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국문목차
표제지 = 0,1,3
목차 = i,4,4
논문요약 = v,8,4
I. 서론 = 1,12,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12,3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14,2
3. 선행 연구 = 4,15,2
II. 도덕교육과 정서ㆍ감정 = 6,17,1
1. 도덕교육의 의미 = 6,17,1
2. 정서의 개념 및 정서교육의 목적 = 7,18,1
가. 정서의 개념 = 7,18,2
나. 정서교육의 목적 = 8,19,4
3. 도덕적 감정의 특성 = 11,22,2
4. 도덕성 발달과 학습 = 12,23,2
5. 도덕성 발달과 정서의 역할 = 14,25,1
가. 도덕적 행위의 성격 = 14,25,3
나. 도덕성의 내면화와 정서 = 16,27,3
다. 도덕적 행위의 근거 = 18,29,2
라. 도덕성과 정서 = 19,30,2
III. 윌슨(J. Wilson)의 도덕성 요소 = 21,32,2
1. 도덕성의 분석 = 22,33,2
가. 합리적 절차의 교수로서의 도덕교육 = 23,34,2
나. 형식으로서의 의미 = 24,35,2
다. 내용으로서의 의미 = 25,36,2
라. 동기로서의 의미 = 27,38,2
마. 도덕성의 분석과 도덕성 요소의 관계 = 28,39,3
2. 사람에 대한 관심 - PHIL = 30,41,2
가. 사람의 개념을 가지기[PHIL(HC)=having the concept of a person] = 31,42,2
나. 사람의 개념을 도덕원리로 주장하기[PHIL(CC) = claiming the concept as a moral principle] = 32,43,2
다. 규칙을 지지하는 감정을 가지기[PHIL(RSF-DO)& (RAF-PO) = rule-supporting feeling 'duty-oriented' & 'person oriented] = 33,44,3
3. 정서에 대한 인식 능력 - EMP = 35,46,2
가. 정서의 개념 가지기[EMP(HC) = having the concept of EMOTION] = 36,47,2
나. 자신의 정서와 다른 사람의 정서를 인지하기[EMP(1)(Cs)&EMP(1)(Ucs)& EMP(2)(Cs)&EMP(2)(Ucs) = being able to identify one's emotions (concious and unconcious) and other people's (concious and unconscious)] = 37,48,4
4. 사실적 지식과 사회적 기술 - GIG = 40,51,2
가. 관련된 엄연한 사실(hard fact)과 사실의 원천을 알기[GIG(1)(KF)& GIG(1)(KS) : knowing relevant 'hard' facts and sources of facts] = 41,52,3
나. 의사소통의 사회적 기술(social skill) 또는 법칙[GIG(2)(VC)& GIG(2)(NVC) : knowing how : non - propositional skills in dealing with principle] = 43,54,2
5. 정서인지와 결정 그리고 행동 - KRAT = 44,55,3
가. 타당한 알아차림[KRAT(1)(RA)] = 46,57,2
나. 철저하게 사고하기[KRAT(1)(TT)] = 47,58,1
다. 우선적ㆍ규정적ㆍ보편적 원리에 의한 도덕적 결정[KRAT(1)(OPU)] = 47,58,3
라. 도덕적 결정을 행동으로 옮기기[KRAT(2)] = 49,60,7
IV. 정서교육 접근 방법 = 56,67,1
1. 정서교육의 구성요소와 이론 = 56,67,3
가. 정서의 인지 = 58,69,4
나. 사실적 지식 = 61,72,2
다. 사회적 기술 = 63,74,2
라. 사태에 대한 지각 = 64,75,2
마. 사태에 대한 사고 = 65,76,2
바. 정서 행동의 결정 = 66,77,1
사. 정서 행동의 표현과 억제 = 66,77,2
2. 정서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의 일반적 절차 = 67,78,4
3. 정서교육 영역 및 적용 가능한 수업모형 = 70,81,1
가. 정서교육 영역 및 주요 내용 = 70,81,2
나. 정서교육을 위한 적용 가능한 수업 모형 = 71,82,8
V. 초등학교 도덕과(道德科) 정서교육의 방법 = 79,90,1
1. 가치지를 활용한 정서교육 방법 = 79,90,8
2. 역할놀이 학습을 통한 정서교육 방법 = 86,97,6
3. 영상자료를 활용한 정서교육 방법 = 91,102,3
4. 토의학습을 통한 정서교육 방법 = 93,104,4
VI. 결론 = 97,108,3
참고문헌 = 100,111,4
ABSTRACT = 104,115,4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