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라이프 트렌드 2025 : 조용한 사람들 = Life trend 2025 : quiet & silent / 김용섭 지음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부키, 2024
청구기호
303.49 -24-21
자료실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도서위치안내(서울관)  도서위치안내(부산관)
형태사항
326 p. : 삽화, 도표 ; 23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3528365
제어번호
MONO12024000078746
주기사항
표제관련정보: 당신이 미처 몰랐던 일상 속의 진짜 트렌드! ; 조용한 사람들은 더 이상 불리하지 않다, 아니 유리하다
참고문헌 수록

목차보기더보기

프롤로그
: 조용한데 강력하다

Guide to Reading
: 2025년을 위한 24가지 질문, 그리고 15부류의 사람들

1장 조용한 사람들의 시대
: 욕망과 태도가 된 Quiet & Silent! 새로운 소비와 경제가 된다
Silent Travel과 Silent Walking: 왜 웰니스는 ‘조용함’을 주목할까? / 음소거 챌린지와 Sound Bath: 소리를 통한 세상과의 단절, 내면의 소리를 찾아서 / 조용한 사람들과 Introvert Economy / 치열한 경쟁 사회지만 ‘조용한 사람들’은 더 이상 불리하지 않다, 아니 유리하다 / AI 시대에는 조용한, 내향적인 리더가 더 필요하다 / Quiet Luxury와 Stealth Wealth에 대한 관심은 계속된다 / Quiet Vacationing, 일과 휴가의 경계가 조용하지만 강력하게 지워지다 / Quiet Firing과 Quiet Hiring: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간다 / Quiet Short-Form: 침묵의 리뷰가 확산되다 / 스텔스 가전과 스텔스 캠핑: 드러내지 않았을 때 얻는 것들 / 침묵 카페, 침묵 술집: 대화 금지를 당연하게 여기는 공간들 / 물멍, 불멍, 숲멍, 그리고 멍때리기: 우리는 왜 ‘멍’에 빠질까? / ‘조용함’이 욕망이 되고 트렌드가 되는 것은 마치 ‘숨 쉴 구멍’과 같다 / 가장 조용한 활동 ‘독서’: 왜 서울국제도서전에 사람이 몰렸을까?

2장 텍스트힙과 모형책의 묘한 관계
: 독서 열풍을 주도하는 Z세대, 그리고 책의 변신
왜 텍스트힙이 등장했을까? / 틱톡은 책을 좋아한다! 인스타그램도 / Reading is so sexy! 전 세계로 번진 Z세대 독서 열풍 / 공항 패션보다 공항 책: 한국의 Z세대에게는 책이 욕망의 도구가 될까? / 모형책과 책가도: 책이 굿즈가 되고 인테리어가 되는 것은 오히려 기회다

3장 Solopreneur, 역사상 가장 강력한 개인의 시대!
: 당신은 One-person Unicorn을 목격할 준비가 되었는가?
지금이 솔로프러너가 되기 가장 좋은 시기 / ‘Free Agent’보다 ‘Solo Entrepreneur’가 더 방향성에 맞다 / 솔로프러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는 것은? / 음악, 영화 분야에서 솔로프러너가 쏟아질 수밖에 없는 이유 / 세계적 특종을 보도한 1인 매체: 저널리스트가 솔로프러너로 거듭난다면? / One-person Unicorn이 가능할까? 왜 샘 올트먼은 가능하다고 여길까? / 솔로프러너로 시작해 대기업이 된 경우는 없을까? / 결국 사람이 전부다: 인재의 가치는 더 높아진다

4장 자발적 고립주의자들의 시대
: 외로움이 두렵지 않다! 타인은 결국 소음이다!
대표적 자발적 고립주의자인 ‘쇼펜하우어’ 열풍,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 그동안 우리 사회에 불었던 철학 열풍의 의미 / 타인은 지옥이 아니라 소음일 뿐이다 / 왜 한국인은 행복하지 않을까? 타인과의 비교 때문일까? / 자연인 또는 은둔형 외톨이: 이유가 무엇이든 계속 확산될 욕망 / 우리는 계속 ‘느슨한 연대’를 지향하고 있다

5장 한국에서도 시작될 비만 치료제 열풍의 나비 효과
: 의식주 트렌드를 가장 극적으로 바꾸는 티핑 포인트
한국에서는 언제부터 일론 머스크나 오프라 윈프리처럼 할 수 있을까? / 비만은 질병이다: 비만을 잡으면 수명이 늘어난다 / 비만 치료제에 대한 관심 증가가 라이프 트렌드에 미칠 영향 / 비만이 해결된다면 당신의 욕망은 어떻게 바뀔 것인가?

