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인생, 내리막이 최고! 산다는 것은 나이를 먹는 것 열여덟 살로 돌아가고 싶나요? 시작하기 전부터 ‘못 한다’는 말은 거짓말 세월을 쌓아야 비로소 깊이가 생깁니다
제2장 ‘그렇지만…’의 벽을 넘어섭시다 위가 아닌 ‘앞’을 지향합시다 뺄셈이 아니라 ‘덧셈’으로 살아갑시다 ‘그렇지만’이 입버릇이 되지는 않았나요? 사람의 가치는 생산성으로 정해지는 게 아닙니다
제3장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됩니다 ‘아침에 눈 뜨는 일’에 행복을 느껴 보세요 지금 있는 곳에서 무엇을 할 수 있나요? 병은 ‘다시 사는’ 계기가 됩니다 목숨 사용 방법을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제4장 ‘지금, 여기’를 소중히 여기며 삽시다 어머니는 병상에서 “독일어를 공부하고 싶다”라고 하셨습니다 인생은 마라톤이 아니라 춤입니다 인생을 뒤로 미루지 마세요 ‘무한한 시간이 있다’라고 생각합시다
제5장 집착하면 어떻습니까? 사람은 왜 죽음을 두려워할까요? 소중한 사람의 마음 안에서 계속 살아갑니다 죽은 후에 돌아가야 할 곳 소크라테스의 최후 지금을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제6장 ‘어른’이 아니면 돌보지 못합니다 나이 든 부모와의 관계가 가장 어렵지요 ‘어른’이기 위한 세 가지 요건 있는 그대로의 부모를 받아들입시다 함께 있을 수 있다는 사실에 감사하세요 “이 얘기, 전에도 했었나?” 망상을 부정하면 증상은 악화합니다 잊어버린 것을 지적하지 마세요 망각은 여과기 치매 걸린 부모가 이상적인 삶의 방식을 보여 줍니다 ‘할 수 있는 일’에 초점을 맞춰 봅시다
제7장 ‘못 한다’라고 말할 용기가 중요합니다 우선 자신이 행복해야 합니다 기쁨은 인간관계 안에서만 생겨납니다 못 할 때는 ‘못 한다’라고 말해도 됩니다 삼촌·이모의 심리학
제8장‘우리’를 주어로 생각해야 합니다 퇴직 후의 고민은 인간관계의 고민 생산성이라는 가치관을 떨쳐 버립시다 타자와의 마찰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있는 그대로의 나를 좋아해도 됩니다 인간은 몇 살이든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성공과 행복의 차이 여기에 존재하는 것만으로 타자공헌이 됩니다 세월은 그저 이어지는 게 아닙니다 아들러가 가르쳐 주는 ‘인생의 의미’
제9장‘나이 듦의 행복’을 다음 세대에 전합시다 하루하루를 기분 좋게 살면 어떨까요? 타인의 과제에 멋대로 개입하지 마세요 이견이 있어도 한 번 더 생각해 보세요 미움받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다람쥐처럼 ‘숲’을 키웁시다 모르는 것을 솔직히 인정할 용기 젊은 사람이 자신을 뛰어넘는 것을 기뻐합시다 철학은 50세부터 ‘지금, 여기’에 있는 행복을 젊은이들에게 전합시다
맺음말
이용현황보기
나이 들 용기 : 앞으로의 생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 비로소 시작에 접어든 당신께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3196984
158.1 -25-132
서울관 의원열람실(회관)
이용불가
0003196985
158.1 -25-132
서울관 인문자연과학자료실(314호)
이용가능
B000128506
158.1 -25-132
부산관 로비(1층 로비)
북큐레이션 (관내이용)
B000128507
158.1 -25-132
부산관 종합자료실(1층)
이용중
출판사 책소개
왜 노인은 행복하지 않은가? 2018년 고령사회의 문을 열었던 우리나라가 마침내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3%에 달한다고 한다. 고령사회에 진입한 지 7년 만이다. 프랑스나 독일은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데 40여 년 가까운 시간이 걸렸다. 초고령사회 문제를 심각하게 겪고 있는 일본조차 11년이 걸렸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단지 7년 만에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것이다.
이처럼 노인 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대다수 노인은 행복하지 않다.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발간하는 ‘2024 세계행복보고서’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행복도는 52위이며, 그중 60세 이상 노인의 행복도는 그보다 낮은 59위다.
왜 대한민국 노인들은 행복하지 않은 걸까? 높은 노인 빈곤율, 부족한 복지 혜택 등 사회 인프라 문제와 함께 나이가 들면서 급격히 줄어든 소득, 신체기능의 쇠퇴, 사회적 고립 등이 노인의 삶을 행복하지 않게 하고 있을 것이다. 여기에 하나를 더한다면 준비되지 않은 마음 상태에서 노년을 맞는 것도 한몫을 차지할 듯하다.
