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몰정보
소속
직위
직업
활동분야
주기
서지
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 열기
원문 아이콘이 없는 경우 국회도서관 방문 시 책자로 이용 가능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서론 27
본론 29
1. 자료 및 연구방법 29
1)주요 연구 자료 29
2) 연구 기술 방법 29
2.《婦人大全良方》의 번역 연구 31
四庫全書의 《婦人大全良方》提要 31
《婦人良方》序 33
辨識修製藥物法度 35
약물 법제 방법에 대한 구분과 이해 39
卷之一 제 1 권 47
調經門 凡醫婦人, 先須調經, 故以爲初 47
조경문 여성을 진료할 때는 먼저 월경을 고르게 하여야하므로 처음에 두었다 47
月經緖論第一 47
제 1. 월경서론 47
精血篇第二 齊·光祿大夫澄遺書 48
제 2. 정혈편 제나라 광록대부 저징(저澄)이 남긴 글 49
《産寶方》緖論第三 50
제 3. 《산보방》서론 50
王子亨方論第四 51
제 4. 왕자형(王子亨)의 방론 51
月水不調方論第五 52
제 5. 월경이 고르지 못한 것에 대한 방론 53
月水不通方論第六 55
《産寶方》論 56
제 6.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56
《산보방》론 57
《養生必用》論經病第七 58
제 7. 《양생필용방》에서 월경병을 논한 것 59
室女月水不通方論第八 63
제 8. 미혼여성에게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63
室女經閉成勞方論第九 64
제 9. 미혼 여성의 월경이 나오지 않고 노채(勞채)가 된 것에 대한 방론 67
血枯方論第十 出駱龍吉方 72
제 10. 혈고에 대한 방론 낙용길(駱龍吉)의 방서에서 나왔다 73
月水不利不流利也方論第十一 74
제 11. 월수불리(月水不利)에 대한 방론 75
月水行或不行心腹刺痛方論第十二 76
제 12. 월경이 나오다 혹 나오지 않으면서 명치 아래가 찌르는 듯 아픈 것에 대한 방 78
月水不斷方論第十三 80
제 13. 월경이 그치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81
婦人殺血心痛方論第十四 83
제 14. 부인의 살혈심통에 대한 방론 83
崩暴下血不止方論第十五 83
제 15. 대량의 하혈이 갑자기 생겨 그치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88
崩中帶下方論第十六 96
제 16. 붕중·대하에 대한 방론 97
崩中漏下生死脈方論第十七 98
제 17. 붕중루하(崩中漏下)의 생사맥(生死脈)과 방론 101
婦人白濁白淫方論第十八 109
제 18. 부인의 백탁(白濁)과 백음(白淫)에 대한 방론 109
婦人天癸過期經脈不調方論第十九 110
제 19. 부인이 천계의 때가 지났는데 월경이 비정상적인 것에 대한 방론 111
婦人血分水分腫滿方論第二十 112
제 20. 부인의 혈분·수분 종만에 대한 방론 112
卷之二 제 2 권 114
衆疾門 經脈不調, 衆疾生焉, 故以次之 114
중질문 월경이 고르지 않는 것에서 여러 질병이 생기므로 그 다음에 두었다 114
《極一方》總論第一 114
제 1. 《극일방》의 총론 114
《産寶方》論第二 114
제 2. 《산보방》론 115
《博濟方》論第三 115
제 3. 《박제방》의 의론 115
寇宗奭論第四 116
제 4. 구종석(寇宗奭)의 의론 116
通用方序論第五 117
제 5. 통용방의 서론 123
卷之三 제 3 권 138
婦人中風方論第一 139
제 1. 부인 중풍에 대한 방론 142
婦人中風角弓反張口금方論第二 149
제 2. 부인이 중풍으로 몸이 뒤로 젖혀지고 입을 굳게 다문 것에 대한 방론 151
婦人中風口금方論第三 153
제 3. 부인이 중풍으로 입을 굳게 다문 것에 대한 방론 154
婦人中風不語方論第四 155
제 4. 부인이 중풍으로 말을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방론 155
婦人風痺手足不隨方論第五 156
