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6
제1장 서론 8
제2장 D. Buxtehude의 Toccata d-moll, BuxWV 155 9
2.1. D. Buxtehude의 생애와 그의 오르간 음악 9
2.2. Toccata d-moll, BuxWV 155 작품 해설 11
제3장 J. S. Bach의 Toccata, Adagio und Fuga C-Dur, BWV 564 15
3.1. J. S. Bach의 생애와 그의 오르간 음악 15
3.2. Toccata, Adagio und Fuga C-Dur, BWV 564 작품 해설 17
1) Toccata(1 악장) 17
2) Adagio(2 악장) 20
3) Fugue(3 악장) 21
제4장 T. Escaich의 Cinq versets sur Ie Victimae Paschali 22
4.1. T. Escaich의 생애 22
4.2. Cinq versets sur le Victimae Paschali 작품 해설 23
제5장 F. Liszt의 Fantasie und Fuge uber den Choral "Ad nos, ad salutarem undam" 34
5.1. F. Liszt의 생애와 그의 음악적 특징 34
5.2. Fantasie und Fuge uber den Choral "Ad nos, ad salutarem undam" 작품 해설 36
1) Fantasie 36
2) Adagio 38
3) Fugue 40
제6장 결론 42
참고문헌 44
Abstract 45
이 논문은 본인의 석사 졸업 연주회의 연주 곡목인 D. Buxtehude의 Toccata d-moll, BuxWV 155, J. S. Bach의 Toccata, Adagio und Fuga C-Dur, BWV 564, T. Escaich의 Cinq versets sur le Victimae Paschali 그리고 F. Liszt의 Fantasie und Fuge über den Choral "Ad nos, ad salutarem undam" 에 대한 작품해설이다.
덴마크 출신의 D. Buxtehude(1637-1707)는 바하 이전 북부 독일 최대의 오르가니스트 겸 작곡가로 바로크 시대의 독일 음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그의 건반 악기를 위한 작품 장르 중 praeludia에 속하는 Toccata d-moll은 1684년에 작곡되었으며 토카타라고 느껴지기에는 매우 진지하고 강한 표현력을 지닌 곡이다.
J. S. Bach(1685-1750)은 바로크음악을 종합적으로 완성시킨 작곡가라고 말할 수 있다. 그는 과거와 당대의 여러 양식들을 자기 것으로 적용하고 통합하여 독특한 그의 음악언어로 표현하였다. 바하의 오르간 작품들 중에서 Toccata, Adagio und Fuga C-Dur, BWV 564는 바이마르 시기에 쓰여진 곡으로 이태리 협주곡 형식의 악곡 구조와 북독일의 전형적인 요소가 어우러진 작품이다.
T. Escaich는 1965년 5월 8일에 태어나서 France의 Conservatoire National Supérieur do Musique de Paris에서 공부하였다. 그는 성공적인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또 즉흥연주가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현대 작곡가 중 한 사람이며, 그의 작품은 유럽과 미국 도처에서 연주되어지고 있다. Cinq versets sur le Victimae Paschali는 gregorian chant인 'Victimae Paschali'에 기초한 곡으로서 다섯 개의 verset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대조적인 성격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F. Liszt는 유명한 헝가리의 작곡가로서 그의 오케스트라적인 음악과 눈부신 건반 테크닉에 대한 흥미로움이 그로 하여금 3개의 오르간 대작을 만들게 하였다. 그 중 Fantasie und Fuge über den Choral "Ad nos, ad salutarem undam"은 Meyerbeer의 오페라 Le Prophète에 나오는 세 재침례론자(Anabaptist)의 코랄에서 그 주제를 따온 곡으로 Fantasie, Adagio 그리고 Fugue의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피아니스틱한 아르페지오로 가득한 이 곡은 길고 서사적인 작품이며, 페달트릴, 전조, 페달링, 기교의 대가임을 보여주는 카덴짜들, 그리고 많은 템포변화들로 구성되어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