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제1부 총론: 안보 개념과 연구 동향
제1장 국가의 불안
제2장 안보연구 동향

제2부 국가와 부문별 안보
제3장 국가: 기원, 성격, 구성, 형태
제4장 국 력
제5장 부문별 안보

제3부 취약성 감소와 국가안보
제6장 자주국방
제7장 동 맹
제8장 세력균형
제4부 위협 감소와 국가안보
제9장 집단안보
제10장 군비통제
제11장 통 합

제5부 위협 및 취약성 감소와 국가안보
제12장 다자안보협력
제13장 국제사회의 평화활동

부록
제14장 미국의 반중 봉쇄정책과 신냉전기 한국의 전략

이용현황보기

국가안보론 : 위협과 취약성의 딜레마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41734 355.033551 -24-10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41735 355.033551 -24-10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B000110371 355.033551 -24-10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머리말
국제질서가 어지럽다. 국제질서의 책임을 져야 할 국가가 오히려 국제규범을 위반하면서 다른 나라를 침공하는가 하면, 테러단체가 국가를 상대로 전쟁을 벌이기도 한다. 유럽과 중동 지역에서 2개의 전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또 다른 지역에서 전쟁의 기운이 넘쳐나고 있다. 동중국해와 한반도이다. 그런데 국제질서 유지에 영향력을 행사해야 할 미국에서는 대통령 선거 유세가 진행 중이다. 공화당 트럼프 후보를 향한 총격 사건으로 선거판이 요동치는 가운데 ‘미국 우선주의’가 급부상하고 있다.

제7판이 발간된 지 2년 반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세상은 완전히 딴 세상이 된 것처럼 보인다. 그만큼 세상이 급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협력을 통한 상생의 목소리는 줄어들고 국가이익을 우선하는 각자도생이 힘을 얻고 있다. 유엔의 안보리가 희화화되고 있는 가운데 하루가 다르게 군비경쟁이 일어나고 있다. 협력을 통해 상대방에 대한 위협을 줄이겠다는 자유주의적 시각이 퇴색하는 반면, 능력을 키워 취약성을 줄여야겠다는 현실주의적 시각이 급부상하고 있다. 이런 시각을 반영한 국제질서는 어지러울 수밖에 없다. 한국은 이런 어지러운 국제질서 속에서 주변국의 위협과 함께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동시에 대비해야 한다. 어려움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국가안보를 위한 지혜가 더 없이 요구되는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