제 5. 부인이 풍비증으로 손과 발을 의지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것에 대한 방론 157
婦人中風自汗方論第六 158
제 6. 부인이 중풍으로 헛땀이 나는 것에 대한 방론 158
婦人臂痛方論第七 160
제 7. 부인의 팔이 아픈 것에 대한 방론 161
婦人賊風偏枯方論第八 163
제 8. 부인이 적풍(賊風)으로 인해 반신이 마른 것(偏枯)에 대한 방론 총 3 처방 164
婦人偏風口괘方論第九 165
제 9. 부인의 편풍으로 입이 돌아간 것에 대한 방론 166
婦人血風心神驚悸方論第十 167
제 10. 부인이 혈풍으로 정서가 불안하고 심장이 두근거리는 것에 대한 방론 168
婦人失血過多心神不安方論第十一 168
제 11. 부인이 출혈을 많이 하여 정신이 불안정한 것에 대한 방론 169
婦人風邪顚狂方論第十二 169
제 12. 부인이 풍사로 인해 전광한 것에 대한 방론 170
婦人飛尸血厥方論第十三 171
제 13. 부인의 비시로 혈궐한 것에 대한 방론 172
卷之四 제 4 권 175
婦人血風身體骨節 疼痛方論第一 175
제 1 부인이 혈풍으로 몸의 뼈와 관절이 아픈 것에 대한 방론 175
婦人血風白虎歷節走주方論第二 176
제 2. 부인의 혈풍으로 인한 백호역절과 주주에 대한 방론 178
婦人血風은疹瘙양方論第三 179
제 3. 부인의 혈풍으로 인한 은진과 소양증에 대한 방론 181
婦人虛風頭目眩暈及心眩方論第四 183
제 4. 부인의 허풍으로 인한 머리와 눈의 어지러움 및 심현(心眩)에 대한 방 184
婦人血風頭痛方論第五 腎厥頭痛, 厥逆頭痛附 186
제 5. 부인의 혈풍두통에 대한 방론 신궐두통, 궐역두통을 덧붙임 187
婦人項筋强痛方論第六 190
제 6. 부인의 목 근육이 굳고 아픈 것에 대한 방론 192
婦人腰痛方論第七 195
제 7. 부인의 요통에 대한 방론 195
婦人腰脚痛方論第八 197
제 8. 부인의 요각통에 대한 방론 197
婦人脚氣方論第九 198
《聖惠方》婦人脚氣論 198
제 9. 부인의 각기에 대한 방론 200
《태평성혜방》에서 부인의 각기(脚氣)에 대해 논한 것 201
卷之五 제 5 권 206
婦人노채敍論第一 206
二十四種蒸病論 206
제 1. 부인 노채병의 서론 210
24종의 증병(蒸病)에 대해 논함 211
婦人骨蒸勞方論第二 219
제 2. 부인의 골증로(骨蒸勞)에 대한 방론 222
婦人血風勞氣方論第三 229
제 3. 부인의 혈풍로기(血風勞氣)에 대한 방론 232
婦人風虛勞冷方論第四 236
제 4. 부인의 풍허로랭(風虛勞冷)에 대한 방론 237
婦人冷勞方論第五 238
제 5. 부인의 냉로(冷勞)에 대한 방론 239
卷之六 제 6 권 242
婦人熱勞方論第一 242
제 1. 부인의 열로(熱勞)에 대한 방론 242
婦人客熱方論第二 244
제 2. 부인의 객열(客熱)에 대한 방론 244
婦人寒熱方論第三 245
제 3. 부인의 오한과 발열이 있는 것에 대한 방론 246
寡婦寒熱如.方論第四 247
제 4. 남편 없는 부인이 한기가 들었다가 열이 나는 것이 학질과 같은 것에 대 한 방론 총 1 처방 248
婦人惡寒方論第五 249
제 5. 부인의 오한에 대한 방론 249
婦人血風煩悶方論第六 250
제 6. 부인이 혈풍으로 갑갑하고 답답한 것에 대한 방론 251
婦人血風攻脾不能食方論第七 252
제 7. 부인의 혈풍(血風)이 비(脾)를 공격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에 대한 방론 253
婦人夢與鬼交方論第八 254
제 8. 부인이 꿈속에서 귀신과 교합하는 것에 대한 방론 255
婦人傷寒傷風方論第九 256
제 9. 부인의 상한증과 상풍증에 대한 방론 258
婦人熱人血室方論第十 262
제 10. 부인의 열입혈실(熱入血室)에 대한 방론 263
婦人咳嗽方論第十一 265
제 11. 부인의 기침에 대한 방론 265
婦人咳嗽用溫藥方論第十二 初虞世 265
제 12. 부인의 기침에 쓰는 따뜻한 약(溫藥) 방론 초우세(初虞世) 267
婦人勞嗽方論第十三 270
제 13. 부인의 노수에 대한 방론 271
婦人喘滿方論第十四 273
제 14. 부인의 숨이 가빠 갑갑한 것에 대한 방론 274
婦人風痰方論第十五 278
제 15. 부인의 풍담에 대한 방론 280
婦人心胸.雜方論第十六 284
