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12

1. 서론 16

2. 연구 개요 18

2.1. 목적 18

2.2. 방법 18

3. 본론 및 고찰 23

3.1. 문헌분류의 의의 23

3.1.1. 분류의 정의 23

3.1.2. 지식 분류의 유형 23

3.1.3. 문헌·문헌분류의 정의 25

3.1.4. 학문분류·연구주제분류와의 비교 27

3.2. 표준문헌분류법 발전 개략 32

3.2.1. 한국 32

3.2.2. 중국 40

3.3. KDC의 519 한의학 부분 변천 47

3.3.1. 한의학의 主類·綱目·要目 配定 47

3.3.2. 510 의학 綱目의 要目 47

3.3.3. 519 한의학 要目의 細目 47

3.3.4. 각 항목별 細分類 50

3.4. 中圖法의 R22 중국의학 부분 변천 58

3.4.1. 中國醫學의 大部類·基本大類·類目 配定 58

3.4.2. R 醫藥·衛生의 類目 58

3.4.3. R2 中國醫學의 基本類目 58

3.4.4. R2 中國醫學 基本類目 中의 主要細目 61

3.4.5. 각 항목별 細分類 64

3.5. 한의학.중국의학 부분 비교 82

3.5.1. 일반 내용 82

3.5.2. 의학과 醫藥·衛生의 배정 및 분류 항목 82

3.5.3. 한의학 細目과 중국의학 基本類目 84

3.5.4. 각 항목별 細分類 85

3.6. 수정전개의 필요성과 개선 방안 107

3.6.1.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특징 비교 107

3.6.2. 근현대 동양의학 변천과정[보건사적 관점] 114

3.6.3. 근현대 한의학의 독창성[중국의학과의 구별] 118

3.6.4. 한의학의 중장기 발전상 126

3.6.5.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학문분류 비교 128

3.6.6. 문제 제기와 개선 방안 134

3.7. 보조조기표(補助助記表) 작성안 140

3.7.1. 한의학총론보조구분표안(韓醫學總論補助區分表案) 140

3.7.2. 한의학문헌표준분과표안(韓醫學文獻標準分科表案) 142

3.7.3. 한의학표준분류표안(韓醫學標準分類表案) 150

3.8. 수정전개안 152

3.8.1. 519 한의학 요목의 세목 153

3.8.2. 각 항목별 세분류 159

3.8.2.1. 519 한의학 세분류 159

3.8.2.2. 519.1 한의기초학 세부항목 160

3.8.2.3. 519.2 한의임상학 세부항목 170

3.8.2.4. 519.3-.6 각과 한의학 세부항목 177

3.8.2.5. 519.7 한의위생학.공공의학 세부항목 186

3.8.2.6. 519.8 한의약학 세부항목 188

3.8.2.7. 519.9 한의특수주제 세부항목 191

3.8.3. 분류실제 원칙 및 전개표 195

3.8.3.1. 분류실제 원칙 195

3.8.3.2. 전개표 197

4. 결론 234

참고문헌 238

부 록 250

감사의 글 294

논문 요지 296

표목차

표 1. 지식 관련 분류의 유형 24

표 2. 최근의 한의학분야 중요 지식 분류의 유형 25

표 3. 문헌의 분류 26

표 4. 학문의 분류 28

표 5. 학문분류, 문헌분류, 연구주제분류의 비교 31

표 6. 한국의 주요 현대도서분류법 비교 34

표 7. KDC 초판 편찬 상의 참고문헌 35

표 8. Bacon의 학문분류와 DDC 및 KDC의 주류배열 37

표 9. KDC 초판 편찬 상의 참고문헌 적용분야 38

표 10. KDC의 主類.綱目의 기본분류체계표 39

표 11. 中國 現代 3大 圖書分類法 比較 42

표 12. 中圖法의 기본분류체계 44

표 13. KDC 519 한의학의 主類.綱目.要目의 배정 47

표 14. KDC 510 의학 綱目의 要目 변화 48

표 15. KDC 510 의학과 519 한의학의 項目 配列 比較 49

표 16. KDC 519 한의학 要目의 細目 變化 49

표 17. KDC 제4판 519 한의학 要目의 細分類 50

표 18. KDC 제4판 511 基礎醫學과 519.1 韓醫基礎學 細目의 細分類 比較 51

표 19. KDC 제4판 519.2 韓醫臨床學의 細分類 52

표 20. KDC 제4판 512 臨床醫學과 519.2 韓醫臨床學 細目의 細分類 比較 52

표 21. KDC 제4판 513-516과 519.3-.6 各科 韓醫學의 細分類 比較 54

