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새들이 먼저 통일을 이룬 세상 임진강과 한강하구의 텃새들 민통선의 귀한 겨울 손님 | 기러기 | 두루미와 재두루미 | 한반도 DMZ를 찾아오는 일곱 종의 두루미 | | 두루미의 먼 친척, 천연기념물 느시 | 개리 | 상서롭고 아름다운 새 두루미의 순애보 | 두루미의 다른 이름, 학 | 부부 사랑이 남다른 새 | DMZ를 호령하는 맹금류 | 독수리 | 수리부엉이 | 올빼미 | 솜씨 없는 사냥꾼, 저어새 금슬 좋은 부부와 검은머리물떼새 부리로 이어지는 사랑, 까막딱따구리 백두산에서 한탄강까지, 통일의 상징 호사비오리 | 백두산 호사비오리 번식지를 찾아 나선 야생생태연구가 박웅 | 멸종위기종을 되살리자 | 40년 만에 되살아난 따오기 | 북한의 두루미 보호 |
2장 비무장지대에 흐르는 생명의 물 철책도 막을 수 없는 자연의 흐름 멸종위기종 광릉요강꽃 국내 최대 군락지 탄생의 비밀 원시적인 자연 하천의 모습을 간직한 천연기념물의 안식처 임진강 상류 야생동식물의 피난처이자 자연의 콩팥, 습지 민통선의 수서곤충 | 세계적인 희귀종 연천군 은대리 물거미 | 남북을 자유롭게 오가는 북한강 최상류 지역의 귀한 생물들 | 수몰 위기에 놓인 강원특별자치도 양구 수입천의 소중한 친구들 | | 힘차게 강물을 거슬러 오르는 열목어 | 민물고기의 표범 황금빛 황쏘가리 | | 알래스카에서 고향으로 돌아오는 연어 | 남북을 흐르는 강 위로 비행하는 DMZ의 여름 철새들 | ‘불새’라 불리는 호반새 | 희망의 상징 파랑새 | 우리에게는 분단선, 동물에게는 보호선 | 수달이 살아야 하천 생태계도 산다 | 얼마 남지 않은 물범의 낙원, 백령도 |
3장 지뢰밭에서 살아가는 희귀한 동식물들 희귀식물과 야생동물의 낙원, 향로봉 죽음의 땅에서 생명을 이어 가는 야생동물들 | 멧돼지, 산토끼, 고슴도치, 너구리, 족제비 | 다람쥐와 하늘다람쥐 | | 신비의 팔색조와 꼬리가 긴 긴꼬리딱새 | 사라진, 사라질 수도 있는 DMZ의 귀한 동물들 | 호랑이 | 반달가슴곰 | 알고 보면 한국과 중국에만 있는 귀한 동물 고라니 | 살아 있는 화석 동물, 산양 | 멸종위기에 처한 산양을 복원하자 | 우리나라에 하나뿐인 비무장지대의 고층습원 용늪 | 용늪의 희귀식물 | 훼손된 용늪의 복원
4장 함께 만들어 가는 희망과 생명의 땅, DMZ 역사·평화교육의 무대가 될 비무장지대의 유적 귀중한 생태관광 자원으로 부상한 비무장지대 | DMZ 평화의 길 | 양구 두타연 자연 생태 트레킹 길 | 이념 대립을 떠나 남북이 함께해야 할 일 | 야생동물을 위한 생태 통로를 만들자 | | 감염병에는 경계가 없다 | 독일 그뤼네스반트에서 배운다 DMZ, 개발과 보전 사이에서
부록 한눈에 보는 비무장지대 (그림지도)
이용현황보기
분단선에서 생명선으로 : 소중한 동식물의 마지막 피난처 DMZ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82666
577.0951 -25-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0003182667
577.0951 -25-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B000128248
577.0951 -25-2
부산관 주제자료실(2층)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분단선에서 생명선으로》는 이런 책입니다! 춘천MBC 방송기자로 일하면서 20여 편의 DMZ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비무장지대의 생태적 가치를 알려 온 저자가 33년간 발로 쓴, DMZ 야생에 관한 생생한 기록이다. 취재로 완성한 현장감 넘치는 글과 300장 넘는 생생한 사진이 독자들을 생명의 신비로 가득한, 야생이 돌아오는 비무장지대의 자연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이끌어 준다. 어른과 아이가 함께 읽으며 소중한 야생 동식물의 마지막 피난처인 DMZ의 가치와 의미를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야생이 돌아오는 곳, 스스로 회복하는 곳, DMZ 지구상에서 70년 넘게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가 유지되고 있는 유일한 곳, 한반도. DMZ는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을 맺을 때만 해도 풀 한 포기 살 수 없을 것만 같은 죽음과 절망의 땅이었다. 하지만 전쟁 무기를 배치하고 이중 삼중으로 철조망을 친 이 분단선 주변에 사람의 발길이 끊어지자 아이러니하게도 DMZ는 스스로 살아나기 시작했다. 전쟁 전에는 논밭이었던 땅에 수많은 풀씨가 날아들었고, 잿더미 숲에 온갖 야생동물들이 찾아왔다. 다양한 생명의 안전한 삶터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이다. 분단선은 자연이 어떻게 스스로 회복하는지를 보여 주는 생명선이 되었다. DMZ는 서해에서 동해까지 한반도의 허리를 가로지르는 248킬로미터, 군사분계선을 따라 남과 북 4킬로미터 양쪽으로 조성된 철책에 갇힌 땅으로, 우리 민족에게는 분단의 아픔이 서려 있는 비극의 공간이다. 남북은 아직도 대치하며 팽팽한 긴장 상황을 이어 가고 있지만, DMZ 장벽 너머에서는 인간이 할 수 없는 일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간의 손이 닿을 수 없는 그곳에서 인간보다 자연이 먼저 하나 되고 있는 것이다. 저자는 책에서 남북이 이념 싸움을 계속하며 함께 살아갈 방법을 찾지 못하는 동안 DMZ의 자연은 하늘과 땅, 강과 바다에서 스스로 생명의 그물망을 회복하며 먼저 통일을 이루어 왔다고 강조한다. ‘전쟁의 위험이 지키는 평화와 생태’ 바로 이것이 DMZ가 ‘통일의 싹이 자라나는 숲’이 될 수 있었던 비밀이다. 전쟁의 상처 위에 세워진 동식물의 특별한 삶의 터전은 기후 위기 시대에 꼭 필요한 생물 다양성뿐만 아니라 남북 관계에도 희망의 불씨가 되고 있다.