제 16. 부인의 명치와 가슴이 조잡한 것에 대한 방론 284
卷之七 제 7 권 286
婦人嘔吐方論第一 286
제 1. 부인의 구토에 대한 방 287
婦人?亂方論第二 290
제 2. 부인의 곽란에 대한 방론 291
婦人.胃吐方論第三 294
제 3. 부인의 번위 구토에 대한 방론 294
婦人血膈方論第四 294
제 4. 부인의 혈격에 대한 방론 295
婦人鼻?方論第五 295
제 5 부인의 비출혈에 대한 방론 296
婦人吐血方論第六 297
제 6. 부인의 토혈에 대한 방론 299
婦人?癖諸氣方論第七 302
제 7. 부인의 현벽과 여러 기와 관련된 병증(현癖諸氣)에 대한 방론 303
婦人疝하方論第八 305
제 8. 부인의 산하(疝하)에 대한 방론 306
婦人八하方論第九 308
제 9. 부인의 팔하(八하)에 대한 방 309
婦人腹中瘀血方論第十 311
제 10. 부인의 뱃속에 어혈이 있는 것에 대한 방론 311
婦人징비方論第十一 312
제 11. 부인의 징비(징비)에 대한 방론 313
婦人食징方論第十二 314
제 12. 부인의 식징(食징)에 대한 방론 314
婦人積年血징塊方論第十三 315
제 13. 부인의 해묵은 혈징괴(血징塊)에 대한 방론 316
婦人血氣心痛方論第十四 319
제 14. 부인의 혈기심통(血氣心痛)에 대한 방론 320
婦人血氣心腹疼痛方論第十五 322
제 15. 부인의 혈기로 인한 심복동통에 대한 방론 324
婦人血氣小腹疼痛方論第十六 329
제 16. 부인의 혈기에 의한 소복부 동통에 대한 방론 330
婦人兩脅脹痛方論第十七 331
제 17. 부인의 양쪽 옆구리가 창통한 것에 대한 방론 332
婦人心腹脹滿方論第十八 335
제 18. 부인의 명치 아래가 창만한 것에 대한 방론 335
卷之八 제 8 권 337
婦人淋瀝小便不通方論第一 337
제 1. 부인의 소변 임력과 소변 불통에 대한 방론 338
婦人?轉不得小便方論第二 340
제 2. 부인의 전포증으로 소변을 볼 수 없는 것에 대한 방론 341
婦人小便數方論第三 342
제 3. 부인의 소변이 잦은 것에 대한 방론 343
婦人遺尿失禁方論第四 343
제 4. 부인의 유뇨와 소변실금에 대한 방론 344
婦人小便出血方論第五 345
제 5. 부인의 소변에서 피가 나오는 것에 대한 방론 346
婦人大便不通方論第六 348
제 6. 부인의 대변이 통하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349
婦人風入腸間或秘或利方論第七 350
제 7. 부인에게 풍이 장간(腸間)에 침입하여 어떤 경우에는 변비가 되고 어떤 경우에는 설사하는 것에 대한 방론 351
婦人泄瀉方論第八 354
제 8. 부인 설사에 대한 방론 356
婦人?熱下利方論第九 359
제 9. 부인의 열이 동반된 하리에 대한 방론 359
婦人滯下方論第十 360
제 10. 부인 체하(滯下)에 대한 방론 364
婦人痢後嘔홰方論第十一 372
제 11. 부인이 이질 후에 구역질과 딸꾹질을 하는 것에 대한 방론 374
婦人大便下血方論第十二 376
제 12. 부인이 대변볼 때 하혈하는 것에 대한 방론 377
婦人痔瘻方論第十三 379
제 13. 부인 치루에 대한 방론 380
婦人脫肛候方論第十四 381
제 14. 부인의 탈항증에 대한 방론 381
婦人陰腫方論第十五 382
제 15. 부인 음종에 대한 방론 383
婦人陰양方論第十六 與第 二十三卷第十論通用 384
제 16. 부인 음부 소양에 대한 방론 제 23권 제 10론과 통용한다 385
婦人陰冷方論第十七 386
제 17. 부인의 음부가 찬 것에 대한 방론 386
婦人陰挺出下脫方論第十八 387
제 18. 부인의 생식기가 탈출하여 아래로 빠진 것에 대한 방론 388
婦人陰中生瘡方第十九 389
제 19. 부인의 생식기에 종기가 생긴 것을 치료하는 처방 390
女人傷丈夫頭痛方第二十 390
제 20. 여자가 남자에게 손상을 입어 생긴 두통을 치료하는 처방 391
女人交接輒血痛方第二十一 391
제 21. 여자가 성 관계를 가질 때 번번이 피가 나고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 392
女人交接他物傷方第二十二 392
제 22. 여자가 다른 물체로 성행위를 하다 다친 것을 치료하는 처방 392
