Ⅵ. 바닷새 조사 제1절 바닷새 서식현황 제2절 법정보호종 분포현황 제3절 바닷새 도래기준에 따른 서식지 등급화 제4절 바닷새 이동 및 서식현황 연구 제5절 바닷새 조사 시민 모니터링 활용 방안 제6절 요약 및 결론
Ⅶ. 해양생태축 공간범위 설정 제1절 서론 제2절 축별 세부 설정·관리(안) 마련 제3절 해양생태축 정책활용도 제고를 위한 추진로드맵(안) 제4절 해양생태축 설정 지정 고시(안) 참고문헌
Ⅷ. 종합결론 및 제언
이용현황보기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 해양생태총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B000112280
577.7 -24-17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는 기존의 개별조사사업(연안습지기초조사, 해양생태계기본조사, 해양보호구역 조사·관찰, 해양생물다양성 조사 등)을 하나로 통합하여 해양생태계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개편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조사주기를 1~2년으로 단축하여 그간의 조사에서 누락되었던 시계열 자료를 확보함과 동시에 과거-현재-미래를 비교·판단·예측할 수 있는 과학적 자료의 축적이 가능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해양을 2개의 권역으로 나누어 2년에 한번 해양생태계 일반 현황을 파악하고, 중점조사지역을 선정하여 매년 조사함으로써 해양환경 변화에 반응하는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