6장 과연 2025년에 Military Look이 유행할까?
: 밀리터리 룩이 뜬다면 OO에 투자하라!
글로벌 재무장, 전쟁 위험이 높아진 시대 / 군사력 순위 최상위권 국가에는 장기 집권하는 스트롱맨이 있다 / 중국이 대만을 공격하면 전 세계가 위험해진다 / 밀리터리 룩이 패션 트렌드가 되는 적당한 타이밍

7장 여행 욕망의 리셋! 경험, 솔로, 즉흥, 노마드
: 2025년 여행 지출이 최대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
여행 욕망, 이미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 체험과 유흥, 스포츠 이벤트를 위해 여행을 간다? / 나 홀로, 즉흥적으로 여행 가는 사람들, 그리고 노마드 / 데일리케이션: 일상 경험을 위해 한국에 오는 외국인 급증 / 일본 여행 열풍은 계속된다, 그리고 제주 위기도 계속된다

8장 늘어나는 Workoutholic과 Fun Running
: 왜 싱글일수록 운동에 진심일까? 왜 운동이 핵심 욕망이 되었을까?
당신도 운동중독? 운동홀릭족은 왜 늘어나는가? / 알코올중독자보다 운동중독자가 더 많아질 Z세대? / Health is the new wealth: 운동이 욕망이 된다는 의미는? / 덤벨 이코노미가 러닝 이코노미를 만들어내다: 러닝 열풍은 피트니스 열풍의 산물 / 경복궁 러닝 챌린지 해봤니?: 문화가 된 챌린지와 운동 챌린지

9장 자신의 죽음을 디자인하는 사람들, Well-Dying & Last Dance
: 어떻게 살 것인가만큼 어떻게 기억될 것인가도 중요하다!
자신의 장례식을 디자인하다: 당신도 사카모토 류이치처럼? / 함께 묻힐 친구 하카토모: 일본의 무덤 친구 문화는 왜 생겼고, 한국에서도 가능할까? / Death Meditation, 마음챙김의 새로운 트렌드 / 일본은 왜 종활이라는 말을 만들고, 종활 산업을 키웠을까?

10장 본격적 Climateflation 시대 & 소비 대상이 된 heirloom
: 의식주 트렌드를 바꾸는 이상 기후, 결국 머니 트렌드가 바뀐다
Climateflation은 이제 시작이다: 초콜릿과 오렌지주스 가격 급등 / 토마토가 사람 잡고, 스리라차 소스가 암거래된다? / 기후로 인한 인플레이션, 결국 우리는 돈으로 대가를 치러야 한다 / heirloom vegetable과 고대 작물을 탐하다 / 기후 변화로 인한 작물 재배지 변화와 자급자족, 그리고 비건

11장 욕망이 된 High-end Chair, 의자는 가장 작은 건축이다
: 의자에 눈뜬 사람들에 의해 의식주 트렌드가 바뀐다?
어떤 의자를 가졌는지가 욕망이 되기 시작한 한국 / 전 세계 유일무이한 Chair 전문 잡지가 한국에서 시작되다 / 의자는 가장 작은 건축이다: 왜 High-end Chair가 잘 팔릴까? / 온라인에서 팔리는 2000만 원짜리 의자? 하이엔드 체어에 눈뜨는 한국의 중산층 / 의자에 대한 욕망의 보편적 확대와 영포티피프티 / 전 세계 고급 가구 시장은 계속 성장한다: 특히 한국은 잠재력이 크다!

12장 AI at Work와 AI 스트레스
: 일하는 방식이 바뀌면 인재상, 채용과 교육, 부동산 시장이 다 바뀐다
일하는 방식이 바뀐다: 메가 트렌드가 된 AI at Work / 한국의 대기업도 다 시작한 AI at Work / 채용이 바뀐다: 직업(직책) 중심에서 작업(직무) 중심으로 바뀐다는 것은? / 아직 끝나지 않은 대사직 시대 / 사무실이 바뀐다: 부동산 시장도, 상권도 바뀐다 / ABS와 공정성, 그리고 탈연공서열 / 이제 진?증강 인류의 시대가 열렸다: 과연 당신은?

