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다시, 제노사이드란 무엇인가 / 강성현 지음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푸른역사, 2024
청구기호
364.151 -24-2
자료실
[서울관] 의원열람실(회관),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부산관] 로비(1층 로비),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도서위치안내(서울관)  도서위치안내(부산관)
형태사항
365 p. : 삽화, 초상화 ; 23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6122869
제어번호
MONO12024000081479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2020년도 성공회대학교 교내 연구활동 지원 사업에 의한 연구임

목차보기더보기

머리말

제1장 폭력 비판에서 제노사이드 연구로
1. 폭력과 제노사이드
폭력이란|합법적 폭력과 정당한 폭력|법의 폭력성|반-폭력의 상상력|극단적 대량 폭력으로서 제노사이드
2. 폭력 연구의 계보
베버와 폭력 독점체로서 국가|갈퉁과 구조적·문화적 폭력|부르디외와 상징적 폭력|폭력의 사회학|현대성과 폭력
3. 망각에서 응답으로: 제노사이드 연구의 확장과 사회학
제노사이드 연구의 선구자들|사회과학과 제노사이드 연구|법학과 제노사이드 연구|제노사이드 연구가 봉착한 한계들

제2장 제노사이드의 탄생
1. ‘이름 없는 범죄’를 대면하고 응답하다: 라파엘 렘킨의 활동과 연구
생존을 넘어 운명을 자각하다|법과 언어로 미국과 유엔을 설득하다|“삶의 본질적인 토대들에 대한 파괴”
2. 국제법상의 범죄로 이를 방지·처벌해야 한다: 협약의 내용과 한계
3. 밀고 당기다가 타협하다: 협약의 쟁점과 논쟁
정치적 집단 포함 여부|제노사이드의 범위와 규모|‘의도’의 입증|제노사이드 방지와 처벌 방법|협약 논쟁의 의미

제3장 학계의 제노사이드 논쟁과 비판
1. 물리적인 대량 학살로 축소되다: 제노사이드 정의 논쟁의 쟁점과 비판
제노사이드를 정의한 첫 사회학자, 대드리안|협약 정의의 활용과 극복 사이에서, 페인과 초크·조나슨|초크·조나슨과 차니의 정의를 둘러싼 논쟁들
2. 어디까지가 제노사이드인가: 제노사이드 범위 논쟁
홀로코스트와 제노사이드|유일무이한 홀로코스트|홀로코스트 유일무이성의 상대화|‘민족 청소’|‘민족 청소’의 국제법 용법과 제노사이드|‘민족 청소’와 제노사이드에 대한 학술 논쟁|제노사이드와 ‘사이드’들|폴리티사이드|에쓰노사이드|젠더사이드|‘사이드’들
3. 제노사이드 메커니즘 연구로
구조적 접근과 메커니즘 연구|사회심리적 메커니즘 연구|단계적 메커니즘 연구

제4장 제노사이드 이론의 사회학적 재구성
1. 의도: 제노사이드 행위 의도와 사회적 관계의 사회학
의도에 대한 법적 접근의 한계|제노사이드 행위의 ‘의도’에서 사회적 갈등의 ‘구조’ 이해로
2. 집단: 민간인 사회 집단과 사회학적 접근의 가능성
집단에 대한 법적 접근의 한계|“국민·민족·인종·종교 집단”에서 민간인 사회 집단으로
3. 파괴: 사회적 파괴이자 전쟁의 한 형태
집단의 사회적 파괴|제노사이드와 전쟁 간의 관계

제5장 제노사이드와 한국전쟁 전후 대량 학살
1. 제노사이드 정의와 메커니즘의 재구성
다시, 제노사이드란 무엇인가|제노사이드 메커니즘의 재구성
2. 제노사이드로 구성한 한국전쟁 전후 대량 학살
정부 수립 및 한국전쟁 전후 대량 학살|무장 권력 조직들의 조직화|민간인 사회 집단들의 타자화|파괴와 부정

에필로그
“전시에는 사람을 재판 없이 죽일 수 있다?”|‘뉴라이트 김광동’|진실 규명이 아닌 부역자 심판기관?|제노사이드 범죄로 기소당한 이스라엘|76년 추방, 57년 점령, 17년 봉쇄|제노사이드 범죄에 대한 국가 책임과 가해자 처벌의 가능성