표 22. KDC 제4판 519.7 特殊 韓方主題.四象醫學의 細分類 55

표 23. KDC 제4판 517과 519.7의 細分類 比較 55

표 24. KDC 제4판 519.8 韓醫藥學의 細分類 56

표 25. KDC 제4판 518 藥學 및 519.8 韓醫藥學의 細分類 比較 56

표 26. KDC 제4판 519.9 鍼灸學의 細分類 57

표 27. 中圖法 R2 中國醫學에 관한 大部類.基本大類.類目의 配定 58

표 28. 中圖法 R 醫藥.衛生의 類目 變化 59

표 29. 中圖法 R2 中國醫學의 基本類目 配列 順序 60

표 30. 中圖法 R2 中國醫學의 基本類目 變化 61

표 31. 中圖法 R2 中國醫學의 細分類 變化 61

표 32. 中圖法 R21 中醫豫防.衛生學의 細目 變化 62

표 33. 中圖法 R22 中醫基礎理論의 細目 變化 62

표 34. 中圖法 R24 中醫臨床學의 細目 變化 63

표 35. 中圖法 R25 中醫內科의 細目 變化 64

표 36. 中圖法 R221 內經의 細分類 變化 65

표 37. 中圖法 R222 傷寒.金.(傷寒雜病論)의 細分類 變化 65

표 38. 中圖法 R223 中醫生理의 細分類 變化 66

표 39. 中圖法 R224 經絡.孔穴의 細分類 變化 66

표 40. 中圖法 R226 中醫陰陽五行.運氣學說의 細分類 變化 67

표 41. 中圖法 R228 中醫病理의 細分類 變化 67

표 42. 中圖法 R241 中醫診斷學의 細分類 變化 68

표 43. 中圖法 R242 中醫治療學의 細分類 變化 68

표 44. 中圖法 R243 中草藥治療學(八法論治)의 細分類 變化 69

표 45. 中圖法 R244 外治法(物理療法)의 細分類 變化 69

표 46. 中圖法 R245 鍼灸學, 鍼灸療法의 細分類 變化 70

표 47. 中圖法 R246 鍼灸療法 臨床應用의 細分類 變化 71

표 48. 中圖法 R247 其他療法의 細分類 變化 72

표 49. 中圖法 R248 中醫護理學의 細分類 變化 72

표 50. 中圖法 R249 醫案.醫話(臨床經驗)의 細分類 變化 72

표 51. 中圖法 R254 外感病症의 細分類 變化 73

표 52. 中圖法 R255 一般病症 및 R256 臟腑病症의 細分類 變化 73

표 53. 中圖法 R26 中醫外科의 細分類 變化 76

표 54. 中圖法 R271 中醫婦産科의 細分類 變化 76

표 55. 中圖法 R272 中醫兒科의 細分類 變化 77

표 56. 中圖法 R273 中醫腫瘤科의 細分類 變化 77

표 57. 中圖法 R274 中醫骨傷科의 細分類 變化 78

표 58. 中圖法 R275 中醫皮科의 細分類 變化 78

표 59. 中圖法 R276 中醫五官科의 細分類 變化 78

표 60. 中圖法 R277 中醫其他科學의 細分類 變化 79

표 61. 中圖法 R278 中醫急症學의 細分類 變化 79

표 62. 中圖法 R28 中藥學의 細分類 變化 80

표 63. 中圖法 R289 方劑學의 細分類 變化 81

표 64. 中圖法 R29 中國少數民族醫學의 細分類 變化 81

표 65. KDC와 中圖法의 일반 비교 82

표 66. KDC 510 의학과 中圖法 R 醫藥.衛生의 배정 비교 83

표 67. KDC 510 의학과 中圖法 R 醫藥.衛生의 분류 항목 비교 84

표 68. KDC 519 한의학 細目과 中圖法 R2 中國醫學 基本類目의 비교 85

표 69. KDC 519 한의학과 中圖法 R22 中國醫學의 細分類 비교 86

표 70. KDC 519.1 韓醫基礎學과 中圖法 R22 中醫基礎理論의 細分類 비교 87

표 71. KDC와 中圖法의 內經에 관한 細分類 비교 87

표 72. KDC와 中圖法의 傷寒.金.에 관한 細分類 비교 88

표 73. KDC와 中圖法의 韓醫生理學에 관한 細分類 비교 89

표 74. KDC와 中圖法의 韓醫病理學에 관한 細分類 비교 89

표 75. KDC와 中圖法의 陰陽五行.運氣學說에 관한 細分類 비교 89

표 76. KDC 519.2 韓醫臨床學과 中圖法 R24 中醫臨床學의 細分類 비교 91

표 77. KDC와 中圖法의 韓醫診斷學에 관한 細分類 비교 91

표 78. KDC와 中圖法의 韓醫治療學에 관한 細分類 비교 92

표 79. KDC와 中圖法의 韓醫藥物療法에 관한 細分類 비교 92

표 80. KDC와 中圖法의 韓醫理學療法에 관한 細分類 비교 93

표 81. KDC와 中圖法의 韓醫其他療法에 관한 細分類 비교 94

