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Ⅰ. 서론 6

Ⅱ. 단원 김홍도의 시대적·회화적 배경 8

1. 시대적 배경 8

2. 회화적 배경 10

Ⅲ. 단원 김홍도의 생애 13

Ⅳ. 단원 김홍도의 작품 변천과정 18

1. 20∼30代시기 18

2. 40代시기 21

3. 50代시기 23

4. 60代시기 25

Ⅴ. 단원 김홍도의 전반기 풍속화 작품세계 28

Ⅵ. 단원 김홍도의 후반기 풍속화 작품세계 33

1. 사대부 의식과 문인화풍 33

2. 한국적 시정의 표현 35

Ⅶ. 결론 42

참고문헌 44

영문초록 62

국문초록 64

도판목차

(도1)《群仙圖8帖屛風》, 1776년(32세), 지본담채, 132.8×575.8㎝, 호암미술관 49

(도2)〈神仙吹笙圖〉, 30대작, 견본담채, 104.6×52.5㎝, 국립중앙박물관 49

(도3)《西園雅集圖6첩병풍》중 부분, 1778년(34세), 지본담채, 122.7×287.4㎝, 국립 중앙박물관 50

(참1) 沈師正,〈山水圖〉, 지본담채, 23.4×35.1㎝, 간송미술관 50

(도4)〈꽃과나비〉扇面, 1782년(38세), 지본담채, 29.0×74.0㎝, 국립중앙박물관 50

(도5-1)《十老圖像帖》중〈張肇平〉, 1790년(46세), 지본수묵, 각33.5×28.7㎝, 호암 미술관 51

(도5-2) 同, 〈李允哲〉 51

(도6)《寧靜帖》중〈연꽃과게〉, 1787년(43년), 견본수묵, 27.0×17.0㎝, 개인 51

(도7)〈騎驢遠游圖〉扇面, 1790년(46세), 지본담채, 28.0×78.0㎝, 간송미술관 52

(도8)《乙卯年畵帖》중〈叢石亭圖〉, 1795년(51세), 지본담채, 23.2×27.7㎝, 간송미 술관 52

(도9)《丙辰年畵帖》중〈島潭三峰圖〉, 1796년(52세), 지본담채, 26.7×31.6㎝, 호암 미술관 52

(도10)〈九龍淵〉, 지본담채, 29.0×42.0㎝, 평양조선미술박물관 52

(참2)《金剛四郡帖》중〈九龍淵〉, 견본담채, 30.4×43.7㎝, 개인 53

(도11)〈松下吹笙圖〉, 지본담채, 109.0×55.0㎝, 고려대박물관 53

(도12)〈耆老世聯?圖〉, 1804년(60세), 견본담채, 137.0×53.3㎝, 개인 53

(도13)〈老梅圖〉, 1804년(60세), 지본담채, 17.6×22.3㎝, 개인 54

(도14)〈知章 騎馬圖〉, 1804년(60세), 지본담채, 25.8×35.9㎝, 국립중앙박물관 54

(도15)〈秋聲賦圖〉, 1805년(61세), 지본담채, 56.0×214.0㎝, 호암미술관 54

(도16-1)《行旅風俗圖8帖屛風》중〈打作〉, 1778년(34세), 견본담채, 각90.9×42.7㎝, 국립중앙박물관 55

(도16-2) 同,〈路中設事〉 55

(도16-3) 同,〈路上風情〉 55

(도17-1)《風俗畵帖》중〈書堂〉, 30대작, 지본담채, 각27.0×22.7㎝, 국립중앙박물관 56

(도17-2) 同,〈씨름〉 56

(도17-3) 同,〈무동〉 56

(도17-4) 同,〈타작〉 56

(도17-5) 同,〈빨래터〉 56

(도17-6) 同,〈점심〉 56

(참3) 조영석,〈점심〉, 지본담채, 20.0×24.5㎝, 개인 57

(도18)〈檀園圖〉, 1784년(40세), 지본담채, 135.0×78.5㎝, 개인 57

(도19)〈松石園詩社夜原圖〉, 1791년(47세), 지본담채, 25.6×31.8㎝, 한독의약박 물관 57

(도20-1)《風俗圖8帖屛風》중〈관리행차〉, 1795년(51세), 지본담채, 각100.6×34.8㎝, 국립중앙박물관 58

(도20-2) 同,〈정자의풍류〉 58

(도20-3) 同,〈꾀꼬리소리〉 58

(도21-1)《丙辰年畵帖》중〈牛耕〉, 1796년(52세), 지본담채, 26.7×31.6㎝, 호암미술 관 59

(도21-2) 同,〈涉牛〉 59

(도21-3) 同,〈騎牛渡江圖〉 59

(도22)〈豪貴應.圖〉, 지본담채, 28.0×34.2㎝, 간송미술관 59

(도23)〈布衣風流圖〉, 지본담채, 27.9×37.0㎝, 개인 59

(도24)〈馬上聽鶯圖〉, 지본담채, 117.2×52.0㎝, 간송미술관 60

(도25)〈涉牛圖〉 60

(도26)〈騎牛負薪〉, 견본담채, 25.5×35.7㎝, 간송미술관 60

(도27)〈負薪樵童〉, 지본담채, 29.5×37.9㎝, 개인 60

(도28)〈牧童歸嫁〉, 지본담채, 29.5×37.9㎝, 개인 61

(도29)〈柳老牧牛〉, 지본담채, 62.2×108.6㎝, 간송미술관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