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국문목차
표제지=0,1,4
목차=iv,5,2
그림목차=vi,7,9
표목차=xv,16,1
논문개요=xvi,17,4
I. 서론=1,21,1
A. 연구목적 및 의의=1,21,4
B. 연구범위 및 방법=5,25,2
C. 연구 내용=6,26,1
II. 의상디자인의 입체적 표면효과=7,27,1
A. 텍스처와 표면효과=7,27,8
B. 가공에 의한 입체적 표면효과=15,35,14
III. 입체적 표면장식의 기법=29,49,2
A. 퀼팅(quilting)=31,51,6
B. 주름=36,56,18
C. 자수=54,74,4
D. 절개=57,77,3
E. 부착=60,80,37
IV. 현대 패션에 나타난 입체적 표면장식 디자인=97,117,1
A. 부분장식에 의한 디자인의 강조:Accent=97,117,5
B. 표면의 재구성:Reconstruction=102,122,5
C. 기법과 소재의 혼합 및 변용:Mix&Match=106,126,18
V. 현대 패션에 나타난 입체적 표면장식의 이미지=124,144,1
A. 로맨틱&엘레강트:Opulence, Whispering=124,144,4
B. 에스닉&빈티지:Handcraft-Deco, Antique Touch=127,147,4
C. 모던&스포티:Rhythmical Line=131,151,2
D. 아방가르드:Exaggeration=132,152,6
VI. 입체적 표면장식에 의한 의상 디자인 창작=138,158,2
A. Opulence=140,160,13
B. Handcraft-Deco=153,173,8
C. Rhythmical Line=161,181,12
VII. 결론=173,193,5
참고문헌=178,198,7
ABSTRACT=185,205,3
감사의 글=188,208,1
(그림2-1) 여러 재료의 대비효과(바우하우스, 1920년)=24,44,1
(그림2-2) 나무판에 새긴 질감표현(바우하우스, H.Busse작, 1922년)=24,44,1
(그림2-3) 노트(knot)사=24,44,1
(그림2-4) 깃털(feather)사=24,44,1
(그림2-5) 루프(loop)사=24,44,1
(그림2-6) 루프사를 이용한 부클레=25,45,1
(그림2-7) 팬시얀(cloudy yarn)=25,45,1
(그림2-8) 크레이프(crepe)=25,45,1
(그림2-9) 자카드 니트(jacquard knit)=25,45,1
(그림2-10) 와플 클로스(waffle cloth)=25,45,1
(그림2-11) 마트라세(matelasse)=25,45,1
(그림2-12) 코듀로이(corduroy)=26,46,1
(그림2-13) 시어서커(seersucker)=26,46,1
(그림2-14) 엠보싱=26,46,1
(그림2-15) 엠보싱 투피스 (Julien Macdonald 00/01 A/W)=26,46,1
(그림2-16) 열고정에 의한 삼차원의 몰딩=27,47,1
(그림2-17) 열고정에 의한 플리츠=27,47,1
(그림2-18) 기모처리된 모헤어=27,47,1
(그림2-19) 플리세(plisse´)=27,47,1
(그림2-20) 오팔가공=28,48,1
(그림2-21) 오팔가공의 원피스 (Balmain 00/01 A/W)=28,48,1
(그림2-22) 플로킹=28,48,1
(그림2-23) 플로킹 원피스 (Valentino 97 S/S Haute Couture Collections)=28,48,1
(그림3-1) 면솜으로 퀼팅한 실크 드레스(1875)=70,90,1
(그림3-2) 퀼팅의 예술적 표현물고기 모티프의 머신 퀼팅=70,90,1
(그림3-3) 머신 퀼팅=70,90,1
(그림3-4) 핸드 퀼팅 (영국, 1740)=70,90,1
(그림3-5) 실의 배색처리에 의한 장식적 퀼팅=71,91,1
(그림3-6) 스티치 밀도에 따른 표현효과=71,91,1
(그림3-7) 진주 비즈와 함께 표현된 여성적인 느낌의 퀼팅(Balmain)=71,91,1
(그림3-8) 슬림한 퀼팅 이브닝 앙상블 (Matilda Etches, 1947)=71,91,1
(그림3-9) 퀼팅처리된 사틴 이브닝 재킷 (lanvin)=71,91,1
(그림3-10) 스터프 퀼팅을 하는 모습 (뒷면)=72,92,1
(그림3-11) 작고 독립적인 스터프 퀼팅의 모티프=72,92,1
(그림3-12) 와드 퀼팅과 함께 표현된 스터프 퀼팅=72,92,1
(그림3-13) 부분형 퀼팅. 그림 3-14의 부분=73,93,1