小戶嫁痛方第二十三 393
제 23. 질 입구가 좁아 성교통이 생기는 것의 처방 393
卷之九 제 9 권 395
求嗣門 疾病旣無, 須知求嗣, 故以次 之 395
구사문 질병이 이미 없어졌으면 자식을 얻는 것을 알아야 하므로 다음에 두었다 395
陳無擇求子論第一 395
제 1. 진무택(陳無擇)의 구자론 395
저尙書澄求男論第二 395
제 2. 상서(尙書) 저징(저澄)이 아들을 얻는 것에 대해 논한 것 396
婦人無子論第三 396
제 3. 부인에게 자식이 없는 것에 대해 논함 397
《千金翼》求子方論第四 398
제 4. 《천금익방》의 구자(求子)를 위한 방론 398
禁忌法 400
금기법 400
男女受胎時日法 401
아들과 딸을 수태하는 시간과 날짜에 대한 방법 401
推王相時日法 402
왕상(王相)의 시간과 날짜를 추산하는 방법 402
推貴宿日法 402
귀숙일(貴宿日)을 추산하는 방법 405
溫隱居求嗣保生篇方論第五 411
제 5. 온은거(溫隱居)의 구사보생편에 대한 방론 412
卷之十 제 10 권 415
胎敎門 求嗣已明, 須知胎敎, 故以次 之 415
태교문 후사를 구하는 방법을 이미 분명하게 밝혔으며 태교를 알아야만 하므로 그래서 다음에 두었다 415
姙娠總論第一 415
제 1. 임신총론 416
娠子論第二 418
제 2. 자식을 임신하는 것에 대해 논함 419
受形篇第三齊光祿大夫저澄 421
제 3. 형체를 이루는 것에 대한 글(受形篇) 제나라 광록대부 저징 421
論胎敎第 四馬益卿先生 422
제 4. 태교를 논함 마익경(馬益卿)선생 422
孕元立本章 第五 423
제 5. 임신의 근본인자(孕元)를 바탕에 바로 세우는 것에 관한 글 424
凝形殊稟章第六 426
제 6. 형체가 형성되었으나 천품이 다른 것에 대한 글 427
氣質生成章第七 430
제 7. 기질(氣質)의 생성에 관한 글 430
轉女爲男法第八 433
제 8. 딸을 바꾸어 아들이 되게 하는 법 433
卷之十一 제 11 권 435
脈例第一 435
제 1. 맥진하는 방법 435
診婦人有妊歌第二 436
제 2. 부인이 임신한 것을 진단하는 노래 437
驗胎法第三 439
제 3. 임신 여부를 시험(驗胎)하는 방법 439
胎敎避忌産前將護法第四 440
제 4. 태교, 금기, 산전의 섭생법 440
月遊胎殺第五 440
제 5. 달에 따라 태살(胎殺)이 있는 곳 440
十干日遊胎殺第六 441
제 6. 10간일에 따라 태살(胎殺)이 있는 곳 441
十二支日遊胎殺第七 441
제 7. 12지일에 따라 태살(胎殺)이 있는 곳 441
六甲旬遊胎殺第八 442
제 8. 육갑순에 따라 태살(胎殺)이 있는 곳 442
太史局日遊胎殺第九 442
제 9. 태사국일에 따라 태살(胎殺)이 있는 곳 442
食忌論第十 443
제 10. 음식에 대한 금기를 논함 444
孕婦藥忌歌第十一 445
제 11. 임신부의 금기 약물에 대한 노래 445
卷之十二제 12 권 447
姙娠門胎敎已明, 須知姙娠疾病, 故以次 之 447
임신문 태교가 이미 분명해졌고 임신의 질병을 알아야 하므로 다음에 두었다 447
姙娠隨月數服藥及將息法第一 447
제 1. 임신의 개월 수에 따른 약물 복용과 조리법 총 20 처방 452
姙娠惡阻方論第二 460
제 2. 임신 오조에 대한 방론 463
姙娠痰逆不思食方論第三 467
제 3. 임신중에 담(痰)이 거슬러 오르고 식욕이 없는 것에 대한 방론 468
胎動不安方論第四 471
제 4. 태동불안에 대한 방론 474
姙娠漏胎下血方論第五 480
제 5. 임신 중의 누태(漏胎)로 인한 하혈에 대한 방론 480
姙娠卒然下血方論第六 481
제 6. 임신 중의 갑작스런 하혈에 대한 방론 482
姙娠驚胎及강부方論第七 484
제 7. 임신 경태(驚胎) 및 경직되어 쓰러진 것(강부)에 대한 방론 486
姙娠胎上逼心方論第八 488
제 8. 임신 중에 태아가 위로 올라가 심장을 핍박하는 것에 대한 방론 489
姙娠忽然下黃汁如膠或如豆汁胎動腹痛方第九 492
제 9. 임신 중에 갑자기 아교나 혹은 콩즙과 같은 누런 액체가 나오면서 태동 과 복통이 있는 것에 대한 처방 492
姙娠誤服毒藥傷動胎氣方第十 492
제 10. 임신 중에 독성이 있는 약물을 잘못 복용하여 태기를 손상한 것의 처방 493
姙娠心痛方論第十一 494
제 11. 임신 심통에 대한 방론 495
