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0

1.1 배경 및 목적 10

1.2 조사 및 연구 방향 12

제2장. 연구방법 13

2.1 조사ㆍ분석 개요 13

2.1.1 오염원별 분류 13

2.1.2 유입수질 설계과정 14

2.1.3 설계기준 관련 제반 규정 16

2.2 오염부하량 산정방법 조사ㆍ분석 16

2.2.1 생활오수 오염부하량 산정 16

2.2.2 생활오수 오염부하량 설계 적용 사례 25

2.2.3 공장폐수 오염부하량 산정 28

2.2.4 지하수 오염부하량 산정 28

2.3 계획오수량 산정방법 조사ㆍ분석 29

2.3.1 생활오수량 산정 29

2.3.2 관광오수량 산정 34

2.3.3 공장폐수량 산정 34

2.3.4 지하수량 산정 39

제3장. 연구결과 및 고찰 40

3.1 오수부하량 산정의 문제점 40

3.1.1 생활오수부하량 원단위 선정 미흡(BOD기준) 40

3.1.2 영업오수부하량 원단위 산정방법별 오차 과다 42

3.1.3 생활오수부하량 실측 미비 42

3.1.4 생활오수부하량 매년 일정량 증가 산정 44

3.1.5 공장폐수 오염부하량 원단위 설정 44

3.1.6 지하수오염부하량 원단위 설정 44

3.2 오수량 산정의 문제점 45

3.2.1 생활오수량 산정방법의 미비점(BOD기준) 45

3.2.2 관광, 공장오수량, 지하수량 산정의 미비 47

3.2.3 침입수 및 유입수, 누수량 산정의 미비 48

제4장. 사례 분석 61

4.1 가동중 하수처리장의 수질 및 수량에 대한 조사 61

4.1.1 일반현황 61

4.1.2 조사 결과 요약 63

4.1.3 유입수질 설계 과다 원인 66

4.1.4 유입수질 설계에 미치는 요소별 정도 68

4.2 개선방안 71

4.2.1 유입수질 설계 과다로 인한 문제점 71

4.2.2 개선사항 주요내용 72

제5장. 결론 74

참고문헌 76

부록 79

Abstract 89

감사의 글 91

표목차

Table 2.1 가정잡배수 오염부하량 원단위 조사 사례(실제 측정 자료) 17

Table 2.2 가정잡배수 오염부하량 원단위 조사 사례(외국사례) 17

Table 2.3 가정잡배수 오염부하량 원단위 적용 사례(우리나라) 18

Table 2.4 분뇨 오염부하량 원단위 적용사례(외국자료) 19

Table 2.5 분뇨정화조 제거율 20

Table 2.6 분뇨 오염부하량 원단위 적용사례(국내자료) 21

Table 2.7 가정용 급수사용량에 대한 영업용 급수사용량 비율 22

Table 2.8 용도지역별 영업용수율 적용기준(일평균) 23

Table 2.9 용도지역 면적에 의한 영업용수율 산정 사례 23

Table 2.10 용도지역 면적에 의한 영업용수율 적용 산정 사례 24

Table 2.11 오염부하량 원단위 실제 적용 사례(합류식) 25

Table 2.12 오염부하량 원단위 실제 적용 사례(분류식) 27

Table 2.13 급수원단위 실제적용 기초자료 및 설정사례 29

Table 2.14 전국 유수율 현황 30

Table 2.15 하수전환율 30

Table 2.16 장래급수계획 적용사례 31

Table 2.17 과거 상수도 사용실적 32

Table 2.18 기초가정오수량 산정 33

Table 2.19 영업오수량 산정 33

Table 2.20 공장폐수산정방법 34

Table 2.21 공장용수 및 폐수량 원단위 35

Table 2.22 업종별 공장폐수 원단위 35

Table 2.23 국ㆍ내외 공단업종별 용수원단위 36

Table 2.24 일본 공업입지 원단위 37

Table 2.25 공장폐수량 원단위 산정사례 38

Table 2.26 국ㆍ내외 지하수량 원단위 39

Table 3.1 생활오수 오염부하량원단위 산정 조사결과 40

Table 3.2 기초가정오수부하량 원단위 선정사례 조사결과 41

Table 3.3 가정잡배수 오염부하량 원단위(실제 측정 : 단독주택) 43

Table 3.4 가정잡배수 오염부하량 원단위(실제 측정 : 공동주택) 43

Table 3.5 생활하수량 산정 방법별 조사결과 45

Table 3.6 Data 입력과 침입수/유입수산정 개요 53

Table 3.7 침입수 및 유입수 조사결과(1) 54

Table 3.8 침입수 조사결과(2) 55

Table 3.9 유입수 조사결과(3) 56

Table 3.10 누수 조사결과(4) 57

Table 4.1 유입수질(수량)과 설계수질(수량) 조사결과 61

Table 4.2 설계대비 유입수질 63

Table 4.3 생활오수 오염부하량 산정조사 결과 67

Table 4.4 요소별 유입수질 설계 영향정도 69

Table 4.5 개선방안 주요 내용 72

그림목차

Fig 3.1 우리나라 하수관거 침입/유입수와 누수 실태(`95년기준) 49

Fig 3.2 I/I 및 누수분석 개요도 52

Fig 3.3 침입수 비율 58

Fig 3.4 유입수 비율 58

Fig 3.5 누수비율 58

Fig 4.1 설계 대비 유입량 비교(1) 62

Fig 4.2 설계 대비 유입수질 비교(2) 62

Fig 4.3 설계 대비 오염부하량(3) 70

Fig 4.4 설계 대비 유입수량(4) 70

Fig 4.5 설계 대비 유입수질(5)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