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5

I. 서론 7

II. 대상 및 방법 9

1. 조사군의 선정 및 대상시료 9

2. 대조군의 선정 및 대상시료 9

3. 전해질의 추출 및 검출방법 10

4. 식염섭취량의 추정 및 통계처리 11

III. 성적 13

IV. 고안 30

V. 요약 38

참고문헌 39

초록보기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소아들의 1일 식염섭취량을 조사하여 소아기의 식습관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음으로써 모자보건사업과 고혈압증의 일차예방을 위한 대책수립에 기여하고자 3세부터 11세까지 연령층의 남아 803 명, 여아 759 명, 총 1562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신체적일반특성은 동연령군의 한국표준치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24시간뇨배설량은 474.5-1121.6ml 였고 24 시간뇨중 creatinine 총배설량은 284.0-1052-3mg 이었으며 오전 10-12 시경의 일시뇨중 creatdnine 배설량은 24시간뇨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뇨중전해질의 평균배설량의 범위는 Na 111.3-135.5mEq/1, K 31.2-35.2mEq/1, creatinine 595.4~917.1mg/1. 였으며 연령에 따라 배설량도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4. 뇨중 Na:K비의 범위는 1.96-2.36 으로서 연령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K:creatinine 비는 1.44-2.09, NaCl:creatinine 비는 8.55-11.21 로서 연령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5. 1일 평균식염 섭취량은 3-5세군의 경우 남아 3.86-5.14g, 여아 3.64-5.00g이었고 6-11세군의 경우는 남아 5.45-10.44g, 여아 5.20-9.96g으로서 연령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