姙娠心腹痛方論第十二 496
제 12. 임신 중에 명치 아래가 아픈 것에 대한 방론 498
姙娠中惡方論第十三 500
제 13. 임신 중악(中惡)에 대한 방론 501
姙娠腰腹及背痛方論第十四 501
제 14. 임신 요복부(腰腹部) 및 배부(背部) 통증에 대한 방론 502
姙娠小腹痛方論第十五 504
제 15. 임신 중의 소복통(小腹痛)에 대한 방론 505
姙娠心腹脹滿方論第十六 505
제 16. 임신 중에 명치 밑이 부르고 그득한 것(心腹脹滿)에 대한 방론 506
卷之十三 제 13 권 508
姙娠數墮胎方論第一 508
제 1. 임신하고 자주 유산(數墮胎)하는 것에 대한 방론 508
姙娠胎不長養方論第二 510
제 2. 임신 중에 태아가 자라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510
姙娠胎動安不得却須下方論第三 姙娠得病, 欲去子方附 512
제 3. 임신 태동불안으로 부득이하게 하태시키는 방론 임신 중에 병을 얻어 태아를 제거하고자하는 처방을 덧붙임 513
姙娠墮胎後血下不止方論第四 514
제 4. 임신중에 타태되고 난 후에 출혈이 생겨 그치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515
姙娠日月未足欲産方第五 516
제 5. 임신 중에 날짜가 차지 않은데 분만하려 하는 것에 대한 방론 516
斷産方論第六 517
제 6. 단산에 대한 방론 518
姙娠咳嗽方論第七 519
제 7. 임신 해수에 대한 방론 520
姙娠吐血육血方論第八 522
제 8. 임신 토혈과 육혈에 대한 방론 522
姙娠子煩方論第九 523
제 9. 임신 중의 자번에 대한 방론 524
姙娠煩躁口乾方論第十 527
제 10. 임신 번조(煩躁) 구건(口乾)에 대한 방론 총 4 처방 527
卷之十四 제 14 권 529
姙娠中風方論第一 529
제 1. 임신 중풍에 대한 방론 529
姙娠風痙方論第二 531
제 2. 임신 중에 풍으로 인한 경련(風痙)에 대한 방론 532
姙娠腹內有鬼胎方論第三 533
제 3. 임신 중 뱃속에 귀태(鬼胎)가 있는 것에 대한 방론 534
姙娠傷寒方論第四 534
제 4. 임신 상한에 대한 방론 537
姙娠時氣方論第五 542
제 5. 임신 중의 유행성 감염(時氣)에 대한 방론 543
妊婦熱病方論第六 544
제 6. 임신 열병에 대한 방론 545
妊娠傷寒熱病防損胎方論第七 546
제 7. 임신 상한과 열병에서 태아가 손상되는 것을 막는 방론 547
妊娠熱病胎死腹中方論第八 郭稽中 548
제 8. 임신 열병으로 태아가 뱃속에서 사망한 것에 대한 방론 곽계중 549
妊娠.疾方論第九 551
제 9. 임신 학질에 대한 방론 552
妊婦.亂方論第十 554
제 10. 임신부 곽란에 대한 방론 555
卷之十五 제 15 권 557
妊娠泄瀉方論第一 557
제 1. 임신 설사에 대한 방론 557
妊娠下痢赤白及黃水方論第二 559
제 2. 임신 중에 붉거나 흰 이질 설사를 하는 것과 누런 물을 이질 설사하는 것에 대한 방론 561
妊娠大小便不通方論第三 564
제 3. 임신중 대소변 불통에 대한 방론 566
妊娠小便不通方論第四 568
제 4. 임신 중에 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569
妊娠子淋方論第五 571
제 5. 임신 중 자림(子淋)에 대한 방론 571
妊娠遺尿方第六 573
제 6. 임신 중의 유뇨증 처방 573
妊娠尿血方論第七 573
제 7. 임신 중에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에 대한 방론 574
妊娠胎水腫滿方論第 八《産乳集》養子論附 575
《産乳集》養子論 576
제 8. 임신 태수종만(胎水腫滿)에 대한 방론 《산유집》의 양자론(養子論)을 덧붙임 총 577
《산유집》의 자식을 기르는 이론(養子論) 578
妊娠腹內鐘鳴方第九 582
제 9. 임신 중에 뱃속에서 종이 울리는 듯한 소리가 나는 것에 대한 방론 582
공顔德孕癰方第十 582
제 10. 공안덕(공顔德)의 임신 장옹(孕癰)의 처방 582
妊娠不語論第十一 582
제 11. 임신 중에 말을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의론 583
