 장애 연구, 비판적 인종 이론 등이다. 영화 연구의 주요 개념에 대해 젠더, 인종, 계급, 국가라는 사안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강조하는 것은 더 이상 특수한 관점이 아니라 필수적인 작업이라는 것이다. 책의 원제가 페미니즘을 복수형으로 쓴 것은 페미니즘이 하나의 통일된 정치적 지적 관점이 아니라는 사실을 표현하기 위해서인데 저자가 그럼에도 단호한 초국적 지향성과 교차적 접근을 선택하는 것은 모순된 것이 아니라 당연한 귀결로 읽힌다. 책의 각 장을 구성하는 다양한 영화/영상 텍스트들, 감독을 포함한 영화 제작자(저자)들, 이론적 텍스트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선택된 것들이다.

    - 여덟 장으로 구성된 책은 페미니즘 영화 연구에서 역사적 전환이 된 페미니스트 저자(성)의 발견에서 시작하여 관객과 새로운 독해의 가능성, 정신분석적 시선 이론에서 영화의 신체적 만남으로의 이동, 텍스트로서의 스타, 페미니즘 다큐멘터리의 실천과 초국가적 시선, 실험 영화의 전략과 형식, 서사영화(극영화)의 장르들과 젠더의 문제, 뉴미디어 시대와 새로운 페미니즘 시각들을 다루고 있는데 이는 주제의 단순한 나열이 아니라 페미니즘 영화 이론에 있어 쟁점적인 사안들로 선택된 것들이다. 이들 주제들은 그 자체로 한 권의 책으로 다룰 만한 것들이지만 저자가 이 주제들이 페미니즘 영화 연구에서 어떤 논쟁적 쟁점들로 전개되어 왔는지를 다루는 솜씨는 뛰어나다. 자칫 특정한 관점에서 섣불리 해석의 완성을 꾀하거나 닫아 두지 않는 것이 상대주의와 다른 것은 영화/영상 텍스트를 다룸에 있어 영화의 주체(저자성)의 측면만이 아니라 ‘관객성’의 측면에서 창조적이거나 전복적인 수용이 이루어지고 또 그렇게 되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특히 다큐멘터리나 실험 영화를 넘어 뉴미디어 시대에 저자/관객의 경계가 옅어지고 상호 침투적인 것이 될수록 이러한 관점은 필수적인 것이 될 것이다.

    - 끝으로 위의 관점에서도 『필름 페미니즘』은 한국에서 영화의 저자(들)만이 아니라 이를 기꺼이 수용하고 주체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관객 모두에게 필요한 책이 될 것이다. 책의 저자는 이들 양자 모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 요소와 장치들을 적극적으로 배치해 두고 있다. 저자가 책을 통해 의도하는 바는 무엇보다 한마디로 “이 책의 독자 중 일부는 의심의 여지없이 역동적이고 생산적인 방식으로 필름 페미니즘의 미래에 공헌할 것이다”라는 말 속에 담겨 있다. 어려운 여건에서도 서울국제영화제가 26회를 이어오고 있고 페미니즘 영화에 대한 연구와 토론이 계속되고 않지만 변변한 이론서도, 포괄적이면서도 깊이를 갖춘 텍스트를 찾기 어려운 현실에서 ‘교본’과 같은 책을 출간하는 의미는 적지 않다고 생각한다. 페미니즘이 여타 문학, 문화 예술, 인문·사회과학에 미친 영향과 변화를 생각할 때 영화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에게 일독을 권할 만한 책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P.7~8] 21세기에 이르렀는데도 여전히 사람들은 여성 감독의 이름 다섯 개를 대는 것조차 어렵다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사람은 이분법적 성별에 속하지 않는 감독 이름을 단 하나 떠올리는 것조차 곤란하다고 느낄 것이다(워쇼스키 자매는 예외다!). 감독이 여성, 트랜스 젠더 혹은 비주류 인종에 속한다는 사실이 그들의 작품이 어떤 식으로든 정치적으로 진보적임을 보장해 주는 것은 아니지만, 권력의 재/생산과 이미지의 정치학에 관한 질문들, 그리고 그것이 이미지를 만드는 사람들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언제나 영화에 대한 페미니즘적 사유의 한 측면이었다.
    [P. 20, 21] 영화학에서 작가(성)와 젠더는 오랫동안 복잡하고도 어려운 관계를 맺어 왔다. 그것은 남성이 여성보다 영화를 만들 기회를 훨씬 많이 얻어왔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 그 결과 작가(성) 개념에는 역사적으로 여성에게는 거부되어 왔던 창조적 권위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예를 들어, ‘천재’라는 단어는 머릿속에 남성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은 창조적인 문화적 · 지적 생산 영역이 대체로 남성의 관할 구역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최근 페미니즘 영화 연구에서 발생한 ‘역사적 전환’은 영화사 초기에 (‘작가(성)’와 구별되는) 저자(성)가 매우 활기차고 광범위하게 존재했다는 증거들을 점점 더 많이 발견한다. 작가가 생래적으로 영화제작자의 예술적 성취에 대한 성인전적 찬양을 요구할 때가 많은 반면, 저자는 좀 더 민주적이고 고도의 예술적 인정에 대한 부담이 덜하다. 달리 말하면, 저자는 반드시 통찰력 있는 천재(즉 작가)로 간주되지 않더라도 영화제작의 주요 책임자가 될 수 있 는 것이다. …… 표준적인 영화사에서 오랫동안 거의 무시당하다시피 해 왔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여성 영화 선구자들은 마침내 이 매체의 역사에서 정당한 지위를 부여받았다.
    [P. 23~24] 제인 게인스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질문을 제기한다. 왜 여성 영화제작자들은 유성영화의 출현과 함께 대거 영화계를 떠났는가? 페미니즘 영화 이론은 왜 그들을 ‘잊어 버렸는가’? 게인스는 이론과 역사 사이의 긴장을 되새기면서 후자의 질문이 더 복잡하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그 이유는 후자가 페미니스트 영화학자들에게 초창기 영화에서 여성이 영화제작자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한 것이 상당 기간 페미니즘 영화 연구의 사각지대에 남아 있었던 이유에 관해 생각해 보도록 하기 때문이다. 게인스는 “이 여성들이 왜 잊혀졌는지 묻는 것은 왜 우리가 그들을 잊었는지 묻는 것이다”라고 지적한다.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