ㆍ 주
ㆍ 참고문헌
ㆍ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46817 364.151 -24-2 [서울관] 의원열람실(회관) 이용불가
0003146818 364.151 -24-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54078 364.151 -24-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54079 364.151 -24-2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B000113818 364.151 -24-2 [부산관] 로비(1층 로비) 북큐레이션
(관내이용)
B000113819 364.151 -24-2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정의正義 실현을 위해 새로운 정의定義를”
    은폐와 회피를 넘어 제노사이드를 묻다

    이 책은 제노사이드의 정의를 새롭게 구성하고, 이를 현대 사회의 극단적 대량 폭력 문제와 연결한 중요한 연구서다. 지은이는 다양한 이론과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제노사이드는 단순히 물리적 대량 학살을 의미하지 않으며, 민간인 집단에 대한 폭력적 파괴 행위가 사회적‧정치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과정임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제노사이드의 정의와 범위, 그리고 메커니즘을 법적 차원을 넘어 사회학적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있다. 즉, 제노사이드의 복합적 성격을 분석하여 새로운 정의를 제시하고 방지 방안을 종합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국제협약의 한계와 새로운 정의를 향한 도전

    제노사이드Genocide라는 개념은 라파엘 렘킨이 처음 정의한 것으로, 1948년 유엔 제노사이드 협약을 통해 국제법상 금지되고 처벌 가능한 범죄로 자리 잡았다. 한국 정부는 1950년 한국전쟁 중 이 협약에 가입하였고, 외교부는 이를 ‘집단살해죄의 방지 및 처벌에 관한 협약’으로 번역했다. 당시에는 이승만 정권이 ‘부역자 학살’과 같은 극단적 대량 폭력을 저지르고 있었는데, 이것이 협약에서 정의하는 제노사이드에 해당할 수 있는지 논란이 있을 수 있다. 협약 제2조는 제노사이드를 특정 집단을 파괴할 의도로 행해지는 다양한 폭력 행위로 규정하고 있지만, 문제는 그 ‘의도성’ 입증에 있다. 가해자는 전쟁 상황이나 비상사태를 이유로 자신들의 의도를 부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그동안 국제사회는 제노사이드 범죄를 처벌하는 데 한계를 느꼈다.
    이 책은 라파엘 렘킨의 연구와 활동, 유엔 제노사이드 협약의 탄생 과정, 그리고 그 한계를 심도 있게 분석하여 제노사이드의 정의를 사회학적으로 재구성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국내외 제노사이드 이론과 다양한 사례를 깊이 연구해온 지은이는 제노사이드가 단순히 법적 틀에 갇혀서는 안 되며, 사회적 파괴와 그에 따른 폭력의 구조적 맥락에서 더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1990년대 이후 서구 학계에서 이루어진 정의 논쟁definition debate은 제노사이드의 개념을 더욱 명확히 하려는 시도였지만, 그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오히려 ‘민족 청소’ 같은 개념이나 폴리티사이드, 에쓰노사이드, 젠더사이드 등 다양한 하위 개념들이 등장하면서 학문적으로 제노사이드의 정의는 혼란스러워졌다. 이 책은 이러한 흐름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새로운 정의를 제시하려는 의도로 집필되었다.

    “단순 대량 학살이 아닌 사회적 파괴”

    제노사이드는 단순히 살해 행위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집단의 문화, 제도, 생활 방식을 파괴하는 사회적 파괴의 의미를 지닌다. 유엔 협약이 제노사이드를 물리적 파괴로만 규정하는 한계 때문에, 지은이는 협약을 넘어선 정의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제노사이드는 단순한 전쟁범죄가 아니라, 폭력과 파괴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현상임을 지은이는 설명하며, 그 폭력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필요성을 주장한다.
    지은이는 마틴 쇼를 따라 제노사이드가 민간인 사회 집단을 파괴하려는 무장 권력 조직과 이에 저항하는 사회 집단 간의 폭력적 사회 갈등이라는 관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제노사이드 행위가 무장 권력 조직들이 민간인 사회 집단들을 적으로 다루거나, 무장 권력 조직들이 그 집단들의 성원으로 간주한 개인들에 대해 살해와 폭력, 강제력을 이용해 그 집단들이 실제 가지고 있거나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사회적 힘을 파괴하려는 행위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와 함께 제노사이드 메커니즘 연구를 통해서 사회적 파괴와 물리적 폭력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제노사이드는 단순히 살해 행위 이상의 것을 포함하며, 이는 사회적 파괴를 통해 집단의 정체성과 문화를 파괴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주 4·3 사건 등 한국의 대량 학살 다시 보기