(그림3-14) skeleton 드레스 (Schiaparelli, 1938)=73,93,1
(그림3-15) 코디드 퀼팅의 앞모습=73,93,1
(그림3-16) 코디드 퀼팅의 뒷모습=73,93,1
(그림3-17) 나뭇잎모양의 코디드 퀼팅=74,94,1
(그림3-18) 메달모양의 코디드 퀼팅=74,94,1
(그림3-19) 코디드 퀼팅의 쿠션=74,94,1
(그림3-20) 코디드 퀼팅 소매(Schiaparelli,1939)=74,94,1
(그림3-21) 셔링=75,95,1
(그림3-22) 셔링 블라우스 (Bally 01/02 A/W)=75,95,1
(그림3-23) 탄성사를 이용한 셔링=75,95,1
(그림3-24) 탄성사 셔링의 스커트 (Dominique Sirop 03 S/S)=75,95,1
(그림3-25) 스트링을 이용한 셔링=76,96,1
(그림3-26) 스트링형의 셔링 (Dolce & Gabbana 03 S/S)=76,96,1
(그림3-27) 스트립형 루시=76,96,1
(그림3-28) 스트립형 루시 장식의 탑 (00 S/S Anna Molinali)=76,96,1
(그림3-29) 스커트의 루시 장식 드레스(1790)=77,97,1
(그림3-30) 루시=77,97,1
(그림3-31) 전면형 루시의 실크 벨벳 드레스 Lucien Lelong(1946)=77,97,1
(그림3-32) 전면형 루시의 소매 (1880년대)=77,97,1
(그림3-33) 직선형 러플=78,98,1
(그림3-34) 직선형 러플의 블라우스 (Chiyuki 00/01 A/W)=78,98,1
(그림3-35) 프릴=78,98,1
(그림3-36) 프릴장식 원피스 (Moschino 04 S/S)=78,98,1
(그림3-37) 플라운스 장식=79,99,1
(그림3-38) 플라운스 장식의 블라우스(Ferragamo 93/94 A/W)=79,99,1
(그림3-39) 아코디언 플리츠의 드레스 (Pierre Balmain)=79,99,1
(그림3-40) Mariano Fortuny의 Delphos 드레스(1924)=79,99,1
(그림3-41) Issey Miyake의 조형적 플리츠=79,99,1
(그림3-42) 비딩으로 장식한 크로스 스티치 턱=80,100,1
(그림3-43) 크로스 스티치 턱 (Ruffo Research, 02 S/S)=80,100,1
(그림3-44) 스트라이프 패턴을 응용한 크로스 스티치 턱의 배색효과=80,100,1
(그림3-45) Vionnet의 핀턱 원피스=80,100,1
(그림3-46) 아동복의 스모킹=81,101,1
(그림3-47) 스트라이프 패턴을 이용한 스모킹=81,101,1
(그림3-48) 스모킹 플리터=81,101,1
(그림3-49) 격자형(lattice) 북미식 스모킹=81,101,1
(그림3-50) 마름모형(lozenge) 북미식 스모킹=82,102,1
(그림3-51) 마름모형 북미식 스모킹의 스커트 (Koji Tatsuno 00 S/S)=82,102,1
(그림3-52) 꽃모양의 북미식 스모킹=82,102,1
(그림3-53) 꽃모양 북미식 스모킹 (Issey Miyake, 01/02 A/W)=82,102,1
(그림3-54) 윤곽형 이탈리안 스모킹=83,103,1
(그림3-55) 셔링형 이탈리안 스모킹=83,103,1
(그림3-56) 서피스 허니콤 스모킹으로 표현된 물고기=83,103,1
(그림3-57) 스모킹의 예술적 표현=83,103,1
(그림3-58) 버섯모양으로 표현된 스모킹=84,104,1
(그림3-59) 퀼팅, 비딩, 자수와 함께 입체적으로 표현된 리버스 스모킹=84,104,1
(그림3-60) 아플리케와 함께 표현된 꽃모양의 북미식 스모킹=84,104,1
(그림3-61) 비오네의 북미식 스모킹 드레스=84,104,1
(그림3-62) 자수사에 따른 질감의 차이 1=85,105,1
(그림3-63) 자수사에 따른 질감의 차이 2=85,105,1
(그림3-64) 겹장미의 화려한리본 자수, 그림 3-65의 부분=85,105,1
(그림3-65) 리본 자수의 코트 (Christian Lacroix,1990)=85,105,1
(그림3-66) 프렌치 놉 스티치=86,106,1
(그림3-67) 레이즈드 엠브로더리(Schiaparelli)=86,106,1
(그림3-68) 카우칭=86,106,1
(그림3-69)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카우칭=86,106,1
