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9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문제 13

Ⅱ. 이론적 배경 14

1. 개별화교육의 개념 및 발전과정 14

1) 개별화교육의 개념 14

2) 개별화교육의 발전 과정 15

2. 개별화교육의 선행연구 및 법적 배경 18

1) 선행연구의 분석 18

3.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성요소 23

4. 개별화교육계획의 절차 및 활용 24

1) 개별화교육계획의 절차 24

2) 개별화교육계획의 활용 27

Ⅲ. 연구 방법 29

1. 연구대상 29

2. 연구도구 31

3. 연구절차 32

1) 설문지 구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32

2) 예비조사 실시 32

4. 자료분석 33

Ⅳ. 연구 결과 34

1. IEP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일반적 특성 34

2. IEP의 인식 및 운영실태 37

1) IEP의 인식실태 37

2) IEP의 운영실태 38

3. IEP의 수행실태 40

1) IEP의 수립과 실행 40

2) IEP의 평가 46

3) 교육목적 및 목표의 질적 만족도와 효율적 운영의 수행실태[내용누락;p50] 48

4. IEP의 활용과 변인간의 특성 52

1) 목표설정과 운영특성 52

2) IEP의 내용별 상관관계 55

3) 교육목적 및 목표의 질적 만족도 결정요인 56

4) IEP의 일반특성에 대한 차이분석 57

Ⅴ. 결론 및 제언 65

1. 결론 65

2. 제언 68

참고문헌 69

국문초록 72

부록 74

표목차

〈표Ⅱ-1〉선행연구의 연도별 동향 및 주요이론 20

〈표Ⅲ-1〉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0

〈표Ⅲ-2〉설문지 문항구성 31

〈표Ⅳ-1〉IEP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일반적 특성 35

〈표Ⅳ-2〉IEP 운영에 관한 교사의 평균 참여분포 36

〈표Ⅳ-3〉IEP에 대한 필요성 인식 37

〈표Ⅳ-4〉IEP에 대한 이해도 인식 38

〈표Ⅳ-5〉IEP 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실태 38

〈표Ⅳ-6〉IEP 교수-학습자료 구비 39

〈표Ⅳ-7〉IEP의 구성요소 40

〈표Ⅳ-8〉개별화교육계획의 장·단기목표 설정실태 41

〈표Ⅳ-9〉개별화교육계획의 장기목표 작성기간 41

〈표Ⅳ-10〉개별화교육계획의 단기목표 작성기간 42

〈표Ⅳ-11〉IEP 수립 시 작성방법 43

〈표Ⅳ-12〉IEP 작성 시 중추적인 역할자 44

〈표Ⅳ-13〉IEP의 실제 유아지도와 수업에서의 실행정도 44

〈표Ⅳ-14〉IEP가 내용대로 충실하게 실행되지 못한 이유 45

〈표Ⅳ-15〉장기목표 수행에 대한 평가 46

〈표Ⅳ-16〉단기목표 수행에 대한 평가 47

〈표Ⅳ-17〉평가결과의 목적/목표 반영정도 47

〈표Ⅳ-18〉IEP 수행 시 유아의 개인별 수행능력 수준파악 방법 48

〈표Ⅳ-19〉교육목적 및 목표의 질적 만족도 49

〈표Ⅳ-20〉IEP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필요한 사항(내용누락) 50

〈표Ⅳ-21〉IEP 수립 시 적극적으로 부모를 참여시키는지 여부(내용누락) 50

〈표Ⅳ-22〉IEP 수립 시 부모의 의견반영 정도 51

〈표Ⅳ-23〉IEP 실행 시 적극적으로 부모를 참여시키는지 여부 51

〈표Ⅳ-24〉IEP 실행을 위한 부모 참여정도 52

〈표Ⅳ-25〉장·단기목표 설정여부와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분석 53

〈표Ⅳ-26〉장·단기목표 설정여부와 실행 및 평가와의 관계분석 54

〈표Ⅳ-27〉IEP의 내용별 상관관계 분석 55

〈표Ⅳ-28〉교육목적 및 목표의 질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57

〈표Ⅳ-29〉IEP의 이해도에 대한 차이분석 59

〈표Ⅳ-30〉IEP 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정도에 대한 차이분석 61

〈표Ⅳ-31〉IEP의 실제 유아지도와 실행정도에 대한 일반특성 차이분석 62

〈표Ⅳ-32〉IEP 수립 시 부모의견 반영에 대한 일반특성 차이분석 63

〈표Ⅳ-33〉부모 참여도에 대한 일반특성 차이분석 64

그림목차

〈그림Ⅱ-1〉개별화교육계획의 절차 25

〈그림Ⅲ-1〉연구의 모형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