참고자료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42845 303.49 -24-21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이용중
0003142846 303.49 -24-21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52227 303.49 -24-21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52228 303.49 -24-21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테마코너
(자료실내 이용)
B000114627 303.49 -24-2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중
B000114835 303.49 -24-2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중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조용한 사람들의 조용한 행동, 조용한 욕망이 거세지고 있다!
    2025년 전방위로 밀어닥칠 ‘조용함’ 트렌드의 강력한 물결


    2013년 첫선을 보인 《라이프 트렌드》는 국내 최고의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전문 시리즈로 매해 핵심 트렌드를 날카롭고 흥미진진하게 전망, 분석하면서 12년 연속 베스트셀러 자리를 지켜왔다. 이번 《라이프 트렌드 2025: 조용한 사람들》에서는 ‘조용함(Quiet & Silent)’을 가장 중요한 트렌드로 주목한다. 요란하고 복잡하고 갈등 많은 경쟁 사회에 지친 사람들은 이제 소음과 과잉 연결, 타인과의 관계와 교류에서 벗어나 홀로 활동하고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기를 더 강하게 욕망한다. 패션 분야의 조용한 럭셔리에서부터 조용한 여행, 조용한 걷기, 스텔스 가전 , 스텔스 캠핑, 음소거 챌린지, 멍때리기, 조용한 숏폼, 조용한 휴가, 조용한 사직, 조용한 해고, 조용한 고용, 내향적 리더, 내향성 경제 등에 이르기까지 오늘날 ‘조용함’은 전방위적 트렌드 코드로 자리 잡았다.
    그간 외향적인 사람들이 주목받았던 것은 집단주의 문화가 강한 한국뿐 아니라 산업화 이후 전 세계가 동일했다. 하지만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개인주의가 우세해지고 AI와 로봇, 스마트폰, 컴퓨터와 인터넷 같은 도구를 활용해 살아가고 일하고 관계 맺고 소비하는 시대가 되면서 외향적 성격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사라지고 있다. 대신에 ‘조용함’이 새로운 욕망과 태도로 떠오르며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다. ‘조용한 사람들’의 소비와 패션, 라이프스타일과 감성, 취향과 문화가 소리 없이, 그러나 강력하게 세상을 바꾸고 있다.

    2025년, 소리 없이 강한 ‘조용한 사람들’이 온다

    “내향적인 사람들이 미국 경제를 장악했다.” 경제학자 엘리슨 슈래거가 2024년 1월 블룸버그에 기고한 칼럼 제목이다. 이른바 ‘내향성 경제(Introvert Economy)’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대담한 주장이다. 내향적인 사람들이 경제를 장악했다고까지 말할 수 없을지는 몰라도, 내향성 경제가 커진 것만은 분명하다. 집 밖 사회 활동이나 모임, 야외 활동은 줄어드는 반면 집 안 콘텐츠 소비는 늘어난다. 유튜브나 틱톡, 넷플릭스를 비롯한 OTT, 인스타그램을 비롯한 SNS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외식보다 배달 음식을 더 많이 먹고, 회식은 꺼리지만 혼술은 즐긴다. 온라인 게임, 웹툰, 온라인 쇼핑에 시간과 돈을 더 많이 쓰고, 사람보다 반려동물, 반려식물, 반려로봇에 대한 수요와 지출이 증가한다. 자기계발, 건강, 안티에이징, 패션 등 개인을 둘러싼 다양한 영역에서 내향성 소비가 계속 등장하고 새로운 유행으로 이어진다.
    이제 소비자든 유권자든 근로자든 내향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사람들, ‘조용한 사람들’을 주류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인간이 사회적 동물인 것은 변함없다. 하지만 컴퓨터와 인터넷, 스마트폰, AI와 로봇 같은 도구를 활용해 살아가고, 일하고, 관계 맺고, 소비하는 시대가 되면서 외향적 성격을 가져야 할 필요성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일상과 일 모두에서 꼼꼼하고 계획성 있고 집중력 높은 ‘조용한 사람들’의 성향과 역할이 더 빛을 발하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것은 사회의 변화이자 소비,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문화 전반의 진화다.
    인위적인 소음과 과잉 연결이 만연한 사회에서 ‘조용함(Quiet & Silent)’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만들어갈 2025년의 대한민국을 한발 앞서 만나보자.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과 문화, 비즈니스와 마케팅에 영향을 미칠 트렌드에 대한 남다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조용한’ 욕망과 ‘조용한’ 행동이 거침없이 세상을 바꾸고 있다