(그림3-70) 직물조각, 금속 링, 망과 함께 표현된 자수=87,107,1
(그림3-71) 비딩, 금속 링, 그물망의 활용=87,107,1
(그림3-72) 카우칭, 절개, 아플리케의 혼합=87,107,1
(그림3-73) 카우칭, 아플리케, 단추의 부착=87,107,1
(그림3-74) 인체의 곡면을 이용한 절개 (Owen Castor 95/96 A/W)=88,108,1
(그림3-75) 절개 조각을 걷어 올린 입체 표현=88,108,1
(그림3-76) 절개면의 입체 처리와 배색 (Eri Matsui & E.M.C2 00/01 A/W)=88,108,1
(그림3-77) 절개면의 입체 표현=88,108,1
(그림3-78) 말려 올라간 직물 조각의 입체적 표현=89,109,1
(그림3-79) 절개와 올풀기 장식=89,109,1
(그림3-80) 절개구 위로 빼낸 안감=89,109,1
(그림3-81) 육각형 모티프를 연결한 피스형 패치워크=90,110,1
(그림3-82) 폴디드 스타 패치워크의 쿠션=90,110,1
(그림3-83) 프린트 직물, 아미시 퀼트 블록, 인조 모피가 패치워크 된 롱 코트=90,110,1
(그림3-84) 직물과 모피의 패치워크 (Rafael Lopez 02/03 A/W)=90,110,1
(그림3-85) 그림 3-86의 일부분=91,111,1
(그림3-86) 패치워크와 핀턱의 리버시블 재킷=91,111,1
(그림3-87) '코데미아 델라트' 컬렉션의 패치워크 코트(Schiaparelli)=91,111,1
(그림3-88) 패드 아플리케=92,112,1
(그림3-89) 패드 아플리케2=92,112,1
(그림3-90) 입체형 아플리케=92,112,1
(그림3-91) 입체형 아플리케 원피스(Ungaro)=92,112,1
(그림3-92) 유리 비즈=93,113,1
(그림3-93) 나무 비즈=93,113,1
(그림3-94) 엠브로더리 스톤=93,113,1
(그림3-95) 다양한 모양의 비즈=93,113,1
(그림3-96) 다양한 재질의 비즈장식, 그림 3-97의 부분=94,114,1
(그림3-97) 비즈 드레스 입생로랑 (1967 S/S)=94,114,1
(그림3-98) 글래스 스톤, 금색 비즈, 진주장식Norman Hartnell=94,114,1
(그림3-99) 시퀸 장식의 드레스=94,114,1
(그림3-100) 시퀸과 비즈 장식, 그림 3-101의 부분=95,115,1
(그림3-101) 시퀸, 비즈장식의 드레스 Geoffrey Beene, 1991=95,115,1
(그림3-102) 각종 테이프=95,115,1
(그림3-103) 주름 처리된 테이프 장식의 투피스 (Hanae Mori 03 S/S)=95,115,1
(그림3-104) 파이핑=96,116,1
(그림3-105) 독특한 디자인의 단추(Schiaparelli)=96,116,1
(그림3-106) 깃털의 부분 장식 (Marc Bohan for Dior, 1967)=96,116,1
(그림3-107) 깃털의 전체 장식 (Givenchy, 1968)=96,116,1
(그림3-108) 스터드 장식 (Katherine Hamnett, 1990)=96,116,1
(그림4-1) 퀼팅을 부분 장식한 점프 슈트 (Alexandre McQueen 03/04 A/W)=112,132,1
(그림4-2) 러플의 끝을 배색 처리한 부분장식 (Emporio Armani 02 S/S)=112,132,1
(그림4-3) 올 푼 러플의 부분장식 블라우스 (Junya Watanabe Comme des Garcons 02 S/S)(이미지참조)=112,132,1
(그림4-4) 턱장식 코르셋의 블라우스 (Gianfranco Feere´94/95 A/W=112,132,1
(그림4-5) 칼라 부분의 스모킹 장식 케이프 (Pollini 04 A/W)=113,133,1
(그림4-6) 가슴부위의 절개장식 (Nicolas le Cauchoix 03 S/S)=113,133,1
(그림4-7) 절개면의 올을 푼 스커트(Junya Watanabe Comme des Garcons 02 S/S)(이미지참조)=113,133,1
(그림4-8) 자수의 부분장식 스커트(Dice Kayek 00/01 A/W)=113,133,1
(그림4-9) 소매의 퍼 장식 (Valentino 03/04 A/W)=114,134,1
(그림4-10) 시퀸의 부분장식 블라우스(Alexandre Mattheu 01/02 A/W)=114,134,1
(그림4-11) 배색 파이핑의 재킷 (Takashi Kataoka 00/01 A/W)=114,134,1