우리가 인식하지 못해도, 우리는 ‘그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분단선에서 생명선으로》는 춘천MBC 방송기자로 33년 동안 일하면서 20여 편의 DMZ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비무장지대의 생태적 가치를 알려 온 전영재 작가가 그동안 취재했던 DMZ의 다양한 야생동식물의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무엇보다 기후 위기 시대를 살아갈 미래의 아이들에게 DMZ가 얼마나 귀한 세계자연생태유산인지 알리고, 한반도 야생동식물의 마지막 피난처인 DMZ를 소중하게 지키는 일이 결국 우리 모두를 지키는 일이라는 사실을 알리고자 한다. 어른과 아이가 함께 읽을 수 있도록 쉽고 친절한 문장으로 썼으며, 오랜 시간 현장에서 기록한 생생한 동식물 사진을 가능한 한 다양하게 실었다. 우리가 하나하나 이름을 기억해 주고 살아가는 곳을 지켜 주지 않으면 내일 지구상에서 사라져도 이상하지 않은 여러 희귀 동식물의 이야기는 인간도 지구에서 살아가는 수많은 생명이 만들어 낸 생명의 그물망의 일부라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이 책은 흥미로운 DMZ의 생태를 4장으로 나누어 보여 준다. 1장 ‘새들이 먼저 통일을 이룬 세상’에서는 비무장지대에 살고 있는 귀한 텃새와 철새 등 대표적인 조류의 생태를 소개하고, 한반도 DMZ의 역사와 지리, 생태적 가치, 민간인출입통제선에서 삶을 개척해 온 민통선 사람들에 관해 살펴본다. 두루미와 기러기, 독수리와 수리부엉이 같은 맹금류, 저어새, 검은머리물떼새, 호사비오리 같은 멸종위기종 등 비무장지대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새를 만날 수 있다. 2장 ‘비무장지대에 흐르는 생명의 물’에서는 남북 이념 대립의 상징인 철책이 가로지르고 있어도 그 밑으로 자유롭게 흐르는 강물과 그 분단의 강을 터전으로 살아가는 희귀조류를 비롯해 토종 민물고기와 수서곤충, 광릉요강꽃 최대 군락지, 멸종위기종인 수달과 물범 등의 이야기를 펼쳐 놓는다. 3장 ‘지뢰밭에서 살아가는 희귀한 동식물’에서는 미확인 지뢰지대를 서식지 삼아 살아가는 팔색조와 긴꼬리딱새 같은 다양한 조류를 비롯해 고라니와 멧돼지, 삵과 너구리, 족제비와 하늘다람쥐, 산양 등이 등장하며, 희귀식물과 야생동물의 낙원 향로봉과 우리나라 람사르 습지 등록 1호인 대암산 용늪의 비밀도 소개한다. 4장 ‘함께 만들어가는 희망과 생명의 땅, DMZ’에서는 DMZ와 접경지역의 역사‧문화‧생태적 가치와 관광 자원 활용 방안, 독일이 통일을 이루기 전의 동서독 국경 지역을 그뤼네스반트(Grunes Band)로 보전한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통일 전 DMZ 보호 방안을 집중 조명한다.
책속에서
남과 북 사이에는 이념 대립의 상징인 철책이 놓여 있지만, 임진강은 지난 분단의 세월 동안에도 자연의 이치대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흘러왔습니다. 특히 임진강 상류는 개발이 제한되면서 원시적인 자연 하천의 모습을 지금도 간직하고 있습니다. 북한강 상류처럼 모래톱과 자갈밭도 고스란히 가지고 있고요. 임진강은 사계절 다양한 생명을 품고 있습니다. 가을이면 두루미류의 잠자리와 먹이터가 되기도 하고, 맹금류가 분단의 하늘에서 마음껏 날 수 있게 해 주는 곳입니다. 무엇보다 민통선 임진강 상류 지역은 우리나라에서 철원 다음으로 중요한 두루미 월동지입니다.
파주시의 산남습지와 곡릉천 하구습지, 성동습지도 생명의 중요한 보금자리입니다. 서해로부터 밀려온 바닷물과 강물이 만나면서 기수역이 발달한 곳인데요. 특히 갈대가 군락을 이룬 습지는 분단의 현실 때문에 인간의 손길이 닿지 못하고, 하구 둑을 건설하지 않아 바닷물과 민물이 뒤섞이면서 생물 다양성이 아주 높습니다. 임진강하구에도 습지가 많습니다. 임진강 최대 퇴적지인 초평도를 비롯해 임진강하구습지, 독수리의 월동지인 장단습지, 많은 철새가 쉬어 가는 문산습지 등이 있어요. 또 성동습지, 생명의 보물 곡릉천과 하구습지, 신남습지와 말똥게의 천국 장항습지가 많은 생명을 품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