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국문목차

표제지 = 0,1,3

목차 = 0,4,1

저서 제목의 생략형 및 인용 표시에 관하여 = 0,5,2

제1장 서론 = 1,7,9

제2장 칸트에 있어 목적의 개념 = 10,16,1

1. 목적 개념 일반의 의미 = 10,16,2

(1) (순수 이성 비판) 에서의 목적의 개념 = 12,18,2

(2) (판단력 비판) 에서의 목적의 개념 = 13,19,6

2. 윤리적 목적의 개념과 문제점 = 19,25,1

(1) 주관적 목적과 객관적 목적의 구별 = 19,25,7

(2) 산출되어야 하는 목적과 스스로 존재하는 목적의 구별 = 25,31,11

(3) 목적에 대한 소극적 해석과 적극적 해석 = 35,41,7

(4) 의무인 동시에 목적인 것 = 41,47,3

제3장 목적 자체의 정식 = 44,50,1

1. 목적 자체의 정식에 있어 목적의 의미 = 44,50,1

(1) 목적 자체의 정식의 해석 방법 = 44,50,4

(2) 목적 자체의 정식에 대한 소극적 해석 = 47,53,9

(3) 목적 자체의 정식에 대한 적극적 해석 = 55,61,6

2. 목적 자체의 정식에 있어 인간의 의미 = 61,67,1

(1) 칸트의 용어 사용의 다양성 = 61,67,18

(2) 인간의 존엄성의 근거 = 78,84,5

제4장 의무인 동시에 목적인 행위들 = 83,89,2

1. 의무인 동시에 목적인 행위의 근거 = 84,90,13

2. 완전한 의무와 불완전한 의무 = 97,103,11

3. 의무인 동시에 목적인 행위의 구체적 내용 = 108,114,1

(1) 자신의 완전성의 추구 = 108,114,6

(2) 다른 사람의 행복의 증진 = 113,119,4

제5장 결론 = 117,123,4

참고문헌 = 121,127,10

초록보기

이 논문은 칸트가 제시한 목적 자체의 정식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우선 「순수이성비판」과 「판단력 비판」에 등장하는 목적의 개념을 살펴 보고 이것이 어떻게 윤리적 의미에서의 목적과 연결되는가를 밝힌 후 윤리적 목적의 의미에 관하여 고찰하려 하였다. 그리고 3장에서는 특히 목적 자체의 정식에 있어 목적이라는 개념과 인간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논의를 전개해 나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목적 자체의 정식에 대한 여러 가지의 해석 가능성을 살펴보고 또한 칸트가 인간과 인간성 그리고 인격과 인격성이라는 용어를 통하여 의미한 바가 무엇인지를 분명히 밝히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목적 자체의 정식의 근거를 함께 살펴볼 것이다. 4장에서는 「도덕의 형이상학」에 등장하는 의무인 동시에 목적인 것의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이 개념이 목적 자체의 정식을 확장함으로써 등장한 것임을 밝히고 이를 통하여 목적 자체의 정식이 어떻게 구체적인 행위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활용의 결과로서 등장하는 구체적인 행위는 어떤 유형의 것인지를 밝힐 것이다. 마지막 결론 부분은 이러한 논의들을 정리함과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하여 칸트 윤리설의 전체적인 성격을 정리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