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국문목차

표제지 = 0,1,2

목차 = 0,3,3

I. 서론 = 1,6,1

1. 연구의 목적 = 1,6,2

2. 연구방법과 범위 = 2,7,2

II. 구약 5대 제사에 대한 고찰 = 4,9,1

1. 번제 = 4,9,1

(1) 어의 = 4,9,1

(2) 번제의 재물 = 4,9,2

(3) 제물을 드리는 방법 = 5,10,1

① 제물의 머리에 먼저 안수 = 5,10,2

② 각을 뜨고 쪼개어서 = 6,11,1

③ 피뿌림 = 7,12,1

④ 희생의 태움 = 7,12,2

(4) 예배적 의미 = 8,13,3

2. 소제 = 11,16,1

(1) 어의 = 11,16,1

(2) 소제의 제물 = 11,16,1

① 고운가루(레위기 2:1~2:4) = 11,16,2

② 구운떡 = 12,17,1

③ 첫이삭 = 12,17,1

(3) 제물을 드리는 방법 = 12,17,2

(4) 예배적 의미 = 13,18,2

3. 화목제 = 14,19,1

(1) 어의 = 14,19,2

(2) 화목제의 제물 = 15,20,1

① 소 = 15,20,1

② 양 = 16,21,1

③ 염소 = 16,21,1

(3) 세가지 화목제 = 16,21,1

① 감사제 = 16,21,2

② 서원제 = 17,22,1

③ 자원제 = 17,22,1

(4) 제물을 드리는 방법 = 18,23,1

(5) 예배적 의미 = 18,23,3

4. 속죄제 = 20,25,1

(1) 어의 = 20,25,1

(2) 속죄제의 제물 = 21,26,1

(3) 제물을 드리는 방법 = 22,27,1

① 제사장이 범죄하였을 경우 = 22,27,1

② 온회중이 범죄하였을 경우 = 22,27,1

③ 족장이 범죄하였을 경우 = 22,27,2

④ 평민이 범죄하였을 경우 = 23,28,1

(4) 예배적 의미 = 23,28,1

5. 속건제 = 24,29,1

(1) 어의 = 24,29,1

(2) 속건제의 제물 = 24,29,2

(3) 제물을 드리는 방법 = 25,30,1

(4) 속건제의 특성 = 25,30,2

(5) 속건제의 예배적 의미 = 26,31,1

III. 예배의 일반적 고찰 = 27,32,1

1. 언어적 고찰 = 27,32,1

(1) 구약성경의 예배 용어 = 27,32,2

(2) 신약성경의 예배 용어 = 28,33,2

2. 성경적인 고찰 = 29,34,3

3. 신학적 고찰 = 31,36,3

IV. 구약제사의 현대적인 의미 = 34,39,1

1. 구약제사와 그리스도의 속죄의 의미 = 34,39,3

2. 구약제사와 예배 = 36,41,5

V. 결론 = 41,46,2

참고문헌 = 43,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