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表紙 等]

目次

尙書正義序 3

尙書註疏卷第一 9

尙書序[원문불량; p.42] 9

尙書註疏卷第二 49

堯典第一 49

堯典[파오손면; p.114, 121] 62

尙書註疏卷第三 123

舜典第二 123

虞書 123

舜典[파오손면; p.185] 124

尙書註疏卷第四 205

大禹謨第三 205

虞書 205

皐陶謨第四 247

虞書 247

後表紙 272

[表紙 等]

目次

尙書註疏卷第五 275

尙書註疏卷第六 295

禹貢第一 295

夏書[원문불량; p.92] 295

尙書註疏卷第七 385

甘誓第二 385

夏書[원문불량; p.117-118] 385

五子之歌第三 394

夏書[파오손면; p.131] 394

胤征第四 405

夏書[파오손면; p.144] 406

尙書註疏卷第八 427

湯誓第一 427

商書[파오손면; p.161] 427

仲훼之誥第二 440

商書[파오손면; p.172] 440

湯誥第三 451

商書 452

伊訓第四 459

商書 459

太甲上第五 472

商書 472

太甲中第六 481

商書 481

太甲下第七 488

商書 488

咸有一德第八 492

商書 492

尙書註疏卷第九 511

盤庚上第九 511

商書 511

後表紙 514

[表紙 等]

目次

尙書註疏卷第九 517

盤庚中第十 540

商書 540

盤庚下第十一 556

商書 556

尙書註疏卷第十 567

說命上第十二 567

商書 567

說命中第十三 575

商書 575

說命下第十四 583

商書 583

高宗융日第十五 589

商書 589

西伯戡黎第十六 596

商書[파오손면; p.83] 596

微子第十七 602

商書[원문불량; p.95, 101-102] 603

尙書註疏卷第十一 617

泰誓上第一 617

周書[파오손면; p.117] 617

泰誓中第二 636

周書 636

泰誓下第三 645

周書 645

牧誓第四 651

周書[원문불량; p.137] 651

武成第五 665

周書[원문불량; p.155-156] 665

後表紙 690

[表紙 等]

目次

尙書註疏卷第十二[파오손면; p.3-5] 693

尙書註疏卷第十三 711

旅獒第七 711

周書 711

金등第八 725

周書 725

大誥第九 747

周書[원문불량; p.72] 748

微子之命第十 777

周書[원문불량; p.87] 777

尙書註疏卷第十四 787

康誥第十一 787

周書[원문불량; p.134] 787

酒誥第十二 825

周書 825

梓材第十三 852

周書[파오손면; p.168] 852

後表紙 866

[表紙 等]

目次

尙書註疏卷第十五 869

召誥第十四 869

周書[원문불량; p.4] 869

洛誥第十五 905

周書[파오손면; p.48] 905

尙書註疏卷第十六 949

多士第十六 949

周書[파오손면; p.103] 949

無逸第十七 971

周書 971

君奭第十八 994

周書[파오손면; p.138] 994

尙書註疏卷第十七 1027

蔡仲之命第十九 1027

周書[원문불량; p.164] 1027

多方第二十 1038

周書 1038

立政第二十一 1067

周書 1067

後表紙 1100

[表紙 等]

目次

尙書註疏卷第十八[파오손면; p.3] 1103

周官第二十二 1103

周書[파오손면; p.4-21] 1103

君陳第二十三 1128

周書 1129

顧命第二十四 1139

周書 1139

尙書註疏卷第十九 1185

康王之誥第二十五 1185

周書 1185

畢命第二十六 1197

周書 1197

君牙第二十七 1213

周書 1213

경命第二十八 1219

周書 1220

呂刑第二十九 1228

周書[원문불량; p.165] 1228

尙書註疏卷第二十 1281

文侯之命第三十 1281

周書 1281

費誓第三十一 1296

周書 1296

秦誓第三十二 1309

周書[파오손면; p.211] 1309

後表紙 1322

해제보기

1. 개요

『상서주소(尙書註疏)』는 1632년 모진(毛晋, 1599∼1659)의 급고각(汲古閣)에서 간행한 공영달(孔穎達, 574∼648)의 『상서(尙書)』 주석서이다. 『상서』는 유학 경전인 오경(五經) 가운데 하나인 『서경(書經)』의 이칭으로, 주(周)나라의 역사서이다.

