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8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14

3. 연구의 제한점 15

4. 용어의 정의 16

II. 미술과 수행 평가 17

1. 미술과 수행평가의 의미 17

2. 미술과 수행평가의 원리 23

3. 미술과 수행평가에서 루브릭의 필요성 36

III. 루브릭에 대한 이해 42

1. 루브릭의 개념 42

2. 루브릭의 역할 43

3. 루브릭의 종류 49

4. 루브릭 의 개 발과정(developing rubrics) 55

5. 루브릭을 위한 루브릭 64

IV. 미술과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의 활용 방안 67

1. 미술과 수행평가 내용에 따른 활용 방안 68

2. 미술과 수행평가 방법 에 따른 활용 방안 74

3. 미술과 교수 · 학습방법에 따른 활용 방안 79

4. 평가 단계 설정 및 서술자 제작 방안 98

V. 미술과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의 활용 102

1. 미적 체험 영역 중심 활동에서 루브릭의 활용 104

2. 표현 영역 중심 활동에서 루브릭의 활용 107

3. 감상 영역 중심 활동에서 루브릭의 활용 113

VI. 결론 및 제언 119

참고문헌 123

ABSTRACT 130

표목차

〈표 1〉 총제적 루브릭과 분석적 특징 루브릭 52

〈표 2〉 일반적 루브릭과 특정과제 루브릭 54

〈표 3〉 미술과 수행평가 내용에 따른 평가 준거의 예 73

〈표 4〉 평가(assessment) 방법 74

〈표 5〉 미술과 수행평가 방법에 따른 평가 준거의 예 79

〈표 6〉 미술과 교수 · 학습 방법의 유형 81

〈표 7〉 귀납적 사고법의 수업 전개 과정에 따른 평가 준거 설정 85

〈표 8〉 귀납적 사고법의 수엽 전개 과정에 따른 일반적 루브릭 86

〈표 9〉 문제중심학습의 전개과정 89

〈표 10〉 문제중섬학습의 전개 과정에 따른 평가 준거 설정 90

〈표 11〉 문제중심학습의 전개 과정에 따른 일반적 루브릭 91

〈표 12〉 미술 감상을 위한 비평적 탐구 과정 94

〈표 13〉 비평적 탐구방법의 수업 전개 과정에 따른 평가 준거 설정 96

〈표 14〉 비평적 탐구방법의 수업 전개 과정에 따른 일반적 루브릭 97

〈표 15〉 탈 만들기 루브릭 99

〈표 16〉 6학년 미술과 단원별 필수 학습 요소에 따른 학습제재 103

그림목차

〈그림 1〉 수행평가 제작 및 실행 단계 36

〈그림 2〉 귀납적 사고법을 활용한 미술 수업 전개 과정 84

초록보기

본 연구는 현 교육적 패러다임에 근거한 평가의 목적을 반영할 수 있는 미술과 수행평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루브릭의 필요성과 루브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루브릭을 활용한 수행평가 채점 방안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우선, 포스트모더니즘, 구성주의, 다중지능 이론과 같은 교육적 인식론의 전환에 관한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는 루브릭의 필요성을 유도해 내었다. 이는, 정초주의에서 구성주의로의 교육적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말미암아 최근 수행평가에 있어 새로운 목적들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수행평가는 창의성이나 문제해결력 등의 고등 사고 기능을 신장하고, 학습자 개인에게 의미있는 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학습자 개인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수행평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들의 개인별 능력에 따른 객관적인 서술자에 근거해서 평가를 할 수 있고 탐구 활동을 격려할 수 있는 루브릭을 활용한 수행평가 채점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교과의 특성상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소지가 많아 채점 기준에 대한 일관적인 태도와 전문적인 판단이 요구되는 미술과 수행평가에서 보다 객관적인 채점 방안으로서 루브릭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다음으로, 본 연구자는 루브릭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루브릭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루브릭이란 학생의 수행결과를 점수로서 표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리고 학생의 수행의 수준과 특징을 기술자에 근거하여 서술적으로 나타낸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평가에서의 점수와 차별되는 것이며 수행평가를 실행하기 위하여 반드시 개발되어 있어야 하는 도구이다. 루브릭의 종류는 총체적 루브릭(holistic rubric)과 분석적 특징 루브릭(analytical trait rubric), 일반적 루브릭(general rubric)과 특정 과제 루브릭(task specific rubric)으로 대별할 수 있다. 루브릭의 제작은 교사, 학생 그리고 특히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 과정에 의해 개발이 가능하며 미술과 수행평가에서 루브릭의 활용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학생의 수업과 평가 사이를 직접적으로 관련지어 평가에서 기대한 것과 성취한 것 사이의 실제적인 결합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루브릭을 활용한 자기-반성 평가, 자기 평가, 그리고 목적 설정과 같은 전략은 효과적인 메타인지 계발전략이며, 학습과정에서 고등사고 기능을 함양시킬 수 있다.