    지은이는 제주 4·3 사건과 한국전쟁 전후의 대량 학살을 새로운 제노사이드 정의와 메커니즘의 차원에서 재해석한다. 한국에서는 제노사이드를 ‘국가폭력에 의한 대량 학살’로 인식하고 논의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논의들은 ‘일반적인 집단 학살’과 구분되는 제노사이드의 핵심적인 특징을 ‘국가 범죄’라는 점에서 찾았다.
    지은이는 앞선 논의들과 차별적으로 제주 4·3 사건, 여순사건, 예비검속 사건, 형무소 사건, 국민보도연맹 사건, 부역 혐의 사건, 군경토벌 관련 사건, 미군 사건, 적대세력 관련 사건으로 범주화된 작전·처형·보복의 성격을 갖는 대량 죽음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고, 연속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대량 학살 사건들은 국가 및 전쟁 형성이라는 두 국면과 맞물려 발생했던 하나의 제노사이드 내 여러 ‘에피소드적 사건’들이라 주장하고 있다.
    지은이는 가해 무장 권력 집단들의 조직화, 표적이 된 민간인 사회 집단들에 대한 타자화, 그리고 총체적 파괴와 부정 단계에서 작동한 정치·사회심리적 메커니즘들로 구분해 한국의 제노사이드의 역사를 재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장 권력 집단들의 조직화에서 이데올로기, 내부집단의 조직화, 상호 보복과 광기화라는 단계로, 민간인 사회 집단들의 타자화에서 분류와 낙인, 상징화, 비인간화와 젠더 단계로, 파괴와 부정에서는 내전 상태와 국지적 학살, 전면전 개시와 ‘불순분자’ 처리, 미군의 피란민 인식과 대량 폭력, ‘부역자 처리’와 극단적인 대량 폭력, 부정으로 구분해 역사사회학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의도’ 입증 여부, 폭력과 ‘학살’의 의미를 꼼꼼히 따지며 이 과정에서 이러한 폭력이 발생하기 전 사회적 갈등이 어떻게 폭력으로 발전하는지를 보여준다.

    전시 민간인 학살은 불가피하다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는 제노사이드 범죄의 현대적 양상을 잘 보여준다. 이스라엘 네타냐후 정부는 하마스와 연결된 잠재적 부역자라는 인식을 퍼뜨리거나 타자화해왔다. 그리고 현 군사작전이 대테러 진압 작전이고, 그에 따른 팔레스타인 민간인·피란민 대량 학살과 대규모 사회적 파괴를 ‘부수적 피해’라는 명목으로 정당화하고 있다. 지은이는 제노사이드가 여전히 현대 사회에서 너무나 심각한 문제이고, 이러한 상황이 예외적 사례가 아니라 앞으로 빈번해질 것이라고 경고한다.
    지은이는 뉴라이트인 김광동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이 법 취지와 상반되게 전시에 민간인 희생이 불가피하다고 인식하고 발언하는 것은 불법성 차원을 넘어서 국가 및 국가 후원에 의한 가해자 단체들의 부역자 학살을 정당화하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그리고 제노사이드의 책임을 회피하고, 폭력적 행위를 합리화하려는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시도와 유사하다고 강조한다. 이 두 사례는 모두 민간인 학살을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문제를 보여주며, 제노사이드 범죄에 대한 새로운 대응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제사회가 제노사이드 발생을 막기 위해 어떻게 개입할 수 있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도 모색한다.
    지은이의 주장은 매우 설득력 있으며, “우리는 단순히 역사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역사에 응답해야 한다”는 메시지는 독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P.26] 합법적인 것의 폭력성은 저항권의 행사나 시민 불복종이 있을 때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혁명적인 상황에서는 더 강렬하게 드러난다. 혁명은 기존 법질서를 총체적으로 전복하고 새로운 헌법을 수립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P. 28] 진압과 학살이 단지 물리적인 차원에서만 폭력적으로 진행된 것이 아니라 법과 결합되어 전개되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P. 30] 1948년 11월 17일 ‘제주도지구 계엄 선포에 관한 건’이 국무회의를 통과해 대통령령 제31호로 시행됐다. 놀라운 점은 당시 계엄법이 없었다는 것이다. 계엄 선포 절차의 기본이 없었다는 말이다. 심지어 그 공간에서 군대는 헌법상 국민의 기본권을 정지시킨 채 생사여탈권을 휘둘렀다.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