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10

제 1 장 서론 12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진행과정 13

1. 연구의 기본 전제 13

2. 공간적 범위 14

3. 시간적 범위 14

4. 연구의 진행과정 14

제 2 장 현황 분석 17

제 1 절 근린공원 및 공장이전적지의 정의 17

1. 근린공원의 정의 17

2. 공장이전적지의 정의 18

제 2 절 서울지역의 공장이전적지 및 근린공원 현황 19

1. 서울지역의 공장이전적지의 이용현황 19

2. 서울지역의 근린공원 현황 19

3. 서울지역의 공원확충 계획 21

4. 서울시 공장이전적지의 근린공원 조성 사례 22

제 3 절 관련연구 고찰 24

제 4 절 요약 25

제 3 장 분석모형의 설정 26

제 1 절 환경·복지정책의 비용측면 모형 설정 26

1. 단일지역 투입산출 모형의 분석과정 26

2. 단일지역 투입산출표의 작성 27

3. 단일지역 투입산출 모형의 설정 29

제 2 절 환경·복지정책의 편익측면의 모형 설정 30

1. 환경경제적 측면에서의 경제성장과 환경문제와의 관계 30

2. 공원의 경제적 가치 측정에 관한 이론적 배경 32

3. 근린공원의 편익 추정 방법의 모색 35

4. 조건부가치 측정법의 구조 및 모형 설정 37

제 3 절 요약 42

제 4 장 근린공원 조성면적 산정 및 설문조사 분석 43

제 1 절 공장이전적지의 근린공원 조성면적 산정 43

1. 분석의 전제 및 분석방향 설정 43

2. 제조업의 외부이전에 따른 근린공원 면적 산출 43

제 2 절 설문지 작성 및 설문조사 45

1. 설문 대상지 선정 45

2. 표본 설계 46

3. 가상시나리오 설계 47

4. 설문 구성 49

제 3 절 지불의사금액 함수의 도출 및 설문결과 분석 49

1. 지불의사금액 함수의 추정 49

2. 설문조사 결과 분석 52

제 4 절 요약 58

제 5 장 정책 분석 60

제 1 절 정책 설정 및 분석의 전제 60

1. 정책 시나리오 설정 60

2. 분석의 전제 60

제 2 절 정책 시나리오 #1 62

1. 환경·복지정책의 비용 분석 62

2. 환경·복지정책의 편익 도출 65

제 3 절 정책 시나리오 #2 69

1. 환경·복지정책의 비용 분석 69

2. 환경·복지정책의 편익 도출 70

제 4 절 환경·복지정책의 종합적 평가 74

제 5 절 민감도 분석 75

제 6 장 결론 77

제 1 절 연구의 요약 77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79

참고문헌 80

부록 82

ABSTRACT 95

표목차

[표 1-1] 지역의 구분 14

[표 2-1] 본 연구에서 재정의 된 근린공원의 유형과 특성 18

[표 2-2] 공장이전적지 이용현황 19

[표 2-3] 서울지역 1인당 공원면적 20

[표 2-4] 서울시의 근린(생활권)공원 확충 계획 21

[표 2-5] 95년이후 공장이전적지 공원화 사례 22

[표 3-1] 단일지역 투입산출표의 구조 28

[표 4-1] 서울지역 제조업의 외부이전 전의 산업별 토지 면적 44

[표 4-2] 서울지역 제조업의 이전에 따른 근린공원 조성 면적 45

[표 4-3] 공원 이용객 비율에 따른 설문 배포수 53

[표 4-4] 설문 응답자 가구의 1인당 연간소득 53

[표 4-5] 공장이전적지의 근린공원 조성으로 인한 주변환경 변화 인식 54

[표 4-6] 공장이전적지의 근린공원 조성으로 인한 여가공간 변화 인식 54

[표 4-7] 응답자의 근린공원 방문횟수 55

[표 4-8] 공장이전적지에 조성된 근린공원의 방문 목적 55

[표 4-9] 응답자의 근린공원까지 걸리는 시간 56

[표 4-10] 설문 응답자의 연령 56

[표 4-11] 설문 응답자의 학력 57

[표 4-12] 응답자의 성별 분포 57

[표 4-13] 종속변수와 독립변수간의 상관관계 58

[표 5-1] 지역 내 총생산액 변화 63

[표 5-2] 공장이전적지의 근린공원 시설비용(5개 사례공원) 64

[표 5-3] 제조업의 외부이전에 따른 공장이전적지의 근린공원 조성비용 64

[표 5-4] 정책 시나리오 #1에 의한 총비용 65

[표 5-5] 구별 면적당 가구수 66

[표 5-6] 지불의사금액 함수의 추정 결과 67

[표 5-7] 정책 시나리오 #1의 근린공원 이용권 면적 68

[표 5-8] 정책 시나리오 #1의 조성될 근린공원 이용 가구수 68

[표 5-9] 정책 시나리오 #1의 지불의사금액에 의해 도출된 연간 총편익 69

[표 5-10] 제조업의 외부이전에 따른 공장이전적지의 근린공원 조성비용 70

[표 5-11] 정책 시나리오 #2에 의한 총비용 70

[표 5-12] 정책 시나리오 #2의 근린공원 이용권 면적 72

[표 5-13] 정책 시나리오 #2의 근린공원 이용 가구수 72

[표 5-14] 정책 시나리오 #2의 지불의사금액에 의해 도출된 연간 총편익 73

[표 5-15] 공공서비스 산업의 조성으로 인한 지역 내 총생산액 73

[표 5-16] 정책 시나리오별 비용편익 분석 74

[표 5-17] 비용부분의 민감도 분석 76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의 과정 16

(그림 2-1) 세계 각 도시의 1인당 근린(생활권)공원 면적 21

(그림 2-2) 서울시 제조업체수의 변화 및 근린공원 수의 변화 23

(그림 3-1) 단일지역 투입산출 모형 분석과정 27

(그림 3-2) 현재시점과 미래시점의 생산 가능곡선 31

(그림 3-3) Marshall의 소비자 잉여 33

(그림 3-4) 가격하락에 따른 보상·동등변화 35

(그림 3-5) 복지수준 개선에 따른 보상·동등잉여 35

(그림 3-6) 조건부가치측정법의 구조 38

(그림 4-1) 설문대상지로 선정한 근린공원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