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여는 글 “오길 잘했어! 느티나무 생태놀이터”
생태놀이란? 교육과정 연계 생태놀이 권장 시기


1부 생태전환교육으로 가는 길
첫번째 길. 지속하길 / 14
교장 선생님, 내일 학교 와요? / 대한민국은 기후악당, 오늘의 화석상 수상 /
생태전환교육 = 삶을 바꾸는 도전 / 누구나 시작할 수 있는 생태놀이수업
두번째 길. 돌아보길 / 27
모르면 잡초로 보이는 식물 / 시골 살아도 풀은 잘 몰라요 /
환경 보호의 시작은 불편한 마음에서부터 / 해외의 환경 정책
세번째 길. 느껴보길 / 36
꽃보다 아름다운, 철없는 아이들 / 부부소나무 이야기 /
꼼짝없이 그 자리에서 살아야 하는 식물 / 틈만 나면 싹을 틔운다 /
‘풀꽃’으로 보는 세상 / 도토리 한 알의 꿈
네번째 길. 함께하길 / 47
교실로 찾아온 벌 / 모두가 꽃이야! / 곤충을 위한 활주로, 꿀안내도 /
막장드라마 없는 식물의 세계 / 나눔으로 상생하는 공동체
다섯번째 길. 실천하길 / 56
공동텃밭구역 / 생각보다 실천을! 수세미 프로젝트 /
우리 학교 교목과 교화는? / 학교 안 힐링 명소, 생태학습장


2부 생태놀이수업의 실제
1장. 사시사철 늘 푸른 소나무 / 68
1. 솔잎으로 누가 이기나 겨뤄볼까?
『솔잎으로 글자 만들기』 1학년 1학기 국어(한글놀이, 66~69쪽, 92~97쪽)
2. 노오란 가루로 맛있는 간식을 만들어보자!
『송홧가루 다식 만들기』 1학년 1학기 통합(우리나라, 36~37쪽)
3. 소나무는 어떤 옷을 입고 있을까?
『소나무 수피 탁본 뜨기』 2학년 1학기 통합(자연, 46~49쪽)
4. 솔방울의 변신은 무죄
『솔방울로 천연 가습기 만들기』 2학년 2학기 통합(자연, 92~93쪽)
5. 짧아도, 길어도 재미있는 솔방울 장난감
『줄의 길이가 다른 솔방울 장난감 놀이』 2학년 1학기 수학(길이재기, 114~115쪽)
6. 솔방울로 이렇게 재미있게 놀 수 있다고?
『자연 속 운동회』 2학년 1학기 통합(자연, 56~57쪽)
2장. 피고 지고 또 피는 무궁화 / 120
1. 넘어져도 괜찮아
『나뭇가지 균형잡기 놀이』 1학년 1학기 통합(학교, 60~61쪽)
2.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무궁화 꽃놀이』 1학년 1학기 통합(우리나라, 26~27쪽)
3. 하루의 가치 = 무궁화의 하루
『무궁화의 하루』 1학년 2학기 통합(하루, 82~89쪽)
4. 무궁화 씨앗의 여행
『나의 상상 씨앗 이야기』 1학년 2학기 통합(상상, 92~93쪽)
3장. 달콤한 비밀을 품은 단풍나무 / 161
1. 단풍잎 세상 속으로
『나뭇잎 놀이』 2학년 1학기 통합(자연, 52~53쪽)
2. 단풍잎과 함께 찰칵
『단풍잎 손수건 만들기』 2학년 1학기 통합(자연, 54~55쪽)
3. 단풍잎 꼴라쥬, 꼬마 작가 전시회
『자연의 변화를 느끼며 나뭇잎 꾸미기』 2학년 2학기 통합(계절, 42~43쪽)
4. 핑그르르 단풍 씨앗 장난감
『주변의 물건으로 놀잇감 만들기』 2학년 2학기 통합(물건, 58~59쪽)
4장. 여기서도 저기서도 피어나는 민들레 / 201
1. 내가 누구인지 알아?
『돋보기로 민들레 관찰하기』 1학년 1학기 통합(탐험, 20~21쪽)
2. 민들레가 되어 바람을 타고
『바람은 착하지』 2학년 1학기 국어(4. 분위기를 살려 읽어요, 128~132쪽)
『그림책으로 만나는 민들레의 한살이』 2학년 1학기 통합(자연, 8~9쪽)
3. 누가 누가 더 길까?
『민들레 줄기 길이 비교하기』 2학년 1학기 수학(4. 길이재기, 94~95쪽)
4. 민들레의 무한 변신
『민들레 꽃으로 놀기』 1학년 1학기 통합(탐험, 82~91쪽)
5장. 같은 듯, 다른 듯! 토끼풀과 괭이밥 / 230
1. 고양이의 구급약, 하트 모양 풀을 찾아라!
『숲속을 걸어요』 2학년 1학기 통합(자연, 24~25쪽)
2. 사랑과 희망을 담아드려요
『토끼풀과 괭이밥 구분하기』 2학년 2학기 국어(8. 나도 작가, 260~261쪽)
2학년 2학기 통합(계절, 42~43쪽)
3. 꽃밭에서 선물을 나눠요
『진짜 1학년이 되었어요. 꽃 선물 나누기』 1학년 1학기 통합(학교, 94~95쪽)
1학년 1학기 수학(비교하기, 92~93쪽)
4. 팡팡 터지는 괭이밥 씨앗
『괭이밥 씨앗 폭탄 만들기』 2학년 1학기 통합(자연, 26~27쪽)

