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국문목차

표제지=0,1,3

헌사=0,4,1

국문초록=i,5,2

Abstract=iii,7,4

차례=vii,11,3

I. 서론=1,13,1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1,13,5

1. 기존 연구의 검토=5,17,7

3. 연구의 범위와 연구방법=11,23,1

1) 연구범위=11,23,2

2) 연구방법=12,24,3

3) 논문의 구성=14,26,2

4) 논문의 한계=15,27,1

II. 국본의 활동=16,28,1

1. 6월항쟁의 배경=16,28,1

1) 4·13호헌조치=16,28,5

2) 박종철 고문치사사건=20,32,3

2. 국본의 생성:1987년5월 결성~6.10국민대회까지=23,35,4

1) '상층연합전선'의 조직구조=26,38,5

2) 참여 세력-보수야당, 민주화단체, 학생조직, 종교계=30,42,2

(1) 민주화운동단체=31,43,3

(2) 보수야당-통일민주당=33,45,2

(3) 종교계=34,46,4

(4) 학생운동조직=37,49,5

3) 국본의 이데올로기-온건적·최소주의=41,53,3

3. 국본의 발전 및 활동:1987년 6.10국민대회~9월까지=44,56,1

1) '반독재연합전선'의 상징적 구심체=44,56,2

2) 운동조직의 연대활동=45,57,5

3) 대중집회의 개최=49,61,3

4) 반독재·민주화투쟁=52,64,1

(1) 투쟁목표의 최소주의=52,64,4

(2) 투쟁의 지도 및 전술의 개발=55,67,4

5) 보수야당과의 연대=58,70,3

4. 국본의 쇠퇴 및 해소:1987년 10월~11월까지를 중심으로=60,72,2

1) 공정선거감시 기구로의 전화=61,73,2

2) 부정선거무효화투쟁=62,74,3

III. 국본의 정치적 함의=65,77,1

1. 6월항쟁과 국본의 관계=65,77,2

2. 국본의 의의=67,79,1

1) 정치적 구심체=67,79,2

2) 최초의 통일전선운동조직=68,80,2

3) 대중조직화-대중노선의 구현=69,81,1

(1) 최소주의·온건적 전술=69,81,2

(2) 중산증 통합전략=70,82,2

3. 국본의 한계=71,83,1

1) 국본 내 조직적 문제=71,83,1

(1) 상층연합전선의 한계=71,83,3

(2) 정세판단의 오류=73,85,5

2) 한국 정치지형의 모순=77,89,3

IV. 결론=80,92,5

참고문헌=85,97,5

후기=90,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