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세계사를 만든 30개 수도 이야기 : 언어학자와 떠나는 매력적인 역사 기행 / 김동섭 지음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미래의창, 2024
청구기호
909 -24-56
자료실
[서울관] 의원열람실(회관),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부산관] 로비(1층 로비),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도서위치안내(서울관)  도서위치안내(부산관)
형태사항
423 p. : 삽화, 도표, 지도, 초상화 ; 23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3638477
제어번호
MONO12024000085477

목차보기더보기

프롤로그 세계사를 만든 30개 수도 이야기 5

제1부 수도를 보면 역사가 보인다
수도는 이동하는 권력이다 14
수도의 네 가지 유형 21

제2부 제국의 수도: 역사의 중심이 되다
로마, 영원의 도시 28
콘스탄티노플, 최후의 로마 47
카라코룸, 몽골 제국의 수도 60
북경, 쿠빌라이 칸이 세운 도시 75
빈, 합스부르크 왕조의 본산 85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라이벌 97
테헤란, 페르시아 제국의 그림자 109
바그다드, 천일야화의 도시 120

제3부 유럽의 수도: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땅
파리, 빛의 도시 130
런던, 유럽의 수도 147
베를린, 통일 독일의 수도 165
마드리드, 통합 스페인의 수도 180
아테네, 서양 문명의 뿌리 194
스톡홀름, 스칸디나비아의 수도 207
베른, 스위스 연방의 수도 219
바르샤바, 폴란드의 비애 230

제4부 아시아와 중동의 수도: 장엄하고 신비로운 역사를 품은 땅
도쿄, 에도 막부의 산실 244
방콕, 동남아시아의 수도 259
자카르타, 세계 최대 이슬람 국가의 수도 271
뉴델리, 인도의 신수도 280
예루살렘, 3대 종교의 수도 292
카이로, 나일강의 선물 302
리야드, 알라의 축복 314

제5부 신대륙의 수도: 새로운 권력의 등장
워싱턴, 뉴욕의 대항마 326
오타와, 빅토리아 여왕의 도시 342
멕시코시티, 아즈텍 제국의 수도 357
브라질리아, 계획도시의 모델 368
부에노스아이레스, 남미의 파리 379
캔버라, 호주의 행정 수도 390
케이프타운, 3개의 수도 400

에필로그 한국의 수도, 서울 이야기 412
주 420
이미지 출처 423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55967 909 -24-56 [서울관] 의원열람실(회관) 이용불가
0003155968 909 -24-56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중
B000116380 909 -24-56 [부산관] 로비(1층 로비) 북큐레이션
(관내이용)
B000116381 909 -24-56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중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그 도시는 어떻게 수도가 됐을까?”
    문명의 탄생부터 신대륙의 발견까지,
    지명의 어원으로 읽는 더 신선한 세계사!

    · 신성 로마 제국의 수도가 어디냐는 질문에 황제도 대답 못 한 이유
    · 베른, 베를린, 마드리드의 공통점은 ‘곰’?
    · 북경, 동경, 남경... 왜 동아시아 수도 이름에는 ‘경’이 들어갈까?
    · 미국의 수도가 원래 뉴욕이었다고?

    수도는 한 나라의 역사·문화·권력의 중심지다. 하지만 문화는 변화하고, 권력은 이동한다. 수도는 문명의 탄생부터 지금까지,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여 일정 기간 역할을 하다가 새로운 도시에 자리를 내어주었다. 고대부터 핵심지였던 로마나 파리 같은 수도가 있는 반면, 현대에 들어와 허허벌판에 새로 건설된 브라질리아 같은 수도도 있다. 캐나다는 프랑스어권과 영어권 도시들의 경쟁으로 200번이 넘는 투표로 수도를 결정했으며, 여러 연방이 합쳐져 국가가 된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수도가 3개나 된다. 이처럼 수도가 결정된 배경을 따라가다 보면, 그 나라의 역사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이 책은 오늘날의 수도뿐만 아니라 과거의 수도까지 전방위로 조명하여 세계 역사를 입체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다.

    국내에서 손꼽히는 언어학자이자 탁월한 역사 스토리텔러인 저자는 지명의 어원에 얽힌 흥미로운 이야기는 물론, 역사의 굵직한 흐름을 따라 수도 이야기를 풀어냈다. 인류 역사에 큰 획을 그은 제국의 수도에서 시작해, 중세의 주무대 유럽과 그 이전부터 세계를 이끌었던 아시아와 중동 그리고 새로운 권력의 중심지 신대륙의 수도까지, 이 책을 통해 함께 30개 수도로 역사 여행을 떠나보자.