(그림4-12) 시접분을 겉으로 장식한 재킷 (Hanae Mori 03/04 A/W)=114,134,1
(그림4-13) 올푼 시접을 연결한 원피스 (Anne-Vale´rie Hash 03 S/S)=114,134,1
(그림4-14) 제감을 이용한 장식 테이프 부착 (Balmain 00/01 A/W)=115,135,1
(그림4-15) 프릴과 장식테이프의 원피스 (Narciso Rodriguez 04 A/W)=115,135,1
(그림4-16) 표면감촉형의 비딩 원피스 (Alberta Ferretti 00/01 A/W)=115,135,1
(그림4-17) 코트에 사용된 엠브로더리 스톤의 입체 효과 (Romeo Gigli 00/01 A/W)=115,135,1
(그림4-18) 세밀한 요철형의 셔링장식(허리부분) 블라우스 (John Bartlett 00/01 A/W)=116,136,1
(그림4-19) 세밀한 크로스턱의 원피스 (Marc Jacobs 03 S/S)=116,136,1
(그림4-20) 세밀한 요철형의 코디드 퀼팅 (Balenciaga 01/02 A/W)=116,136,1
(그림4-21) 리드미컬한 아코디언 플리츠 장식의 원피스 (Gre`s by Koji Tatsuno 04 S/S)=116,136,1
(그림4-22) 리드미컬한 파상형의 플라운스 장식 (Michel Harcourt 01 S/S)=116,136,1
(그림4-23) 탄력있는 입체형의 루시장식 (Keiko Suzuki 01/02 A/W)=116,136,1
(그림4-24) 크로스 스티치 턱의 입체표현 (A.F.Vandevorsr 02/03 A/W)=117,137,1
(그림4-25) 엮기와 휘감기의 조각적 표현 (Yoshiki Hishinuma 02 S/S)=117,137,1
(그림4-26) 조형작업을 통한 입체표면 (Masaki Matsushima 00 S/S)=117,137,1
(그림4-27) 조각연결의 구조적 표현 (Ji Haye 03 S/S)=117,137,1
(그림4-28) 가죽소재의 코르사주형 장식 (Martin Sitbon 00/01 A/W)=117,137,1
(그림4-29) 사틴소재의 코르사주형 장식 (Rochas 04 S/S)=117,137,1
(그림4-30) 볼륨형의 퀼팅 점퍼 (Bottega Veneta 01/02 A/W)=118,138,1
(그림4-31) 코르사주의 볼륨형 장식 (Alexandre McQueen 00 A/W)=118,138,1
(그림4-32) 스모킹과 주름 장식 (Haider Ackermann 02/03 A/W)=118,138,1
(그림4-33) 턱과 스모킹 장식의 코트 (Beige Shop 02/03 A/W)=118,138,1
(그림4-34) 단추와 프릴장식 원피스 (Jean Paul Gaultier 03 S/S)=119,139,1
(그림4-35) 퀼팅과 아플리케장식의 재킷 (Louis Vuitton 02 S/S)=119,139,1
(그림4-36) 절개를 지퍼로 장식한 원피스 (John Galliano 00 S/S)=119,139,1
(그림4-37) 절개구 사이를 테이프 장식한 바지 (Seredin & Vasiliev 01/02 A/W)=119,139,1
(그림4-38) 턱과 깃털장식의 원피스 (Alexandre McQueen 01 S/S)=119,139,1
(그림4-39) 카무플라주 패턴으로 표현된 러플의 겹 장식 드레스 (Jean Paul Gaultier 00 S/S Haute Conture Collections)=120,140,1
(그림4-40) 깃털의 겹 장식 스커트 (Keita 00 S/S)=120,140,1
(그림4-41) 가죽테이프의 꼬임 효과 (Lagerfeld Gallery 01/02 A/W)=120,140,1
(그림4-42) 조각천의 드레이핑과 부착을 통한 조형적 표현 (Calvin Klein 04 S/S)=120,140,1
(그림4-43) 테이프를 부분적으로 꺽은 조형적 표현 (Guerriero 04 S/S)=120,140,1
(그림4-44) 플리츠 안쪽을 패턴물로 장식한 원피스 (D&G 04 S/S)=121,141,1
(그림4-45) 길게 늘어뜨린 비즈장식 (A Scott Henshall 01 S/S)=121,141,1
(그림4-46) 절개의 조형적 표현 (Daniel Herman 01/02 A/W)=121,141,1
(그림4-47) 광택에 의한 셔링의 음영효과 (YSL Rive Gauche 01/02 A/W)=121,141,1
