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국문목차

표제지 = 0,1,2

목차 = i,3,2

제1장 서론 = 1,5,1

제1절 문제 제기 = 1,5,9

제2절 논문의 논점과 구성 = 9,13,4

제2장 예비적 고찰: Fodor 표상주의의 기본가정과 마음의 지향성 및 인과성 문제 = 13,17,3

제1절 표상적 심리론과 계산적 심리론 = 15,19,2

1. 명제태도의 본성 = 16,20,7

2. 심적 표상과 사유언어가설 = 22,26,4

3. 심리적 과정(인지과정)의 본성 = 25,29,4

제2절 표상주의에 있어 마음의 인과성과 지향성 = 28,32,1

1. 상관관계입론과 컴퓨터 비유 = 28,32,12

2. 기호 개념과 지향성 = 39,43,6

제3장 내용결정이론 = 45,49,2

제1절 Fodor의 인과적 내용이론 = 46,50,3

1. 거친 형태의 인과적 내용이론 = 48,52,7

2. 비대칭적 의존성 조건과 개정된 인과적 내용이론 = 54,58,4

제2절 Fodor 내용이론의 문제 = 57,61,1

1. 비대칭적 의존성과 강건성 = 57,61,7

2. 설명의 순환성 = 63,67,10

제4장 명제태도의 개별화 문제와 내용의 설명적 역할 = 73,77,3

제1절 외재주의와 내용 = 75,79,1

1. 쌍둥이지구 논변과 넓은 내용 = 75,79,6

2. 외재주의와 내용의 인과적 역할 = 80,84,5

제2절 통속심리학에 대한 Stich의 비판 = 84,88,2

1. 내용귀속의 불확정성 = 85,89,7

2, 자율성원리와 대체논중 = 91,95,9

제3절 좁은 내용 = 99,103,11

제5장 비환원적 물리주의와 심적 인과관계 = 110,114,2

제1절 수반가설과 수반적 인과관계 = 111,115,1

1. 약한 수반 = 111,115,6

2. 강한 수반 = 116,120,4

3. 수반적 인과관계로서의 심적 인과관계 = 120,124,5

제2절 인과적 유관성의 기준 = 124,128,3

1. 인과관계의 법칙성 = 126,130,7

2. 지향적 인과법칙과 조건부법칙 = 132,136,12

3. 인과적 유관성의 두 개념 = 143,147,7

제3절 심리적 속성의 인과적 역할과 비환원적 물리주의 = 149,153,8

제6장 결론 = 157,161,1

제1절 물리주의적 접근의 한계 = 157,161,5

제2절 심리학적 설명의 성격 = 161,165,4

참고문헌 = 165,169,6

Abstract = 171,175,2

초록보기

이 논문의 목적은 포도(J. A. Fodor)의 표상주의(representationalism)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마음의 지향성과 인과성 문제에 대한 물리주의적 접근의 난점을 지적하고 그 한계를 시사해 보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포도의 ‘표상주의’를 구성하는 두 기본 가설인 ‘표상적 심리론(The Representational Theory of Mind)’과 ‘계산적 심리론(The Computational Theory of Mind)’을 개관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개관을 통하여 지향성과 심적 인과 관계 문제가 그의 표상주의에서 어떻게 정식화 되는지를 살폈다. 그리고 제3장은 지향성(내용 또는 의미 속성)을 자연화하고자 하는(의미 속성의 실현 토대를 순수하게 비지향적, 비의미론적 용어로 설명코자 하는) 포도의 인과적 내용결정이론을 검토하였다. 제4장은 내용에 의거하는 지향적 설명이 과학적 설명으로서의 적법성을 가질 수 있는가를 명제 태도의 개별화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고, 제5장은 내용의 인과적 힘과 관련된 형이상학적 문제를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