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요약문
목차
제1장 의약품과 환경오염의 배경 37
1. 연구조사 배경 37
가. 환경오염물질로서 의약품에 대한 인식 37
나. 환경 중 의약품의 재순환 38
다.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39
라. 의약품의 위해도 평가에 관한 외국의 관리체계 동향 40
마. 의약물질 관련 국내ㆍ외 검출사례 문헌조사 41
2. 연구의 목표 및 주요 내용 48
가. 연구의 목표 48
나. 연구의 주요 내용 48
다. 연구의 세부 내용 49
제2장 항생제와 소염진통제의 사용실태조사 및 우선 조사대상 물질 선정 연구 53
1. 인체용 의약품과 환경오염 53
가. 인체 의약품의 환경유입경로 53
나. 환경 중 의약품의 현황 54
다. 환경 중 의약품의 이동 경로 61
라. 환경 중 의약품의 영향 65
2. 환경위해도 평가 방법 72
가. 위해도평가의 과정 72
나. 유럽연합(EU) 가이드라인 81
다. 미국 가이드라인 89
3. 우선 조사대상 물질의 선정에 중요한 인자 94
가. ECOSAR(Econogocal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anderson H et al., 2003) 94
나. n-옥탄올/물 분배계수(Log Kow) 95
다. PEC와 PNEC 97
4. 국내 동물용 의약품의 판매 및 사용실태 99
가. 국내 동물용 항생제 등록허가 실태 99
나. 국내 동물용 의약품의 판매실태 100
5. 인체용 의약품 환경 중 우선조사대상 의약물질 선정 112
가. 우리나라 의약품 연간 생산동향 113
나. 의약 화합물 생산량의 측정 116
다. 인체에 대한 항생제 사용실태 분석 137
6. 결론 142
가. 인체용 항생제 142
나. 인체용 진통ㆍ해열ㆍ소염제 142
다. 동물용 항생제 143
7. 고찰 144
가. 우선 조사대사물질의 환경위해성 연구의 필요성 144
나. 지속적인 관리를 통한 신뢰성 있는 의약품 통계자료의 확보 144
다. 국내 GLP 인정 실험기관의 육성 및 지원 144
라. 선진국 수준의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과 정책 수립 145
제3장 환경 중 의약물질 분석방법 연구 및 노출실태 조사 146
1. 조사대상 146
가. 조사대상물질 146
나. 조사대상 164
다. 시료 채취 및 보존방법 169
2. 조사 항목별 실험방법 172
가. Group Ⅰ 176
나. Group Ⅱ 183
다. Group Ⅲ 188
라. Group Ⅳ 193
3. 실험실간 비교시험(Round robin test) 198
가. 참여기관 198
나. 주관기관 198
다. 시험대상물질 198
라. 시험방법 199
마. 대상 시료 199
바. 실험 데이터 199
4. 실험 결과 200
가. Group Ⅰ 의약물질의 분석 200
나. Group Ⅱ 의약물질의 분석 218
다. Group Ⅲ 의약물질의 분석 229
라. Group Ⅳ 의약물질의 분석 240
5. 분석방법의 신뢰도 비교ㆍ분석 및 검증 286
가. 실험실간 비교시험(Round robin test) 286
나. QA/QC(정도관리) 291
6. 국내ㆍ외 검출 사례 비교 293
7. 결론 294
8. 고찰 297
제4장 조사대상 의약물질 정보 DB화 299
1. 연구의 목표 299
가. 조사된 의약물질 관련 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299
나. 조사된 의약물질의 시험방법 및 분석결과 등의 데이터베이스화 299
다. 의약물질 관련 자료의 정보 인프라 구축 300
2. 결과 및 고찰 301
가. 시스템 필요 사항의 정의 301
나. Entity Relationship의 정의 303
다. 데이터베이스 선정 305
라. 데이터베이스 구조 설계 306
마. 시스템 구현 314
3. 결론 338
가. 조사된 의약물질 관련 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338
나. 조사된 의약물질의 시험방법 및 분석결과 등의 데이터베이스화 338
다. 의약물질 관련 자료의 정보 인프라 구축 338
참고 문헌 339
환경 중 의약물질 분석방법 연구 및 노출실태조사 최종보고회 결과 보고 345
그림 2-1. 의약품이 환경에 유입되는 다양한 경로 54
그림 2-2. 세계 의약품 판매 현황(Jiemba PK, 2006) 56
그림 2-3. 미생물, 조류, 무척추동물 및 어류에서 의약품들의 독성의 비교(Hernando MD et al,. 2006) 67
그림 2-4. EMEA 조직도 82
그림 2-5. EMEA 가이드라인의 도시(Bound JP and Voulvoulis N, 2004) 88
그림 2-6. 의약품의 거동과 효과 시험을 위한 FDA의 단계적인 접근방법(Bound JP and Voulvoulis N, 2004) 93
그림 2-7. 진통소염제 및 β-blocker의 급성독성(LC50)와 옥탄올-물(Octanol-Water) 분배계수와의 상관관계 96
그림 2-8. 약효 군별에 따른 2004년 생산금액 비율 115
그림 3-1. 수 처리과정 166
그림 3-2. 슬러지 처리과정 167