표 82. KDC와 中圖法의 韓醫看護學에 관한 細分類 비교 94

표 83. KDC와 中圖法의 韓醫 醫案.醫話(臨床經驗)에 관한 細分類 비교 94

표 84. KDC 各科 韓醫學과 中圖法 中醫臨床各科의 細分類 비교 95

표 85. KDC와 中圖法의 韓醫內科에 관한 細分類 비교 96

표 86. KDC와 中圖法의 韓醫外科에 관한 細分類 비교 97

표 87. KDC와 中圖法의 韓醫婦人科.韓醫産科에 관한 細分類 비교 98

표 88. KDC와 中圖法의 韓醫小兒科에 관한 細分類 비교 98

표 89. KDC와 中圖法의 韓醫五官科에 관한 細分類 비교 99

표 90. KDC와 中圖法의 韓醫皮膚科에 관한 細分類 비교 99

표 91. KDC와 中圖法의 韓醫腫瘍學에 관한 細分類 비교 100

표 92. KDC와 中圖法의 韓醫再活醫學科에 관한 細分類 비교 100

표 93. KDC와 中圖法의 韓醫應急醫學에 관한 細分類 비교 101

표 94. KDC와 中圖法의 기타에 관한 細分類 비교 101

표 95. KDC와 中圖法의 韓醫衛生學에 관한 細分類 비교 102

표 96. KDC와 中圖法의 韓醫法醫學에 관한 細分類 비교 102

표 97. KDC와 中圖法의 四象醫學에 관한 細分類 비교 102

표 98. KDC와 中圖法의 本草學에 관한 細分類 비교 103

표 99. KDC와 中圖法의 方劑學에 관한 細分類 비교 104

표 100. KDC와 中圖法의 經穴學에 관한 細分類 비교 105

표 101. KDC와 中圖法의 鍼灸學에 관한 細分類 비교 106

표 102. 최한기의 ≪身機踐驗≫에 나타난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장단점 108

표 103. 동서양 문명의 발달과정 비교 109

표 104. 동서양 의학의 발달과정 비교 109

표 105. ≪통속한의학원론≫ 중의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비교 111

표 106. ≪동서의학 비교연구≫ 중의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비교 111

표 107. ≪새로운 의학 새로운 삶≫ 중의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비교 111

표 108. ≪새로운 한의학 터 닦기≫ 중의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비교 112

표 109. 학문분류별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특징 비교 114

표 110. 近現代의 韓.中.日 東洋醫學의 변천과정 115

표 111. 19세기 한.중.일 삼국의 전통의학에 관한 보건당국 조치사항 116

표 112. 한국.중국.일본의 한의학 의료제도 연혁 117

표 113. 한국.중국.일본의 전통의학 의료체계 현황 118

표 114. 서양의학과 동양의학의 학문분류 개념 비교 130

표 115. 서양의학의 학문분류 132

표 116. 동양의학의 학문분류 133

표 117. 中圖法 R2 중국의학 부분 復分表(보조분류표) 活用例 138

표 118. KDC 519 한의학 부분 보조조기표 適用例 139

표 119. 韓醫學總論補助區分表案 141

표 120. 韓醫學 基礎醫學.醫學流派.醫學史 文獻分類를 위한 標準分科案 144

표 121. 韓醫學 臨床醫學 文獻分類를 위한 標準分科案 146

표 122. 韓醫學 社會醫學 文獻分類를 위한 標準分科案 147

표 123. 韓醫藥學 文獻分類를 위한 標準分科案 149

표 124. 韓醫特殊主題 文獻分類를 위한 標準分科案 149

표 125. 韓醫學文獻標準分科表案 150

표 126. 中圖法 제4판과 ≪中圖法.醫學專門分類表≫의 補助 分類表 151

표 127. 韓醫學臨床證狀標準分類表按 152

표 128. 韓醫學本草藥材標準分類表案 152

표 129. KDC 제4판 519 韓醫學 要目의 細目 修整展開案 154

표 130. 510 의학.519 한의학.519 한의학 수정전개안의 항목배정 비교 156

표 131. 한의학의 形成理論과 構成理論 163

표 132. KDC 제4판 519 한의학 수정전개안 분류작업의 원칙 197

표 133. KDC 제4판 519 韓醫學 要目의 細目別 細部項目 展開表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