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국문목차
표제지 = 0,1,3
목차 = i,4,1
표목차 = ii,5,1
도판목차 = iii,6,1
I. 머리말 = 1,7,1
1. 연구목적 = 1,7,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10,1
II. 영동지방의 도요지 조사ㆍ연구 및 분포현황 = 5,11,1
1. 조사ㆍ연구현황 = 5,11,2
2. 영동지방의 도요지 분포현황 = 6,12,5
III. 삼척 내미로리 도요지의 개관 = 11,17,1
1. 위치 = 11,17,1
2. 가마의 구조 = 11,17,2
3. 출토유물 = 12,18,27
IV. 삼척 내미로리 출토 자기의 형식분류 = 39,45,1
1. 기종에 따른 분류 = 39,45,3
2. 문양에 따른 분류 = 41,47,2
3. 굽의 형태에 따른 분류 = 43,49,1
4. 청자 대접ㆍ접시 및 백자 대접ㆍ접시에 대한 계측치 상관도 = 44,50,2
V. 삼척 내미로리 출토 자기의 특징 및 성격 = 46,52,7
VI. 맺음말 = 53,59,11
참고문헌 = 64,70,5
ABSTRACT = 69,75,2
jpg
[도 1] 삼척 내미로리 도요지 모습(W-E) = 55,61,1
[도 2] 삼척 내미로리 도요지 모습(S-N) = 55,61,1
[도 3] 삼척 내미로리 유물 출토 모습 = 56,62,1
[도 4] 삼척 내미로리 유물 출토 모습 = 56,62,1
[도 13] 부안 유천리 신발건요지 주변 수습유물(윤용이ㆍ김선기, 1994) = 60,66,1
[도 14] 삼척 삼화리 고분 출토유물(관동대 박물관,1996) = 60,66,1
[도 15] 성주사 출토유물(충남대박물관,1998) = 61,67,1
[도 16] 부안 진서리 10호요지 주변 수습유물(윤용이ㆍ김선기,1994) = 61,67,1
[도 17] 안성 봉업사지 출토유물(장남원,2001) = 61,67,1
[도 18] 청자상감범자문접시(국립중앙박물관, 1992) = 62,68,1
[도 19] 청자음각연화문접시(호림박물관, 1991) = 62,68,1
[도 20] 청자상감목단절지접문합(국립중앙박물관, 1992) = 63,69,1
[도 21] 청자양각목단당초문대접(호림박물관, 1991) = 63,69,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