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감사의 글
국문요지
목차
서론 12
1. 연구 목적 12
2. 연구 대상과 범위 13
3. 연구방법 14
3.1 문헌 연구 14
3.2 사례 분석 15
4. 용어규정 15
1. 한글 활자디자인의 기초 개념 18
1.1. 네모꼴과 탈네모꼴 활자 18
1.1.1. 관습과 네모꼴 활자 18
1.1.2. 새로운 가능성과 탈네모꼴 활자 20
1.2. 완성형 폰트19)와 조합형 폰트 23
1.2.1. 음절문자23)의 특징으로서의 완성형 폰트 24
1.2.2. 음소문자의 특성으로서의 조합형 폰트 25
1.3. 낱자형 디자인과 쪽자형 디자인 27
1.3.1. 조형적 완성도와 낱자형 디자인 27
1.3.2. 합리성과 쪽자형 디자인 29
1) 모아쓰기 시작으로서의 세벌식 30
2) 네모꼴 활자와 다벌식 33
2. 한글 활자디자인의 조합에 대한 고찰 36
2.1. 훈민정음의 ‘합자合字’ 36
2.2. 모아쓰기 원리로서의 그리드grid와 모듈module 39
2.3. 한글 모듈화 연구와 조합규칙 43
2.3.1. 세벌식 조합규칙 43
2.3.2. 다벌식 조합규칙 50
3. 한글 활자디자인에서의 경제성과 조형성 56
3.1. 한글 활자디자인과 경제성 56
3.1.1. 신 타이포그라피와 활자의 경제성 56
3.1.2. 한글 기계화와 경제성 57
3.1.3. 한글 음절글자 사용빈도 수와 경제성 60
3.2. 한글 활자디자인과 조형성 66
3.2.1. 한글 조형의 原원형태 66
3.2.2. 한글 활자의 조형성 70
3.2.3. 조합규칙과 조형성 72
3.3. 조합규칙 분석틀로서의 경제성과 조형성 74
3.3.1. 조합규칙의 경제성 분석틀 74
3.3.2. 조합규칙의 조형성 분석틀 76
1) 닿자형태 변화와 역할 77
2) 홀자형태 변화와 역할 82
3) 받침의 위치와 형태변화, 그리고 역할 86
4. 한글 활자디자인 조합규칙 사례분석 87
4.1. 점 폰트 조합규칙 87
4.1.1. 안상수의 ‘24×24_명조’ 조합규칙 87
4.1.2. 김진평의 ‘16×16_명조’ 조합규칙 90
4.1.3. 김진평의 ‘24×24_명조’ 조합규칙 91
4.1.4. 한재준의 ‘16×16_고딕’ 조합규칙 92
4.2. 윤곽선 폰트 조합규칙 93
4.2.1. 이기성의 ‘절충형’ 조합규칙 93
4.2.2. 민창기의 ‘82벌’ 조합규칙 96
4.2.3. 한양정보통신의 ‘고딕’ 조합규칙 100
4.2.4. 한양정보통신의 ‘명조’ 조합규칙 105
4.2.5. 김혜숙의 ‘명조’ 조합규칙 110
4.3. 조합규칙 사례분석 비교 115
4.3.1. 점 폰트 조합규칙의 벌 수 115
4.3.2. 윤곽선 폰트 조합규칙의 벌 수 117
4.3.3. 점 폰트 조합규칙의 쪽자 수 118
4.3.4. 윤곽선 폰트 조합규칙의 쪽자 수 120
4.3.5. 닿자와 홀자, 그리고 받침의 분류 121
4.3.6. 점 폰트에서의 형식 수 122
4.4. 조합규칙 사례분석 결과 123
4.4.1. 경제성의 가치 측면과 조합규칙 123
4.4.2. 조형성의 가치 측면과 조합규칙 125
5. 한글 활자디자인 조합규칙의 유형 128
5.1. 경제성의 가치 측면에서의 유형 128
5.1.1. 비례형 조합규칙 128
5.1.2. 집약형 조합규칙 130
5.2. 조형성의 가치 측면에서의 유형 131
5.2.1. 닿자형 조합규칙 131
5.2.2. 홀자형 조합규칙 132
5.2.3. 받침형 조합규칙 133
5.2.4. 변칙형 조합규칙 134
5.3. 경제성과 조형성의 관계와 유형 134
5.3.1. Ks형 조합규칙 134
5.3.2. 보조補助형 조합규칙 135
5.3.3. 완결형 조합규칙 135
결론 137
참고문헌 140
abstract 163
[그림 1] 세벌식 활자 32