그림 3-3. 축산폐수의 처리공정 167
그림 3-4. 축산폐수의 처리공정 168
그림 3-5. 축산폐수의 정화 처리방식 168
그림 3-6. 시료 채취 169
그림 3-7. Group Ⅰ의 화학적 구조 178
그림 3-8. 환경 시료(수질)의 시료 전처리 180
그림 3-9. Group Ⅰ의 시료 전처리 과정 181
그림 3-10. Group Ⅱ의 화학적 구조 183
그림 3-11. Group Ⅱ의 시료 전처리 과정 186
그림 3-12. Group Ⅲ의 화학적 구조 188
그림 3-13. Group Ⅲ의 시료 전처리 과정 191
그림 3-14. Group Ⅳ의 화학적 구조 193
그림 3-15. Group Ⅳ의 시료 전처리 과정 196
그림 3-16. Group Ⅰ 시료 적재 속도에 따른 회수율 비교(HLB-MCX) 200
그림 3-17. MCX 카트리지 용리 양에 따른 회수율 비교 201
그림 3-18. Group Ⅰ 7종 의약물질의 positive ESI 크로마토그램 204
그림 3-19. 아세트아미노렌의 ESI 질량 스펙트럼 205
그림 3-20. 카바독스의 ESI 질량 스펙트럼 205
그림 3-21. 린코마이신의 ESI 질량 스펙트럼 205
그림 3-22. 설파메타진의 ESI 질량 스펙트럼 206
그림 3-23. 설파메톡사졸의 ESI 질량 스펙트럼 206
그림 3-24. 설파티아졸의 ESI 질량 스펙트럼 206
그림 3-25. 트리메소프림의 ESI 질량 스펙트럼 207
그림 3-26. 아세트아미노펜의 검정곡선 208
그림 3-27. 설파메톡사졸의 검정곡선 208
그림 3-28. 설파티아졸의 검정곡선 209
그림 3-29. 카바독스의 검정곡선 209
그림 3-30. 설파메타진의 검정곡선 210
그림 3-31. 트리메소프림의 검정곡선 210
그림 3-32. 린코마이신의 검정곡선 211
그림 3-33. 시료 적재 속도에 따른 비교(MCX) 218
그림 3-34. MCX 카트리지 건조방법에 따른 연구 218
그림 3-35. Group Ⅱ 3종 의약물질의 negative ESI 크로마토그램 220
그림 3-36. 나프록센의 ESI 질량 스펙트럼 221
그림 3-37. 디클로페낙-나트륨의 ESI 질량 스펙트럼 221
그림 3-38. 이부프로펜의 ESI 질량 스펙트럼 221
그림 3-39. 나프록센의 검정곡선 222
그림 3-40. 디클로페낙-나트륨의 검정곡선 222
그림 3-41. 이부프로펜의 검정곡선 223
그림 3-42. Gropu Ⅲ 3종 의약물질의 potisive ESI 크로마토그램 231
그림 3-43. 에리스로마이신 - H2O의 ESI 질량 스펙트럼 232
그림 3-44. 타이로신의 ESI 질량 스펙트럼 232
그림 3-45. 록시스로마이신의 ESI 질량 스펙트럼 232
그림 3-46. 에리스로마이신 - H2O의 검정곡선 233
그림 3-47. 타이로신의 검정곡선 233
그림 3-48. 록시스로마이신의 검정곡선 234
그림 3-49. Group Ⅳ 4종 의약물질의 positive ESI 크로마토그램 242
그림 3-50. 클로테트라시클린의 ESI 질량 스펙트럼 243
그림 3-51. 옥시테트라시클린의 ESI 질량 스펙트럼 243
그림 3-52. 시프로플록삭신의 ESI 질량 스펙트럼 243
그림 3-53. 엔로플록삭신의 ESI 질량 스펙트럼 244
그림 3-54. 클로테트라시클린의 검정곡선 245
그림 3-55. 옥시테트라시클린의 검정곡선 245
그림 3-56. 시프로플록삭신의 검정곡선 246
그림 3-57. 엔로플록삭신 - H2O의 검정곡선 246
그림 3-58. 각 지점별 유입수 중 의약물질의 검출현황 253
그림 3-59. 각 지점별 방류수 중 의약물질의 검출현황 262
그림 3-60. 각 지점별 하천수 중 의약물질의 검출현황 274
그림 4-1. Entity Relationshiip Diagram 304
그림 4-2. 시스템 초기 화면 314
그림 4-3. 개요 - 환경중의 의약품 중 연구의 배경 315
그림 4-4. 개요 - 환경중의 의약품 중 연구개요 316
그림 4-5. 개요 - 주요노출경로 중 환경중의 의약품의 유입경로 317
그림 4-6. 개요 - 주요노출경로 중 의약품의 환경중 주요 오염 경로 318
그림 4-7. 의약물질 - 의약물질정보 319
그림 4-8. 의약물질 - 의약물질정보 세부사항 320
그림 4-9. 의약물질 - 생산량 321
그림 4-10. 국가별 관리규정 - 관리동향 322
그림 4-11. 국가별 관리규정 - 환경 중 예측농도(국내) 323
그림 4-12. 국가별 관리규정 - 환경 중 예측농도(외국) 324
그림 4-13. 분석방법 - 개요 325
그림 4-14. 분석방법 - 특징 326
그림 4-15. 분석방법 - 전처리 327
그림 4-16. 분석방법 - 기기분석조건 328
그림 4-17. 분석방법 - Chromatogram 329
그림 4-18. 함유실태 - 측정지점정보 330
그림 4-19. 함유실태 - 지점별 함유량 331
그림 4-20. 함유실태 - 지점별 지도 332
그림 4-21. 의약물질정보 등록 333
그림 4-22. 생산량 등록 334
그림 4-23. 환경 중 예측농도 등록 335
그림 4-24. 측정지점정보 등록 336
그림 4-25. 지점별 노출량 등록 33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