    “수도는 움직이는 권력이다!”
    30개 수도가 들려주는 역동의 세계사

    수도란 무엇이고, 언제부터 역사에 등장했을까? 프랑스 파리나 영국 런던처럼 고대부터 중요한 역할을 했던 수도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캐나다는 유명한 대도시 토론토와 몬트리올이 아닌, 작은 도시 오타와를 수도로 결정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는 입법, 행정, 사법의 수도가 각각 따로 존재한다. 세계 최대의 도시 뉴욕은 미국의 수도가 아니며, 브라질의 최대 도시 상파울루도 그렇다. 게다가 수도는 계속해서 변화한다. 세계를 평정했던 몽골 제국의 옛 수도 카라코룸에는 지금 빈터만 남아 있다. 최후의 기독교 보루라고 불렸던 천년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은 현재 이슬람 나라의 도시가 되었으며, 더 이상 한 나라의 수도가 아니다. 수도는 문명의 탄생부터 지금까지,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여 일정 기간 역할을 하다가 새로운 도시에 자리를 내어주었다.
    각양각색의 모습으로 다채로운 이야기를 품은 수도에는 세계사의 면면이 담겨 있다. 파리는 프랑스의 중심지였으나 왕들이 여러 도시를 순회했기에 ‘왕이 없는 수도’였다. 반면 여러 개의 제후국으로 분열된 신성 로마 제국은 ‘수도가 없는 제국’이었다. 러시아 제국은 모스크바 귀족들의 알력 싸움에서 벗어나기 위해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수도를 옮겼다. 중세 카스티야 왕국과 아라곤 왕국이 연합하면서 탄생한 스페인에서는 지금도 여전히 카스티야의 수도인 마드리드와 아라곤의 수도인 바르셀로나가 경쟁하고 있다. 뉴욕은 미국의 수도가 되기 위해 요새를 철거하는 등 백방으로 노력했지만, 경쟁에서 탈락했다. 캐나다는 프랑스어권과 영어권 지역의 경쟁과 갈등으로 완충 지대인 작은 도시를 수도로 삼았다.
    이 책은 오늘날의 수도뿐만 아니라 과거의 수도까지 전방위로 조명하여 세계 역사를 입체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다. 인류 역사에 큰 획을 그은 제국의 수도에서 시작해, 중세의 주무대 유럽과 그 이전부터 세계를 이끌었던 아시아와 중동 그리고 새로운 권력의 중심지 신대륙의 수도까지, 30개 수도 이야기가 세계사의 흐름에 따라 펼쳐진다.

    “언어는 언제나 흔적을 남긴다”
    지명의 어원으로 본 다채로운 역사 이야기

    전작인 《미국을 만든 50개 주 이야기》에서 ‘지명으로 읽는 세계사’라는 독보적인 콘셉트로 독자들을 매혹했던 김동섭 저자가, 이번에는 수도 이야기로 돌아왔다. 어원 전문 언어학자이자, 탁월한 역사 스토리텔러인 저자는 남다른 시선으로 지명의 어원에 담긴 흥미로운 이야기를 풀어냈다.
    프랑스 파리의 이름은 켈트족의 신화에 나오는 ‘마법의 솥단지’에서 유래했다.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는 ‘사바’라는 인어의 이름에서 나왔다. 지금도 바르샤바 광장에는 도시를 지키는 인어상이 있다. 아르헨티나는 ‘은의 나라’를 의미한다. 엄청난 은이 숨겨진 산이 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 지명인데, 실제로 남미에서 엄청난 양의 금은이 발견된다. 스위스 베른, 독일 베를린의 지명은 곰을 의미하는 게르만어 ‘ber’에서 유래했다. 지금도 도시의 문장에는 곰 상징물이 들어가 있다.
    이처럼 언어는 흔적을 남긴다. 지명에는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담겨 있다. 저자는 ‘언어’와 ‘수도’라는 씨줄과 날줄을 엮어 더 신선한 세계사 이야기를 탄생시켰다. 역사가 딱딱하고 지루하게만 느껴진다면, 이 책을 통해 30개 수도로 역사 여행을 떠나보자. 한 도시가 어떻게 수도가 되었는지, 또 어떻게 수도의 자리를 내어주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 어떤 갈등과 화합이 있었는지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통해 살아 숨 쉬는 세계사를 만나게 될 것이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P. 18] 수도는 이동한다. 생명체의 탄생과 소멸처럼, 수도 역시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여 일정 기간 수도의 역할을 하다가 새로운 도시에 그 자리를 내어준다. 왕의 거처와 신전이 있는 도시를 수도라고 볼 때, 고대 이집트 왕국의 수도는 멤피스에서 테베로 옮겨갔고,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의 시대에 오면, 알렉산드리아가 명실상부한 이집트 왕국의 수도가 된다. 현재 이집트의 수도인 카이로가 수도가 된 것은 서기 7
    세기 무렵에 불과하다.
    [P. 69~70] 루브룩도 카라코룸에 있는 솔랑기, 즉 고려인을 묘사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솔랑기는 키가 작고 스페인 사람들처럼 피부가 거무스름했으며, 마치 기독교의 부제(副祭)들이 입는 겉옷처럼 좁은 소매가 있는 튜닉을 입고 있었다고 한다. 구한말 서양인들이 찍은 사진에 등장하는 조선인들의 얼굴이 햇볕에 그을려 거무스름했던 것과 비슷하다.
    지금도 몽골은 한국을 ‘대한민국’이라고 부르지 않고 ‘솔롱고스(Солонгос)’라고 부르고 있다. 솔롱고스라는 말은 몽골어로 무지개를 뜻하는데, 한국과 무지개는 아무 관련이 없다. 몽골 기록에는 고려의 한자음 표기인 ‘카울레(Caule)’도 등장한다. 이는 명백한 고려의 한자 음독이지만, 솔롱고스는 경우가 다르다. 본래 이 말은 후요(後遼)를 지칭하다가, 나중에 고려를 부르는 호칭으로 바뀐 것이라고 보는 학자들이 있다.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