글을 마무리하며 / 265
참고문헌 / 269

이용현황보기

(학교의 나무와 풀로 시작하는) 생태 수업 이야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63855 372.357 -25-1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0003163856 372.357 -25-1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이용가능
B000120891 372.357 -25-1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학교 주변 자연에서 배우는 생태 놀이의 즐거움”

“느티나무 생태놀이수업연구회” 8인의 교사들은 자연 속에서 아이들의 감각을 일깨우고 생태적 감수성을 길러주는 특별한 도서, <생태 수업 이야기>를 새롭게 출간했습니다. 이 책은 어린이들이 자연을 관찰하고, 감각을 통해 배우며, 스스로 환경에 대한 소중함을 느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생태 놀이 수업 가이드입니다.

1부에서는 생태전환교육의 방향성을 5가지의 길로 구성했습니다. 동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아이를 키우고 있는 부모로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로서, 학교를 관리하는 교장으로서 고민하고 느꼈던 일들을 정리했습니다.

• 첫 번째 길. ‘지속하길’: 기후 위기 시대에 대응하여 지속 가능한 삶으로 전환하기 위한 교육과 재미있게 놀며 배우는 생태 수업을 생각해 보는 길
• 두 번째 길. ‘돌아보길’ : 식물을 비롯한 환경에 대해 갖고 있는 우리들의 인식과 세계 여러 나라의 환경 보전을 위한 노력을 살펴보고 환경교육의 방향성을 생각해 보는 길
• 세 번째 길. ‘느껴보길’ : 식물의 생존과 전략, 자연에서 살아가는 모습을 보며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 우리들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생각해 보는 길
• 네 번째 길. ‘함께하길’: 배려와 소통, 나눔과 공생으로 살아가는 식물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지금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해 보는 길
• 다섯 번째 길. ‘실천하길’: 학교 숲, 화단, 생태학습장에서 있었던 사례를 나누며 학교에서 실천할 수 있는 생태전환교육을 생각해 보는 길

2부에서는 어느 학교나 있을 법하고 누구나 알고 있는 식물로 소나무, 무궁화, 단풍나무, 민들레, 토끼풀과 괭이밥을 선정했습니다. 각 장의 앞부분에는 식물마다 가지고 있는 특성을 고려하여 생태학적, 인문학적 해설을 담았습니다. 아울러 2022 개정교육과정을 중심으로 1~2학년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생태놀이 중심의 수업을 구성하고 수업 사례를 담았습니다.

“아이들은 자연을 통해 마음껏 상상하고 탐구할 때 가장 잘 배웁니다. 이 책은 아이들이 직접 체험하며 배울 수 있도록 자연과 놀며 환경을 이해하는 생태 놀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자연을 사랑하고, 보호하는 작은 씨앗이 되길 바랍니다.”

‘학교의 자연과 함께하는 생태 놀이 수업’

이 책은 도심 밖으로 나가지 않아도 학교 주변의 다양한 자연환경에서 할 수 있는 활동을 소개하며, 아이들의 창의성과 탐구력을 키워주는 놀이법을 담고 있습니다. 생태 놀이는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마음껏 뛰놀고 경험을 통해 스스로 환경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책은 단순히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메시지에 그치지 않고, 아이들이 자연과 친밀해지고 자연 속에서 배우는 과정의 즐거움을 발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놀이 방법과 활동을 담았습니다.

또한, 2022 개정교육과정 1-2학년 맞춤 활동으로 생태 수업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동료 선생님들께 즐거운 수업 방법을 안내해 드립니다. 초등 저학년 학생들이 자연과의 소통을 통해 환경에 대한 이해와 감수성을 자연스럽게 길러주며 자연의 소리, 향기, 질감을 활용한 놀이로 아이들의 감각 발달과 창의적 사고를 자극하고 수업을 즐길 수 있는 생태 놀이를 제공합니다.

학교 주변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다양한 나무와 풀을 활용하기 때문에 쉽고 간단한 준비물로 생태 놀이 활동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나뭇잎으로 만들어보는 자연 예술, 다양한 식물을 관찰하며 기록하기, 흙 속 생명체와의 교감 등 여러 가지 활동이 수록되어 있어, 자연 속에서 배움의 기쁨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을 자연과 환경에 대한 이해를 수업에 활용하고자 하는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교사, 아이들과 자연 속에서 함께할 새로운 놀이를 찾고 있는 부모님들, 자연 속에서 환경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모든 분에게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