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1. 서론 7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8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9
2. 배경지식 10
2.1. 국회도서관 현황 분석 11
2.1.1. 국회도서관의 역할과 기능 11
2.1.2. 국회도서관의 역사와 현황 15
2.1.3. 국회도서관의 내외 환경 분석 21
2.2. 사례 분석 22
2.2.1. 국내외 주요 국가도서관의 분관 운영 현황 22
2.2.2. 국내외 라키비움 운영 현황 45
3. 제2국회도서관 건립의 타당성 및 방향 55
3.1. 제2국회도서관 건립의 필요성 56
3.1.1. 국가 지식정보역량의 확대 56
3.1.2. 지역별 지식거점 구축을 통한 새로운 지역균형발전 추진 58
3.1.3. 국회도서관의 수장능력 확대 62
3.1.4. 아날로그자료 및 디지털자료의 분산보존을 통한 재난관리 64
3.1.5. 의회도서관으로서 국회의원에 대한 서비스역량 강화 66
3.2. 차별화된 분관의 기능 설정 67
3.2.1. 국회 '라키비움(Larchiveum)' 구현으로 복합문화기능 및 국회홍보기능 수행 67
3.2.2. 학술연구도서관으로서 특성화된 전문서비스 제공 70
3.2.3. '국가 정기간행물 클라우딩 센터'로서 국내 정기간행물 서지정보 통합 제공 76
3.2.4. '지방의회 정보센터'로서 지방의회 관련 자료의 통합 관리 및 지방의회 지원 78
3.2.5. 국회도서관 자료보존센터로서 국가자료의 안전한 보존 보장 85
3.2.6. 세계적 수준의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도서관 서비스 제공 86
4. 제2국회도서관 건립 가이드라인 87
4.1. 제2국회도서관의 입지에 대한 검토 88
4.1.1. 입지조건 88
4.1.2. 도서관 입지 후보지에 대한 비교 분석 90
4.1.3. 부산의 도서관 입지 타당성 94
4.1.4. 제2국회도서관의 부산 유치에 따른 지역 기여도 98
4.2. 제2국회도서관의 운영계획 103
4.2.1. 제2국회도서관의 비전과 기능 설정 103
4.2.2. 제2국회도서관과 부산대표도서관의 역할 분담 104
4.2.3. 제2국회도서관의 조직과 인력 구성 107
4.3. 제2국회도서관의 공간계획 109
4.3.1. 입지 조건 109
4.3.2. 규모계획 및 공간구성 111
4.3.3. 건립비용 추정 120
5. 결론 123
5.1. 요약 124
5.2. 제언 125
참고문헌 127
[그림 1] 국회도서관 조직도 15
[그림 2] 국회도서관의 SWOT 분석 21
[그림 3]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전경 22
[그림 4]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조직도 23
[그림 5] 국립세종도서관 전경 25
[그림 6] 국립세종도서관 조직도와 담당 업무 26
[그림 7] 미국 의회도서관 전경 28
[그림 8] 메릴랜드 포트 미드(Fort Meade) 보존관 전경 28
[그림 9] 팩커드(Packard) 캠퍼스 시청각자료보존관 전경 29
[그림 10]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의 구성체계 30
[그림 11]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도쿄 본관 전경 30
[그림 12]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칸사이관 전경 31
[그림 13] 국제어린이도서관 전경 34
[그림 14] BL 전경 36
[그림 15] NNB 전경과 내부 38
[그림 16] The British Library Newsroom 전경 39
[그림 17] BLDSS의 위치 40
[그림 18] 미테랑 도서관 전경 42
[그림 19] LAC의 기록보존센터 49
[그림 20] 한국원자력연구원 라키비움 51
[그림 21] 경상북도문화콘텐츠진흥원 라키비움 53
[그림 22] 경상북도문화콘텐츠진흥원 라키비움 공간구성 54
[그림 23] 미국 NDIIPP 파트너 분포도 65
[그림 24]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주요시설 개요 92
[그림 25] 국립도서관 분포도 94
[그림 26] 아시아 횡단철도의 기본망 96
[그림 27] 「2030년 부산도시기본계획」의 부산시 도시목표에 대한 제2국회도서관의 기여 100
[그림 28] 제2국회도서관 조직도표(안) 107
[그림 29]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칸사이관 단면도 116
[그림 30] 제2국회도서관의 공간구성 개념도 120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