(그림4-48) 가죽 턱 (I. E. Uniform 02/03 A/W)=122,142,1
(그림4-49) 가죽 셔링 (Alexander McQueen 02/03 A/W)=122,142,1
(그림4-50) 쉬폰 턱 (Alberta Ferretti 03 S/S)=122,142,1
(그림4-51) 체크무늬를 활용한 셔링 장식의 블라우스 (Victorio & Lucchino 01/02 A/W)=122,142,1
(그림4-52) 꽃무늬를 활용한 입체 표현 (Yoshiki Hishinuma 00/01 A/W)=122,142,1
(그림4-53) 트위드소재와 비즈장식의 믹스 & 매치 (Lanvin 02/03 A/W)=123,143,1
(그림4-54) 카무플라주 패턴과 러플의 믹스 & 매치 (Moschino Cheap&Chic 00/01 A/W)=123,143,1
(그림5-1) 풍성하게 표현된 플리츠 장식의 'opulence' 이미지 (Chanel 04 S/S)=134,154,1
(그림5-2) 풍성한 깃털 장식의 'opulence' 이미지 (YSL Rive Gauche 00/01 A/W)=134,154,1
(그림5-3) 레이스와 플리츠 장식의 'opulence' 이미지 (Rochas 04 S/S)=134,154,1
(그림5-4) 비즈 탑과 시폰 스커트의 'whispering' 이미지 (Genny 95 S/S)=134,154,1
(그림5-5) 하늘거리는 깃털장식의 'whispering' 이미지 (Rifat Ozbek 97 S/S)=134,154,1
(그림5-6) 플라운스장식과 달콤한 컬러배색의 'whispering' 이미지 (Victorio&Lucchino 00 S/S)=134,154,1
(그림5-7) 빈티지풍 자수원피스의 'handcraft deco' (Moschino Cheap & Chic 00/01 A/W)=135,155,1
(그림5-8) 빈티지풍의 손뜨개장식과 패치워크의 'handcraft deco' (Anna Sui 01 A/W)=135,155,1
(그림5-9) 에스닉한 자수장식의 'handcraft deco' (Louis Vuittoon 02 S/S)=135,155,1
(그림5-10) 에스닉 이미지의 화려한 시퀸장식 (Hussein Chalayan 02/03 A/W)=135,155,1
(그림5-11) 풀린올장식과 퇴색한 컬러감의 'antique touch' (Atsuro Tayama 00 S/S)=135,155,1
(그림5-12) 낡은듯한 소재감의 앤티크한 패치워크 (Hussein Chalayan 03/04 A/W)=135,155,1
(그림5-13) 모던한 턱 장식의 투피스 (Anne klein 02/03 A/W)=136,156,1
(그림5-14) 모던한 플리츠의 블라우스 (Jil Sander 02/03 A/W)=136,156,1
(그림5-15) 모던하고 세련된 이미지의 퀼팅 코트 (Gucci 00/01 A/W)=136,156,1
(그림5-16) 스포티한 이미지의 퀼팅 점프슈트 (Miu Miu 02/03 A/W)=136,156,1
(그림5-17) 스포티한 파이핑 장식의 셔츠 (Tommy Hilfiger 00 S/S)=136,156,1
(그림5-18) 와이어로 크기와 곡선을 과장한 러플의 아방가르드한 표현 (Junya Watanabe Comme des Gsrcons 00/01 A/W)(이미지참조)=137,157,1
(그림5-19) 패치워크, 테이프, 비즈의 과잉장식과 과장된 실루엣의 아방가르드 이미지 (Dior Haute Couture 01/02 A/W)=137,157,1
(그림5-20) 곰인형을 부착한 유희적 표현의 스커트 (D&G 03 S/S)=137,157,1
(그림5-21) 로맨틱한 러플 드레스와 메이크업의 미스매치에 의한 아방가르드 표현(Alexandre McQueen 03 S/S)=137,157,1
(그림6-1) Opulence의 컨셉 맵=140,160,1
(그림6-2) Opulence I의 작업지시서(블라우스)=144,164,1
(그림6-3) Opulence I의 작업지시서(스커트)=145,165,1
(그림6-4) Opulence II의 작업지시서 (원피스)=146,166,1
(그림6-5) Opulence I의 실물 사진 (앞)=147,167,1
(그림6-6) Opulence I의 실물 사진 (뒤)=148,168,1
(그림6-7) Opulence I의 실물 사진 (블라우스의 장식 디테일 _ 루시장식)=149,169,1