[그림 2] 벌 수에 따른 글자 형태의 변화 34
[그림 3] 벌 수에 따른 활자의 변화 35
[그림 4] 조영제 활자의 그리드 45
[그림 5] 조영제 활자의 A, B, C type 46
[그림 6] 이상철 활자의 그리드 47
[그림 7] 『샘이 깊은 물』창간호 제호 48
[그림 8] 안상수 활자 49
[그림 9] 김인철 활자의 모듈 51
[그림 10] 김인철 활자 53
[그림 11] ‘황미디엄’의 낱글자 55
[그림 12] 훈민정음 창제초기의 쪽자 66
[그림 13] 이정호의 원, 사각형, 삼각형 67
[그림 14] 모임꼴에 따른 닿자 [ㄱ]의 형태 77
[그림 15] 열린 공간과 닫힌 공간 79
[그림 16] 홀자와 받침에 따른 닿자 형태의 변화 81
[그림 17] 홑닿자 [배]와 쌍닿자 [빼]와 홑닿자 [대]와 쌍닿자 [때] 83
[그림 18] 닿자와 받침에 따른 홀자 형태의 유기적인 변화 85
[그림 19] 받침의 위치와 형태의 변화 86
그래프목차
[그래프 1] 수치지도에서 음절글자 사용빈도 62
[그래프 2] 이기성의 릭스 곡선Leeks Curve 64
[그래프 3] 이기성의 빈도 곡선 65
[그래프 4] 점 폰트 조합규칙의 전체 벌 수 115
[그래프 5] 점 폰트 조합규칙의 닿자, ‘고’꼴, ‘구’꼴, ‘그’꼴, 홀자, 받침 벌 수 115
[그래프 6] 점 폰트 조합규칙의 닿자+‘고’꼴+‘구’꼴+‘그’꼴, 홀자, 받침 벌수 116
[그래프 7] 점 폰트 조합규칙의 닿자,‘고’꼴+‘구’꼴+‘그’꼴+홀자, 받침 벌수 116
[그래프 8] 윤곽선 폰트 조합규칙의 전체 벌 수 117
[그래프 9] 윤곽선 폰트 조합규칙의 닿자, 홀자, 그리고 받침 벌 수 117
[그래프 10] 윤곽선 폰트 조합규칙의 전체 쪽자 수 118
[그래프 11] 윤곽선 폰트 조합규칙의 닿자, 홀자, 받침 쪽자 수 118
[그래프 12] 점 폰트 조합규칙의 닿자+‘고’꼴+‘구’꼴+‘그’꼴, 홀자, 받침쪽자 수 119
[그래프 13] 점 폰트 조합규칙의 닿자,‘고’꼴+‘구’꼴+‘그’꼴+홀자, 받침쪽자 수 119
[그래프 14] 윤곽선 폰트 조합규칙의 전체 쪽자 수 120
[그래프 15] 윤곽선 폰트 조합규칙의 닿자, 홀자, 받침 쪽자 수 120
[그래프 16] 닿자 형태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 121
[그래프 17] 홀자 형태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 121
[그래프 19] 점 폰트; 형식 수 122
[그래프 20] 비례형의 벌수와 쪽자 수 128
[그래프 21] 부분 비례형의 벌수와 쪽자 수 129
[그래프 22] 집약형의 벌수와 쪽자 수 130
[그래프 23] 닿자형 조합규칙의 유형 131
[그래프 24] 홀자형 조합규칙의 유형 132
[그래프 25] 받침형 조합규칙의 유형 133
부록목차
[부록 1] 안상수의 ‘24×24_명조’ 조합규칙 150
[부록 2] 안상수의 ‘24×24_명조’ 151
[부록 3] 김진평의 ‘16×16_명조’ 조합규칙 152
[부록 4] 김진평의 ‘24×24_명조’ 조합규칙 153
[부록 5] 김진평의 ‘24×24_명조’ 154
[부록 6] 한재준의 ‘16×16_고딕’ 조합규칙 155
[부록 7] 한재준의 ‘16×16_고딕’ 156
[부록 8] 이기성의 ‘절충형’ 조합규칙 157
[부록 9] 이기성의 ‘절충형’ 158
[부록 10] 민창기의 ‘82벌’ 조합규칙 159
[부록 11] 한양정보통신의 ‘고딕’ 조합규칙 160
[부록 12] 한양정보통신의 ‘명조’ 조합규칙 161
[부록 13] 김혜숙의 ‘명조’ 조합규칙 16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