셋째, 학습자에게 사전에 루브릭을 제시함으로서 학습자들은 평가 과정을 이해하고 스스로 다음 학습에 대한 목표의식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된다.

넷째, 루브릭은 교사가 학생을 평가하고 학생들이 자신이나 동료를 평가할 수 있으며 학부모 혹은 그 밖의 사람들이 학생들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다섯째, 학생의 수행이 갖고 있는 특징과 문제점에 대해 정확하게 진단하는 역할과 함께 학생의 학습 준비도를 증진시킨다.

여섯째, 자기조절 학습태도를 함양할 수 있으며 스스로 학습의 책임감을 갖도록 한다.

일곱째, 교사의 연구와 노력을 제고시켜 교사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으며 교사들간의 공동연구를 촉진시킬 수 있다.

여덟째, 학부모는 학생들이 실제로 학습하는 내용이 무엇이며 과제가 무엇을 요구하는지 그리고 학생들의 수행단계가 어떻게 결정되는지 이해할 수 있다.

살펴본 루브릭의 이론적 특성과 기대 효과를 바탕으로 미술과 수행평가 채점 방안을 살펴보았다. 우선, 미술과 수행평가 내용에 따라, 미술과 수행평가 방법에 따라 그리고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가능한 평가 관점을 살펴보았으며 또한 평가 단계 설정 및 서술자 제작에 관해 검토해 보았다. 그런 후, 미적 체험, 표현, 감상의 영역과 관련된 단원을 각각 선정하여 중심활동에 따라 가능한 루브릭을 개발하여 제시했다.

'현 교육적 패러다임에 근거한 평가의 목적을 반영할 수 있는 미술과 평가를 추구하기 위해 루브릭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의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식하게 된 중요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 수행준거 설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수행평가는 각 교과, 학년에 가장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지식(인지적, 심동적, 정의적)을 평가하기 위해 학습자들의 수행 과정과 결과물을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해 평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미술과는 각 학년의 활동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내용이 명료하지 않아 성취기준 설정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학생이 성취해야 할 내용과 탐구기술을 명확히 제시하기 위해 루브릭을 통한 수행준거 설정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둘째, 루브릭은 학습자의 사고를 신장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루브릭을 활용한 미술과 수행평가에서 보다 협소한 관점에 대한 상세한 준거의 제시는 오히려 개인적 책임감, 창조성 그리고 독립성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루브릭을 통해 고등사고기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평가전략의 활용과 그러한 능력을 요구하는 수행기준 설정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자와 함께 미술과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을 작성할 수도 있다. 미술과 수행평가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의 탐구 능력이나 메타인지와 같은 고등 사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 중심의 일방적인 평가 기준 제작에서 벗어나 수행평가 준거 설정에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탐구와 학습의 과정을 스스로 설계하고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설계와 반성을 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