(그림6-8) Opulence I의 실물 사진 (스커트의 장식 디테일 _ 쉬폰 스커트의 인터록 처리와 겹의 표현)=149,169,1
(그림6-9) Opulence II의 실물 사진(앞)=150,170,1
(그림6-10) Opulence II의 실물 사진(뒤)=151,171,1
(그림6-11) Opulence II의 실물 사진 (장식 디테일 _ 앞가슴의 레이스, 비즈, 꽃잎 트리밍)=152,172,1
(그림6-12) Opulence II의 실물 사진 (장식 디테일 _ 뒷중심의 아플 리케와 꽃잎 트리밍)=152,172,1
(그림6-13) Handcraft-Deco (Funky Bohemian)의 컨셉 맵=153,173,1
(그림6-14) Funky Bohemian의 작업지시서 (탑)=156,176,1
(그림6-15) Funky Bohemian의 작업지시서 (스커트)=157,177,1
(그림6-16) Funky Bohemian의 실물 사진 (앞)=158,178,1
(그림6-17) Funky Bohemian의 실물 사진 (뒤)=159,179,1
(그림6-18) Funky Bohemian의 실물 사진 (장식 디테일 _ 탑의 부분:스톤에 의한 꽃의 표현과 턱)=160,180,1
(그림6-19) Funky Bohemian의 실물 사진 (장식 디테일 _ 스커트의 부분:크로스 스티치 턱과 스톤, 레의스 장식)=160,180,1
(그림6-20) Rhythmical Line의 컨셉 맵=161,181,1
(그림6-21) Rhythmical Line I의 작업지시서 (재킷)=164,184,1
(그림6-22) Rhythmical Line I의 작업지시서 (스커트)=165,185,1
(그림6-23) Rhythmical Line II의 작업지시서 (블라우스)=166,186,1
(그림6-24) Rhythmical Line II의 작업지시서(스커트)=167,187,1
(그림6-25) Rhythmical Line I의 실물사진 (앞)=168,188,1
(그림6-26) Rhythmical Line I의 실물사진 (뒤)=169,189,1
(그림6-27) Rhythmical Line I의 실물사진(스커트 부분의 장식 디테일 _ 패치워크:시접의 ��면처리)=170,190,1
(그림6-28) Rhythmical Line II의 실물사진 (앞)=171,191,1
(그림6-29) Rhythmical Line II의 실물사진 (장식 디테일:옆선의 플리츠와 비즈, 끈 장식)=172,192,1
jpg
(그림2-1) 여러 재료의 대비효과(바우하우스, 1920년)=24,44,1
(그림2-2) 나무판에 새긴 질감표현(바우하우스, H.Busse작, 1922년)=24,44,1
(그림2-3) 노트(knot)사=24,44,1
(그림2-4) 깃털(feather)사=24,44,1
(그림2-5) 루프(loop)사=24,44,1
(그림2-6) 루프사를 이용한 부클레=25,45,1
(그림2-7) 팬시얀(cloudy yarn)=25,45,1
(그림2-8) 크레이프(crepe)=25,45,1
(그림2-9) 자카드 니트(jacquard knit)=25,45,1
(그림2-10) 와플 클로스(waffle cloth)=25,45,1
(그림2-11) 마트라세(matelasse)=25,45,1
(그림2-12) 코듀로이(corduroy)=26,46,1
(그림2-13) 시어서커(seersucker)=26,46,1
(그림2-14) 엠보싱=26,46,1
(그림2-15) 엠보싱 투피스 (Julien Macdonald 00/01 A/W)=26,46,1
(그림2-16) 열고정에 의한 삼차원의 몰딩=27,47,1
(그림2-17) 열고정에 의한 플리츠=27,47,1
(그림2-18) 기모처리된 모헤어=27,47,1
(그림2-19) 플리세(plisse´)=27,47,1
(그림2-20) 오팔가공=28,48,1
(그림2-21) 오팔가공의 원피스 (Balmain 00/01 A/W)=28,48,1
(그림2-22) 플로킹=28,48,1
(그림2-23) 플로킹 원피스 (Valentino 97 S/S Haute Couture Collections)=28,48,1
(그림3-1) 면솜으로 퀼팅한 실크 드레스(1875)=70,90,1
(그림3-2) 퀼팅의 예술적 표현물고기 모티프의 머신 퀼팅=70,90,1
(그림3-3) 머신 퀼팅=70,90,1
(그림3-4) 핸드 퀼팅 (영국, 1740)=70,90,1
(그림3-5) 실의 배색처리에 의한 장식적 퀼팅=71,91,1