妊娠傷食方論第十二 583
제 12. 임신 상식(傷食)에 대한 방론 584
妊娠臟躁悲傷方論第十三 584
제 13. 임신 중의 장조(臟躁)로 슬픔에 손상된 것(悲傷)에 대한 방론 585
卷之十六 제 16 권 587
坐月門 妊娠疾病旣明, 須知坐月避忌, 故以次 之 587
좌월문 임신의 질병을 이미 명확하게 하였고 분만하는 달의 금기를 잘 알아야 하므로 다음에 두었다 587
《産寶方》周정序第一 587
제 1. 《경효산보》에 있는 주정(周정)의 서문 588
將護孕婦論第二 590
제 2. 임신부의 섭생과 간호에 대해 논함 591
滑胎例第三 592
제 3. 분만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593
月空方位例第四 596
제 4. 월공(月空)의 방위를 보는 법 596
逐月安産藏衣忌向方位第五 597
제 5. 달에 따라 분만하는 방위와 태반을 묻는데 꺼리는 방위 598
推婦人行年法第六 601
제 6. 부인의 행년(行年)을 추산하는 방법 604
體玄子借地法第七 608
제 7. 체현자(體玄子)의 차지법(借地法) 609
禁草法第八 609
제 8. 금초법(禁草法) 610
禁水法第九 610
제 9. 금수법(禁水法) 610
入月預備藥物第十 611
제 10. 산달에 들어서 예비하는 약과 물건 611
催生靈符第十一 612
제 11. 분만을 촉진하는 영험한 부적 613
卷之十七 제 17 권 614
産難門 坐月旣明, 須知産難, 故以次 之 614
산난문 산달에 대해 이미 명확하게 되었고 난산을 알아야 하므로 다음에 두었다 614
産難論第一 614
제 1. 난산에 대해 논함 615
楊子建《十産論》第二 617
제 2. 양자건의 《십산론》 619
催生方論第三 624
제 3. 분만을 촉진하는 방론 628
郭稽中産難方論第四 636
제 4. 곽계중(郭稽中)의 난산 방론 637
産難子死腹中方論第五 638
제 5. 난산과 태아가 뱃속에서 사망한 것에 대한 방론 639
産難生死訣第六 643
제 6. 난산으로 살고 죽는 것에 대한 요결 644
卷之十八 제 18 권 646
産後門 産難旣明, 須知産後疾病, 故以次 之 646
산후문 난산에 대한 것이 이미 분명해졌고 산후의 질병을 알아야 하므로 다음에 두었다 646
産後將護法第一 646
제 1. 산후의 간호법 647
産後調理法第二 649
제 2. 산후조리법 650
産後通用方論第三 651
제 3. 산후에 통용하는 방론 656
胞衣不出方論第四 669
제 4.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671
産後血暈方論第五 676
제 5. 산후의 혈훈(産後血暈)에 대한 방론 678
産後顚狂方論第六 683
제 6. 산후의 전광(産後顚狂)에 대한 방론 683
産後狂言.語如有神靈方論第七 684
제 7. 산후에 미친 말을 하고 헛소리를 하는 것이 귀신들린 듯한 것에 대한 방론 684
産後不語方論第八 686
제 8. 산후에 말을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방론 686
卷之十九 제 19 권 687
産後乍見鬼神方論第一 687
제 1. 산후에 갑자기 귀신을 본 것에 대한 방론 687
産後臟虛心神驚悸方論第二 688
제 2. 산후에 장허(臟虛)하여 심신(心神)이 놀라 두근거리는 것에 대한 방론 689
産後心驚中風方論第三 691
제 3. 산후의 심경(心驚)과 중풍(中風)에 대한 방론 692
産後中風恍惚方論第四 693
제 4. 산후에 중풍으로 정신이 흐린 것(恍惚)에 대한 방론 694
産後所下過多虛極生風方論第五 695
제 5. 산후에 하혈이 과도하게 많아 허약이 극에 달해 풍(風)이 생긴 것에 대 한 방론 695
産後虛汗不止方論第六 696
제 6. 산후에 허한(虛汗)이 그치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697
産後冒悶汗出不識人方論第七 698
제 7. 산후에 어지럽고 답답(冒悶)하고 땀이 나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 에 대한 방론 699
産後汗出多而變치方論第八 中風口금, 角弓反張附 699
제 8. 산후에 땀이 많이 나서 치증(치症)으로 변한 것에 대한 방론 중풍(中風)으 로 입을 굳게 다물고(口금), 각궁처럼 몸을 뒤로 휜 것(角弓反張)을 덧붙임 700