늙어 간다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 다른 사람이 늙는 것을 보면 늙는다는 게 무엇인지 어느 정도 짐작하게 되지만, 실제로 자신이 그 가운데 들어가지 않으면 제대로 이해하기는 어렵다. 그러니 젊어서부터 나이 드는 것을 두려워할 필요는 없고, 노년에 들어선 사람도 앞으로 괴로운 일만 기다리고 있을 거라 생각할 필요도 없다. 나이 드는 것을 피할 수는 없지만, 오히려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으니 주어진 노년을 어떻게 활용할지만 생각하면 된다.
나이 든다는 것은 몸을 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 믿기 어려운 상황이 현실이 된다는 의미다. 사람들은 대부분 그런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저자는 지금까지 살아온 생산성을 위주로 하는 삶의 가치를 정면으로 반대하면서 인간은 존재 자체로 가치 있다고 주장한다. 신체기능의 쇠퇴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받아들여야 하는 불가역적인 현상이지만 ‘나’는 존재 자체만으로 의미 있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 ‘돌봄’의 문제가 현실이 된다. 내가 누군가를 돌보는 사람이 되든, 돌봄을 받는 사람이 되든 한다는 말이다. 특히 여러 가지 일을 하지 못하게 된 부모의 모습은 보는 것만으로도 괴로워진다. 더구나 그 길이 앞으로 내가 갈 길이 될 것 같아 더 피하고 싶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여기에는 중요한 것이 빠져 있다. 지금 잃은 것이나 하지 못하게 된 일이 아니라 지금 할 수 있는 일에 주목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부모가 곁에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나의 기쁨에 공헌하고 있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
나이 듦의 가치를 인정한다면 인생 후반전이 즐거워진다 저자는 ‘오늘을 산다’라는 사실이 얼마나 멋진 일인지를 강조한다. 앞날의 일을 걱정하는 것은 ‘지금, 여기’를 등한시한다는 뜻이다. 기분 나쁜 일, 쓰라린 기억도 있지만, 그래도 살아 있기에 기분 나쁜 일도 생기는 것이다.
나이 듦의 긍정적인 측면을 체감하려면 가슴 뛰는 도전을 시작하라고 말한다. 거창한 도전이 아니어도 괜찮다. 젊은 시절 어렵다고 느껴 책장 한쪽에 처박아 두었던 책 한 권 완독하기에 도전하는 것도 좋다. 영어로 대화할 수 있을 정도로 공부해 여행을 가는 것을 목표로 삼아도 좋다. 젊어서는 시간이 없어, 여유가 없어, 돈이 없어 하지 못했던 도전을 해 보자. 도전하는 의욕을 계속 유지하는 것은 살아가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상형의 나를 기준으로, 하지 못하는 것에 주목하지 말고,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일들에 가산점을 주라는 말이다.
저자는 다른 사람의 평가나 승인을 바라지 말고, 자신과 부모의 과제를 정확하게 나눠 생각하며, 부모는 자신의 이상이나 요구를 채우기 위해 사는 게 아니라는 사실, 이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한 ‘어른’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야 있는 그대로의 부모를, 그리고 나이 들어 가는 자신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는 존재하는 것, 살아 있는 것 자체가 행복이어서, 성공과는 상관없이 이미 행복한 ‘존재’이다. 그러니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수많은 사람에게 받아 온 것을 다음 세대에 돌려주어야 한다. 그 가운데 ‘나이 들어 간다는 것의 행복’을 꼭 전달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 21세기북스 관련 사이트 ▶ 페이스북 facebook.com/jiinpill21 ▶ 포스트 post.naver.com/21c_editors ▶ 인스타그램 instagram.com/jiinpill21 ▶ 홈페이지 www.book21.com ▶ 유튜브 youtube.com/book21pub
책속에서
[P. 15] ‘산다는 것’은 곧 ‘나이를 먹는 것’이니까요. 나이가 들면 몸도 변합니다. 젊을 때는 ‘성장’으로 느끼던 몸의 변화를 언젠가부터 ‘쇠퇴’라고 느끼게 됩니다. 대부분은 그렇게 노화를 실감할 테지요. 【산다는 것은 나이를 먹는 것】
[P. 30] 새로운 일에 도전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해 온 것을 꾸준히 이어가는 일이나 일상생활을 즐겁게 하기 위한 소소한 궁리도 소중한 ‘한 걸음’입니다. 【위가 아닌 ‘앞’을 지향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