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서문_ 호르몬이 만든 연결고리

1. 관계의 생물학
2. 원시 어머니의 신화
3. 연결된 뇌, 관계는 머릿속에 있다
4. 우리 사이의 케미스트리
5. 우리 편, 반려동물, 그리고 적
6. 직장 내 관계와 호르몬 문제
7. 스트레스와 관계, 최악의 조합
8. 나쁜 시작의 긴 그림자
9. 좋은 점, 나쁜 점, 그 사이의 모든 것
10. 함께 사는 법

감사의 말

이용현황보기

연결 본능 : 호르몬이 어떻게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77771 612.405 -25-4 서울관 의원열람실(도서관) 이용불가
0003177772 612.405 -25-4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B000123160 612.405 -25-4 부산관 로비(1층 로비) 북큐레이션
(관내이용)
B000123161 612.405 -25-4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116] 발달된 신피질을 가진 큰 뇌는 복잡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탐색하는 데 유용하지만, 사람들 간의 연결성에 그 신피질이 직접적으로 필요하지는 않다. 맥린의 뇌의 삼위일체 이론에 따르면, ‘돌봄 뇌’의 본질인 사회적 유대는 우리의 오래된 포유류 뇌, 즉 변연계로 인해 가능하다. 맥린에 따르면 ‘변연계의 진화는 포유류의 진화 역사이며, 포유류의 진화 역사는 가족의 진화 역사다.’ 이 말대로, 가족과 그와 관련된 사회적 관계가 우리 뇌에 영향을 미쳤다면, 그 영향은 주로 변연계에 미쳤을 것이기에, 변연계 연구가 돌봄 뇌를 살펴보는 데 좋은 출발점이다. _ <3. 연결된 뇌, 관계는 머릿속에 있다> 중에서
[P. 148] 또한, 옥시토신 투여가 편도체 활동을 줄인다는 점을 보여주는 여러 연구가 있었는데, 이는 곧 경계 태세를 줄여준다는 것을 가리킬 수도 있다. 편도체 활동의 축소는 전두엽 뇌 영역과 편도체 사이의 강화된 소통과 관련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소통은 우리의 직관적이고 감정적인 반응을 조절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효과는 부모와 자녀, 파트너 간, 심지어 낯선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유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우리의 직접적인 가족, 예를 들어 우리의 자녀나 파트너와의 관계에 옥시토신이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말이 가장 설득력 있다. 여러 연구에서 부모들, 즉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에서 측정된 높은 옥시토신 수치가 자녀에 대한 애정과 관련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_ <4. 우리 사이의 케미스트리> 중에서
[P. 188] 타인과 관계를 맺는 일을 가능하게 하는 뇌 시스템들은 공감을 촉진하는 회로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이 공감에도 영향을 주는데, 그 영향은 공감의 형태에 따라 다르다. 여태까지는 인지적 공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돼 왔다. 그리고 그런 연구는 우리가 이전에 봤던 호르몬의 대립적 효과를 증명했다. 호르몬의 효과는 미묘하지만, 옥시토신 투여는 공감을 강화하는 반면, 테스토스테론 투여는 공감을 줄인다는 점이다._ <5. 우리 편, 반려동물, 그리고 적>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