(그림3-6) 스티치 밀도에 따른 표현효과=71,91,1
(그림3-7) 진주 비즈와 함께 표현된 여성적인 느낌의 퀼팅(Balmain)=71,91,1
(그림3-8) 슬림한 퀼팅 이브닝 앙상블 (Matilda Etches, 1947)=71,91,1
(그림3-9) 퀼팅처리된 사틴 이브닝 재킷 (lanvin)=71,91,1
(그림3-10) 스터프 퀼팅을 하는 모습 (뒷면)=72,92,1
(그림3-11) 작고 독립적인 스터프 퀼팅의 모티프=72,92,1
(그림3-12) 와드 퀼팅과 함께 표현된 스터프 퀼팅=72,92,1
(그림3-13) 부분형 퀼팅. 그림 3-14의 부분=73,93,1
(그림3-14) skeleton 드레스 (Schiaparelli, 1938)=73,93,1
(그림3-15) 코디드 퀼팅의 앞모습=73,93,1
(그림3-16) 코디드 퀼팅의 뒷모습=73,93,1
(그림3-17) 나뭇잎모양의 코디드 퀼팅=74,94,1
(그림3-18) 메달모양의 코디드 퀼팅=74,94,1
(그림3-19) 코디드 퀼팅의 쿠션=74,94,1
(그림3-20) 코디드 퀼팅 소매(Schiaparelli,1939)=74,94,1
(그림3-21) 셔링=75,95,1
(그림3-22) 셔링 블라우스 (Bally 01/02 A/W)=75,95,1
(그림3-23) 탄성사를 이용한 셔링=75,95,1
(그림3-24) 탄성사 셔링의 스커트 (Dominique Sirop 03 S/S)=75,95,1
(그림3-25) 스트링을 이용한 셔링=76,96,1
(그림3-26) 스트링형의 셔링 (Dolce & Gabbana 03 S/S)=76,96,1
(그림3-27) 스트립형 루시=76,96,1
(그림3-28) 스트립형 루시 장식의 탑 (00 S/S Anna Molinali)=76,96,1
(그림3-29) 스커트의 루시 장식 드레스(1790)=77,97,1
(그림3-30) 루시=77,97,1
(그림3-31) 전면형 루시의 실크 벨벳 드레스 Lucien Lelong(1946)=77,97,1
(그림3-32) 전면형 루시의 소매 (1880년대)=77,97,1
(그림3-33) 직선형 러플=78,98,1
(그림3-34) 직선형 러플의 블라우스 (Chiyuki 00/01 A/W)=78,98,1
(그림3-35) 프릴=78,98,1
(그림3-36) 프릴장식 원피스 (Moschino 04 S/S)=78,98,1
(그림3-37) 플라운스 장식=79,99,1
(그림3-38) 플라운스 장식의 블라우스(Ferragamo 93/94 A/W)=79,99,1
(그림3-39) 아코디언 플리츠의 드레스 (Pierre Balmain)=79,99,1
(그림3-40) Mariano Fortuny의 Delphos 드레스(1924)=79,99,1
(그림3-41) Issey Miyake의 조형적 플리츠=79,99,1
(그림3-42) 비딩으로 장식한 크로스 스티치 턱=80,100,1
(그림3-43) 크로스 스티치 턱 (Ruffo Research, 02 S/S)=80,100,1
(그림3-44) 스트라이프 패턴을 응용한 크로스 스티치 턱의 배색효과=80,100,1
(그림3-45) Vionnet의 핀턱 원피스=80,100,1
(그림3-46) 아동복의 스모킹=81,101,1
(그림3-47) 스트라이프 패턴을 이용한 스모킹=81,101,1
(그림3-48) 스모킹 플리터=81,101,1
(그림3-49) 격자형(lattice) 북미식 스모킹=81,101,1
(그림3-50) 마름모형(lozenge) 북미식 스모킹=82,102,1
(그림3-51) 마름모형 북미식 스모킹의 스커트 (Koji Tatsuno 00 S/S)=82,102,1
(그림3-52) 꽃모양의 북미식 스모킹=82,102,1
(그림3-53) 꽃모양 북미식 스모킹 (Issey Miyake, 01/02 A/W)=82,102,1
(그림3-54) 윤곽형 이탈리안 스모킹=83,103,1
(그림3-55) 셔링형 이탈리안 스모킹=83,103,1
(그림3-56) 서피스 허니콤 스모킹으로 표현된 물고기=83,103,1
(그림3-57) 스모킹의 예술적 표현=83,103,1
(그림3-58) 버섯모양으로 표현된 스모킹=84,104,1
(그림3-59) 퀼팅, 비딩, 자수와 함께 입체적으로 표현된 리버스 스모킹=84,104,1
(그림3-60) 아플리케와 함께 표현된 꽃모양의 북미식 스모킹=84,104,1
(그림3-61) 비오네의 북미식 스모킹 드레스=84,104,1
(그림3-62) 자수사에 따른 질감의 차이 1=85,105,1