中風口금角弓反張方論附 702
중풍으로 입을 굳게 다물고 몸이 각궁처럼 뒤로 휘어진 것에 대한 방론을 덧붙임 704
産後中風方論第九 708
제 9. 산후의 중풍에 대한 방론 708
郭稽中産後中風方論 708
곽계중(郭稽中)의 산후 중풍에 대한 방론 709
産後中風筋脈四肢攣急方論第十 711
제 10. 산후의 중풍으로 근맥과 사지가 경련을 일으키고 긴장된 것에 대한 방론 712
産後熱悶氣上轉爲脚氣方論第十一 713
제 11. 산후에 열감을 느끼고 답답하며 기(氣)가 위로 올라가 각기(脚氣)로 변 하는 것에 대한 방론 714
卷之二十 제 20 권 715
産後偏身疼痛方論第一 715
제 1. 산후에 온몸이 아픈 것에 대한 방론 715
産後腰痛方論第二 716
제 2. 산후의 요통에 대한 방론 717
産後惡露不絶方論第三 719
제 3. 산후에 오로가 그치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720
産後惡露不下方論第四 721
제 4. 산후에 오로가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722
産後餘血上.心痛方論第五 724
제 5. 산후에 남은 피(餘血)가 위로 부딪쳐 생긴 심통(心痛)에 대한 방론 724
産後惡露不盡腹痛方論第六 726
제 6. 산후에 오로가 다 없어지지 않아 배가 아픈 것에 대한 방론 727
産後兒枕心腹刺痛方論第七 730
제 7. 산후의 아침으로 명치 아래가 찌르는 듯이 아픈 것(兒枕心腹刺痛)에 대 한 방론 732
産後小腹疼痛方論第八 735
제 8. 산후의 소복통에 대한 방론 736
産後寒疝方第九 737
제 9. 산후의 한산(寒疝)에 대한 처방 738
産後兩脅脹滿氣痛方論第十 739
제. 10 산후에 양쪽 옆구리가 창만(脹滿)하고 기통(氣痛)이 있는 것에 대한 방론 740
産後積聚.塊方論第十一 741
제 11. 산후의 적취 징괴에 대한 방론 741
産後血하方論第十二 742
제 12. 산후의 혈하(血하)에 대한 방론 743
産後餘血奔心煩悶方論第十三 虛煩當附於此 745
제 13. 산후에 남은 피(餘血)가 심장으로 달려들고(奔心) 번민(煩悶)한 것에 대 한 방론 허번(虛煩)도 당연히 여기에 부가하였다 746
産後虛煩方第十四 747
제 14. 산후의 허번에 대한 처방 748
卷之二十一 제 21 권 751
産後口乾비悶方論第一 751
제 1. 산후에 입이 마르고 더부룩하고 답답한 것에 대한 방론 751
産後血渴方第二 752
제 2. 산후의 혈갈(血竭)에 대한 처방 752
産後乍寒乍熱方論第三 産後?疾附 753
제 3. 산후에 잠시 추웠다 잠시 열이 나는 것에 대한 방론 산후 학질을 덧붙임 754
郭稽中産後方論附 756
곽계중(郭稽中)의 산후 방론을 덧붙임 757
産後?勞方論第四 758
제 4. 산후의 욕로(?勞)에 대한 방론 760
産後虛羸方論第五 763
제 5. 산후에 허약하고 여윈 것(虛羸)에 대한 방론 765
産後風虛勞冷方論第六 769
제 6. 산후의 풍허로냉(風虛勞冷)에 대한 방론 771
産後腹脹滿悶嘔吐不定方論第七 773
제 7. 산후에 배가 부르고 그득하며 답답하고 구토가 멎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774
産後嘔逆不食方論第八 774
제 8. 산후에 구역하고 음식을 못 먹는 것에 대한 방론 775
産後?亂方論第九 776
제 9. 산후의 곽란에 대한 방론 776
卷之二十二 제 22 권 778
産後傷寒方論第一 778
제 1. 산후의 상한에 대한 방론 779
産後頭痛方論第二 783
제 2. 산후의 두통에 대한 방론 783
産後咳嗽方論第三 784
제 3. 산후의 기침(咳嗽)에 대한 방론 785
産後喉中氣急喘促方論第四 786
제 4. 산후에 목안(喉中)에서 숨이 가빠 헐떡이는 것에 대한 방론 786
産後口鼻黑氣起及鼻육方論第五 788
제 5. 산후에 입과 코에 검은 기운이 일어나면서 코피가 나는 것에 대한 방론 788
産後咳噫方論第六 789
제 6. 산후에 막혀 트림(咳噫)하는 것에 대한 방론 789
産後血崩方論第七 791
제 7. 산후의 혈붕(血崩)에 대한 방론 792
産後月水不調方論第八 794