2. 형태적 특징

20권 6책 완질 구성으로 후대에 표지가 개장(改裝)된 오침안(五針眼)의 선장본(線裝本)이다. 표제(表題)와 권수제(卷首題)가 ‘상서주소(尙書註疏)’이며, 판심제(版心題)는 ‘상서소(尙書疏)’이다. 판식(板式)을 보면 광곽은 상하단변 좌우쌍변(上下單邊 左右雙邊), 9행 21자 소자쌍행(小字雙行)이며 어미(魚尾)가 없다. 일부는 본문이 결락되어 있으며, 제6책 권말에는 ‘황명숭정개원세재저옹집서고우모씨수전(皇明崇禎改元歲在著雍執徐古虞毛氏繡鐫)’이라는 간기(刊記)가 있어 본서가 1632년(崇禎 5) 급고각에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체제 및 내용

『상서』는 진시황(秦始皇)의 분서갱유(焚書坑儒) 당시 소실되어 진위(眞僞) 여부에 관한 논란이 있었는데, 현전하는 『상서』는 고문과 금문을 합한 58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을 자세하게 살펴보면 권1 상서정의서(尙書正義序), 권2 요전(堯典), 권3 순전(舜典), 권4 대우모(大禹謨), 고요모(皐陶謨), 권5 익직(益稷), 권6 우공(禹貢) 권7 감서(甘誓), 오자지가(五子之歌), 윤정(胤征), 권8 탕서(湯誓), 중훼지고(仲虺之誥), 탕고(湯誥), 이훈(伊訓), 태갑(太甲), 함유일덕(咸有一德), 반경(盤庚) 상, 권9 반경(盤庚) 중·하, 권10 설명(說命), 고종융일(高宗肜日), 서백감려(西伯戡黎), 미자(微子), 권11 태서(泰誓), 목서(牧誓), 무성(武成), 권12 홍범(洪範), 권13 여오(旅獒), 금승(金縢), 대고(大誥), 미자지명(微子之命), 권14 강고(康誥), 주고(酒誥), 재재(梓材), 권15 소고(召誥), 낙고(洛誥), 권16 다사(多士), 무일(無逸), 군석(君奭), 권17 채중지명(蔡仲之命), 다방(多方), 입정(立政), 권18 주관(周官), 군진(君陳), 고명(顧命), 권19 강왕지고(康王之誥), 필명(畢命), 군아(君牙), 경명(冏命), 여형(呂刑), 권20 문후지명(文侯之命), 비서(費誓), 진서(秦誓)로 이루어져 있다.

4. 특성 및 가치

본서의 저자는 정확하지 않으며, 현전하는 58편은 고문상서 25편과 금문상서 33편을 합한 것이다. 그 내용은 요·순(堯·舜)시절과 하나라, 상나라, 그리고 주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것으로, 역사서이자 상고시대 정치적 사실을 바탕으로 정치 이념을 밝힌 서적이다.『상서』라는 명칭은 ‘상대(上代)의 서(書)’라는 뜻인데, 서명의 상(尙)은 상(上)과 같은 의미이며 이 명칭은 한(漢)나라 이후 사용되었고 송(宋)나라에 이르러 다시 『서경』이라 불리었다.

공자의 11세손인 한(漢)나라 공안국(孔安國)은 공자의 구택에서 나온 『금문상서』에 전(傳)을 달았는데,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이 공안국의 전(傳)을 주(註)로 하고 소(疏)를 단 것이 『상서주소』이다. 주소(註疏)는 후대의 학자들이 한나라의 주(註)를 쉽게 이해하고자 하여 주해(註解)한 것으로, ‘주(註)’는 경전을 해석하여 의의를 밝힌 저작이며, ‘소(疏)’는 주를 기초로 하면서 의미를 더욱 소통케 한 것을 의미한다. 공영달은 황제의 칙명(勅命)으로 『상서주소』를 찬하였는데 이 외에도 『오경정의(五經正義)』·『주역정의(周易正義)』 등을 찬하였다. 공영달의 주소서(註疏書)와 가공언(賈公彦)의 『주례정의(周禮訂義)』, 『의례주소(儀禮註疏)』 등을 합각한 것이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이다. 『상서주소』는 공영달의 『상서정의』에 다시 육덕명(陸德明)의 『경전석문(經典釋文)』 「음의(音義)」를 합각하여 간행한 것이다.

국회도서관에서 소장한 『상서주소』는 1632년 급고각에서 간행한 것이다. 급고각에서 간행한 서적은 급고각본(汲古閣本)이라 하여 널리 유통되었으며, 이 당시 동아시아에서 학술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국내 급고각본 『상서주소』는 국회도서관 외에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 등 다수의 소장처에 소장되어 있다. 그러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청구기호:古1∼24∼20)의 경우 간기를 보면 국회도서관 소장본과 같은 해에 같은 발행처에서 간행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간기와 본문의 판각상태에 일부 차이가 있어 두 판본의 선후관계를 밝히기 위한 후속 조사가 요구된다. (해제: 임영현, 감수: 옥영정)

이용현황보기

尙書註疏. 冊1-6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0134179 古 181.212 ㄱ368ㅅ v.1 서울관 귀중서고(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0134180 古 181.212 ㄱ368ㅅ v.2 서울관 귀중서고(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0134181 古 181.212 ㄱ368ㅅ v.3 서울관 귀중서고(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0134182 古 181.212 ㄱ368ㅅ v.4 서울관 귀중서고(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0134183 古 181.212 ㄱ368ㅅ v.5 서울관 귀중서고(1층 대출대) 이용불가
0000134184 古 181.212 ㄱ368ㅅ v.6 서울관 귀중서고(1층 대출대) 이용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