    국제웰니스연구소에 따르면, 웰니스 관광(여행) 규모는 연간 6510억 달러로 2027년까지 연평균 16.6퍼센트 증가가 예상된다. 그동안 여행은 ‘새로운 것을 보고 경험하는’ 것, ‘사진이나 영상에서 보던 곳을 직접 가보는’ 것이라는 의미가 컸다. 그런데 이제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자기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온전히 자기만의 시간을 보내겠다는 이들이 늘어났다. 그래서 트렌드의 중심으로 떠오른 것이 웰니스 여행, 그중에서도 ‘조용한 여행(Silent Travel)’ ‘침묵 여행(Silent Tourism)’이다. 사람들은 조용한 여행을 통해 인위적 소음에서 벗어나 스마트폰을 내려놓고 자연의 소리를 듣거나 침묵과 고요 속에서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려 한다. 조용한 여행에서 주인공은 자기 자신이다.
    오늘날 ‘조용함(Quiet & Silent)’ 또는 ‘조용한 사람들’ 트렌드가 여행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갈수록 거센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패션에서는 조용한 럭셔리(Quiet Luxury)와 스텔스 웰스(Stealth Wealth)에 대한 관심이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패션과 행동에서 겸손하고 절제된 스타일’을 뜻하는 ‘드뮤어(Demure)’ 스타일도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 일에서는 일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마치 휴가 가 있는 것 같은 상황을 일컫는 조용한 휴가(Quiet Vacationing)와 언제든 더 좋은 일자리로 이직할 기회를 엿보며 잘리지 않을 정도로만 일하는 조용한 사직(Quiet Quitting), 직원 재배치나 직무 평가 강화, 급여 인상 거부, 승진 기회 박탈 등 간접적인 해고 사인을 주는 조용한 해고(Quiet Firing, Quiet Cutting)와 직원 재배치로 역할을 전환시키거나 단기 계약직을 고용하는 조용한 고용(Quiet Hiring)이 확산되고 있다. SNS에서는 말없이 제품 리뷰를 하는 등의 조용한 숏폼(Quiet Short-Form)이 확산되고, 여행에서는 조용한 여행과 조용한 걷기(Silent Walking) 외에 스텔스 캠핑(Stealth Camping)이 등장했으며, 스텔스 가전도 인기다. 이 밖에 음소거 챌린지(Mute challenge)와 사운드 힐링 또는 사운드 테라피의 일환인 사운드 배스(Sound Bath), 대화 금지가 규칙인 침묵 카페와 침묵 술집, 멍(불멍, 물멍, 산멍, 숲멍)과 멍때리기 대회, 독서 활동 등이 유행하고 있다. 나아가 조용하고 내향적인 사람들의 리더십과 역할이 재조명되고, 소비와 라이프스타일에서 내향적인 사람들이 중요해진다는 ‘내향성 경제’까지 등장했다. 이렇듯 ‘조용함’을 추구하는 욕망은 현상을 넘어 트렌드가 되었다.