제 8. 산후에 월경이 고르지 못한 것에 대한 방론 794
産後月水不通方論第九 795
제 9. 산후에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795
産後四肢浮腫方論第十 796
제 10. 산후의 사지부종에 대한 방론 798
産後腹痛及瀉利方論第十一 800
제 11. 산후의 복통 및 설사에 대한 방론 801
産後赤白痢疾及虛羸氣疾方論第十二 802
제 12. 산후의 적백이질(赤白痢疾) 및 허리기질(虛羸氣疾)에 대한 방론 806
卷之二十三 제 23 권 813
産後痢疾作渴方論第一 813
제 1. 산후에 이질로 갈증이 나는 것에 대한 방론 813
産後大便秘삽方論第二 814
제 2. 산후에 대변이 굳고 원활하게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815
産後大小便不通方論第三 816
제 3. 산후에 대·소변이 통하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817
産後遺糞方第四 818
제 4. 산후에 대변을 참지 못하고 무의식중에 보는 것(遺糞)에 대한 처방 818
産後諸淋方論第五 818
제 5. 산후의 각종 임증(淋症)에 대한 방론 820
産後小便數方論第六 823
제 6. 산후에 소변이 잦은 것에 대한 방론 823
産後小便不禁方論第七 824
제 7. 산후에 소변을 참지 못하는 것에 대한 방론 824
産後小便出血方論第八 825
제 8. 산후에 소변 볼 때 피가 나오는 것에 대한 방론 826
産後陰脫玉門不閉方論第九 826
제 9 산후에 음탈(陰脫)하고 질 입구(玉門)가 닫히지 않는 것에 대한 방론 827
婦人陰蝕五疳方論第十 830
제 10. 부인의 음식 오감(陰蝕五疳)에 대한 방론 831
産後乳汁或行或不行方論第十一 833
제 11. 산후에 유즙이 나오다 나오지 않다 하는 것에 대한 방론 835
産後乳汁自出方論第十二 838
제 12. 산후에 젖이 저절로 나오는 것에 대한 방론 838
産後吹.方論第十三 838
제 13. 산후의 취내(吹?)에 대한 방론 839
産後妬乳方論第十四 婦人, 女子乳頭生小淺熱瘡, 搔黃汁出方附 840
제 14. 산후의 투유(妬乳)에 대한 방론 부인이나 여자의 유두가 가렵고 누런 액체가 나오는 것에 대한 처방을 덧붙임 840
婦人, 女子乳頭生小淺熱瘡, 搔之黃汁出方附 841
부인과 여자의 젖꼭지에 작고 얕으며 뜨거운 창(小淺熱瘡)이 생기고 긁으면 누런 진물이 나오는 것의 처방을 덧붙임 842
乳癰方論第十五 843
제 15. 유옹(乳癰)에 대한 방론 846
卷之二十四 제 24 권 853
拾遺方凡十二方 853
수집하여 후세에 전하는 처방(拾遺方) 총 12 처방 855
《産乳集》將護.兒方論 860
《산유집》의 영아를 보육하고 간호하는 것에 대한 방론 861
고찰 865
1. 宋의 文化史와 陳子明의 《婦人大全良方》 866
2. 《婦人大全良方》의 著作과 관련된 淵源과 板本 873
3. 《婦人大全良方》의 주요 내용과 처방 875
1) 調經門 876
2) 衆疾門 877
3) 求嗣門 881
4) 胎敎門 882
5) 姙娠門 882
6) 坐月門 885
7) 産難門 885
8) 産後門 886
결론 892
참고문헌 및 자료 894
Abstract 896
표 1. 제 1권의 주요 처방 877
표 2. 제 3권의 주요 처방 879
표 3. 제 4권의 주요 처방 879
표 4. 제 5권의 주요 처방 879
표 5. 제 6권의 주요 처방 880
표 6. 제 7권의 주요 처방 880
표 7. 제 8권의 주요 처방 881
표 8. 제 12권의 주요 처방 884
표 9. 제 13권의 주요 처방 884
표 9. 제 14권의 주요 처방 884
표 10. 제 15 권의 주요 처방 885
표 11. 제 18권의 주요 처방 888
표 12. 제 19권의 주요 처방 888
표 13. 제 20권의 주요 처방 889
표 14. 제 21권의 주요 처방 889
표 15. 제 22권의 주요 처방 890
표 16. 제 23권의 주요 처방 890
표 17. 제 24권의 주요 처방 890
표 18. 《부인대전양방》의 주요 인용 및 거명 서목 891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