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 차

1. 서언(序言) 8

1.1. 지금까지 이루어진 신 29-30장 연구의 논점 8

1.2. 신 29-30장의 해석사와 해석 방법론의 여러 형태 14

1.2.1 본문 너머의 역사로부터 본문에 다가간 신 29-30장의 해석 14

1.2.1.1. Julius Wellhausen 이전의 해석사 14

1.2.1.2. Julius Wellhausen의 해석 16

1.2.1.3. Gerhard von Rad의 해석 18

1.2.1.4. Martin Noth의 해석 19

1.2.2. 해석 패러다임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새로운 해석론의 기초 21

1.2.3. 대립된 두 흐름으로 나뉘어 버린 구약 해석의 현상과 신 29-30장 28

1.2.3.1. 독일과 불란서에서 나타난 해석론의 정체(停滯) 28

1.2.3.2. Pierre Buis와 Jacques Leclercq의 해석 29

1.2.3.3. Eduard Nielsen의 해석 30

1.2.4. 새로운 해석론과 옛 해석론의 융합 시도와 그를 통해 바라본 신 29-30장 32

1.2.4.1. 이른바 정경 비평-Brevard S. Childs의 해석론 32

1.2.4.2. 새로운 해석론과 옛 해석론의 통합의 관점에서 바라본 신 29-30장의 전망 - Robert Polzin의 해석 34

1.2.5. 기존 해석 방법론에 대한 문제 제기 36

1.3. 이 논문의 해석 방법론과 논제(論題) 36

1.3.1. 논제와 해석 방법론의 전제인 성경 인식론 36

1.3.2. 해석 방법론과 논제 38

1.3.2.1. 해석 방법론 38

1.3.2.2. 이 논문의 논제(論題) 40

2. 논제(論題)의 전개 41

2.1. 분석 본문의 설정 41

2.1.1. 설정 방법 41

2.1.2. 분석 본문의 설정 42

2.2. 신 29-30장의 구조(構造) 46

2.2.1. 본문 해석에서 구조가 갖는 의미 46

2.2.2. 신 29-30장의 구조 분석 47

2.2.2.1. 편집사의 관점에서 바라본 분석-고대 근동 조약의 틀에 따 른 구조 분석 47

2.2.2.2. 문학의 관점에서 신 29-30장의 구조를 분석하는 경우 49

2.2.2.3. 내가 분석한 신 29-30장의 구조 53

2.2.3. 본문 구조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구조와 의미 64

2.2.3.1. P(29:1-8)의 구조와 의미 64

2.2.3.2. T1 및 F1(29:9-20 및 29:21-27)의 구조와 의미 70

2.2.3.3. F2(30:1-10)의 구조와 의미 79

2.2.3.4. T3(30:11-20)의 구조와 의미 87

2.3. 신 29-30장의 구조 분석으로부터 도출된 본문의 의미 94

2.4. 신 29-30장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오늘 여기 있는 우리에게도 적용되는가? 99

2.4.1. ‘호렙 언약 - 새 언약’의 미시 구조(微視構造)인 신 29-30장 99

2.4.2. 결 어(結語) 105

2.5. 본문의 통일성(統一性) 107

2.5.1. 통일성에 의심을 일으키는 본문의 정황 108

2.5.2. 통일성에 대하여 제기되는 의문 해결의 실마리 110

2.5.3. 결 어(結語) 113

2.6. 신 29-30장의 성격과 신 28:69의 성격 113

2.6.1. 신 29-30장의 성격 114

2.6.1.1. 학자들의 견해 114

2.6.1.2. 나의 견해 116

2.6.2. 신 28:69의 성격 117

2.6.2.1. 학자들의 견해 117

2.6.2.2. 나의 견해 118

3. 결론(結論) 121

참고문헌 125

표목차

표 1) P와 T2의 평행 관계 69

표 2) 29:9-14절의 언약 구도 72

표 3) P, T2, 그리고 T1 사이의 평행 관계 75

표 4) 6절의 앞뒤에 제시된 이스라엘의 상태 비교 83

표 5) T1, F1, T2, 그리고 F2의 관계 84

표 6) 29:1-30:10의 본문 분석으로부터 도출되는 구조 85

표 7) 시간의 흐름을 따라 다시 제시한 29:1-30:10의 구조 85

표 8) 신 29-30장의 구조 92

표 9) 시간의 흐름을 따라 다시 제시한 29:1-30:20의 구조 93

표10) 신 29-30장에 나타난 미시 구조(微視構造) 100

표 11) 호렙 언약으로부터 새 언약에 이르는 거시 구조(巨視構造) 102

표 12) 호렙 언약과 새 언약의 언약 행위의 차이 103

표 13) 이스라엘을 나타내는 인칭의 수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