    2025년 라이프 트렌드를 주도할 12가지 키워드

    《라이프 트렌드 2025: 조용한 사람들》에서는 ‘조용함’과 ‘조용한 사람들’ 외에도 2025년에 우리가 주목해야 할 다양한 핵심 트렌트 코드를 선보인다.
    먼저 ‘ 텍스트힙과 모형책’에서는 “독서는 너무 섹시하다”라고 말하며 독서 열풍을 이끄는 Z세대와 책의 변신을, ‘솔로프러너와 1인 유니콘’에서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개인의 시대가 도래했음을 주목한다. ‘자발적 고립주의자’에서는 타인은 소음일 뿐이라고 여기는 사람들의 증가를, ‘비만 치료제’에서는 만병의 원흉인 비만을 해결하는 약이 불러올 전방위적 변화를, ‘밀리터리 룩’에서는 갈수록 높아지는 전쟁 위험과 패션의 만남을 다룬다. 또한 ‘여행의 리셋’에서는 경험, 솔로, 즉흥, 노마드 여행 욕망의 보편화를, ‘운동중독과 러닝 열풍’에서는 “건강은 새로운 부”라는 인식과 실천의 확산을, ‘죽음 디자인하기와 웰다잉’에서는 장례식 디자인, 무덤 친구, 죽음 명상, 종활 산업이 떠오르는 이유를, ‘기후플레이션과 에어룸’에서는 기후 위기가 초래하는 먹거리 변화를, ‘하이엔드 체어’에서는 고급 가구에 눈뜨는 한국 중산층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조용함’만큼이나 중요한 트렌드 코드인 ‘AI at Work와 하이브리드 워크’에서는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초래할 거대한 지각 변동을 전망한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P.23~24] 1장 조용한 사람들의 시대
    요란하고 복잡한 세상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조용함Quiet & Silent’이 욕망이 되고 태도가 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전개다. 이는 단지 ‘소음’에 대한 청각적 반작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인간관계에서는 갈등을 전면에 드러내며 부딪히기보다 은밀히 조용히 몰래 처리하기를 바라고, 자신에게 더 집중하기 위해서도 타인이 만드는 소음을 줄이기를 바란다. ‘조용한 사람들’이라는 트렌드는 오늘날 우리의 핵심적 욕망이다. 패션에서는 올드 머니 트렌드의 한 요소인 조용한 럭셔리Quiet Luxury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일에서는 조용한 사직Quiet Quitting, 조용한 해고Quiet Cutting, 조용한 고용Quiet Hiring에 이어 조용한 휴가Quiet Vacationing로까지 번지고 있다. SNS에서는 말 없는 조용한 숏폼Quiet Short-Form이 확산되고, 여행에서는 조용한 여행Silent Travel, 스텔스 캠핑Stealth Camping, 스텔스 차박 등이 대두되었다. 이밖에 조용한 걷기Silent Walking, 음소거 챌린지Mute challenge 등 ‘조용함’을 강조하는 욕망이 현상을 넘어 트렌드가 되었다. 특히 조용하고 내향적인 사람들의 리더십과 역할이 재조명되고, 소비와 라이프스타일에서 내향적인 사람들이 중요해진다며 미국에서는 ‘내향성 경제’라는 말까지 등장했다. 조용한 사람들이 우리의 의식주를 어떻게 바꾸고, 삶의 태도와 소비의 욕망을 어떻게 바꾸는지 주목해보자.
    [P. 37] 밖에서 하는 사회 활동이나 모임, 야외 활동이 줄어드는 반면 집 안에서 하는 콘텐츠 소비는 늘어난다. 유튜브나 틱톡에서 더 많은 영상을 보고, 넷플릭스를 비롯한 OTT, 인스타그램을 비롯한 SNS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외식을 하기보다 배달 음식을 더 많이 시켜 먹고, 회식은 꺼리지만 혼술은 즐긴다. 온라인 게임, 웹툰, 온라인 쇼핑에 더 많은 시간과 돈을 쓰고, 사람보다 반려동물, 반려식물, 반려로봇에 대한 수요와 지출이 더 많아질 것이다. 자기계발, 건강, 안티에이징, 패션 등 개인을 둘러싼 다양한 영역에서 내향성 소비의 특성이 반영되는 이슈들이 계속 등장하고 새로운 유행으로 이어질 것이다.
    [P. 39] 소비자든 유권자든 근로자든 이제 개인주의적이고, 조용하고, 내향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을 주류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사회의 변화, 소비의 진화다.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것은 변함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AI와 로봇, 스마트폰, 컴퓨터와 인터넷 같은 도구를 활용해 살아가고 일하고 관계를 맺고 소비하는 시대가 되면서 외향적 성격을 가져야 할 필요성, 외향적 성격을 드러낼 기회가 줄어들기 쉽다. 과거에는 내향적인 사람이 외향적으로 성격을 바꾸어서 마침내 사회적 성공을 거두었다는 식의 스토리가 많았지만, 이제는 굳이 그러지 않아도 성공할 수 있다.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