(그림3-63) 자수사에 따른 질감의 차이 2=85,105,1
(그림3-64) 겹장미의 화려한리본 자수, 그림 3-65의 부분=85,105,1
(그림3-65) 리본 자수의 코트 (Christian Lacroix,1990)=85,105,1
(그림3-66) 프렌치 놉 스티치=86,106,1
(그림3-67) 레이즈드 엠브로더리(Schiaparelli)=86,106,1
(그림3-68) 카우칭=86,106,1
(그림3-69)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카우칭=86,106,1
(그림3-70) 직물조각, 금속 링, 망과 함께 표현된 자수=87,107,1
(그림3-71) 비딩, 금속 링, 그물망의 활용=87,107,1
(그림3-72) 카우칭, 절개, 아플리케의 혼합=87,107,1
(그림3-73) 카우칭, 아플리케, 단추의 부착=87,107,1
(그림3-74) 인체의 곡면을 이용한 절개 (Owen Castor 95/96 A/W)=88,108,1
(그림3-75) 절개 조각을 걷어 올린 입체 표현=88,108,1
(그림3-76) 절개면의 입체 처리와 배색 (Eri Matsui & E.M.C2 00/01 A/W)=88,108,1
(그림3-77) 절개면의 입체 표현=88,108,1
(그림3-78) 말려 올라간 직물 조각의 입체적 표현=89,109,1
(그림3-79) 절개와 올풀기 장식=89,109,1
(그림3-80) 절개구 위로 빼낸 안감=89,109,1
(그림3-81) 육각형 모티프를 연결한 피스형 패치워크=90,110,1
(그림3-82) 폴디드 스타 패치워크의 쿠션=90,110,1
(그림3-83) 프린트 직물, 아미시 퀼트 블록, 인조 모피가 패치워크 된 롱 코트=90,110,1
(그림3-84) 직물과 모피의 패치워크 (Rafael Lopez 02/03 A/W)=90,110,1
(그림3-85) 그림 3-86의 일부분=91,111,1
(그림3-86) 패치워크와 핀턱의 리버시블 재킷=91,111,1
(그림3-87) '코데미아 델라트' 컬렉션의 패치워크 코트(Schiaparelli)=91,111,1
(그림3-88) 패드 아플리케=92,112,1
(그림3-89) 패드 아플리케2=92,112,1
(그림3-90) 입체형 아플리케=92,112,1
(그림3-91) 입체형 아플리케 원피스(Ungaro)=92,112,1
(그림3-92) 유리 비즈=93,113,1
(그림3-93) 나무 비즈=93,113,1
(그림3-94) 엠브로더리 스톤=93,113,1
(그림3-95) 다양한 모양의 비즈=93,113,1
(그림3-96) 다양한 재질의 비즈장식, 그림 3-97의 부분=94,114,1
(그림3-97) 비즈 드레스 입생로랑 (1967 S/S)=94,114,1
(그림3-98) 글래스 스톤, 금색 비즈, 진주장식Norman Hartnell=94,114,1
(그림3-99) 시퀸 장식의 드레스=94,114,1
(그림3-100) 시퀸과 비즈 장식, 그림 3-101의 부분=95,115,1
(그림3-101) 시퀸, 비즈장식의 드레스 Geoffrey Beene, 1991=95,115,1
(그림3-102) 각종 테이프=95,115,1
(그림3-103) 주름 처리된 테이프 장식의 투피스 (Hanae Mori 03 S/S)=95,115,1
(그림3-104) 파이핑=96,116,1
(그림3-105) 독특한 디자인의 단추(Schiaparelli)=96,116,1
(그림3-106) 깃털의 부분 장식 (Marc Bohan for Dior, 1967)=96,116,1
(그림3-107) 깃털의 전체 장식 (Givenchy, 1968)=96,116,1
(그림3-108) 스터드 장식 (Katherine Hamnett, 1990)=96,116,1
(그림4-1) 퀼팅을 부분 장식한 점프 슈트 (Alexandre McQueen 03/04 A/W)=112,132,1
(그림4-2) 러플의 끝을 배색 처리한 부분장식 (Emporio Armani 02 S/S)=112,132,1
(그림4-3) 올 푼 러플의 부분장식 블라우스 (Junya Watanabe Comme des Garcons 02 S/S)(이미지참조)=112,132,1
(그림4-4) 턱장식 코르셋의 블라우스 (Gianfranco Feere´94/95 A/W=112,132,1
(그림4-5) 칼라 부분의 스모킹 장식 케이프 (Pollini 04 A/W)=113,133,1
(그림4-6) 가슴부위의 절개장식 (Nicolas le Cauchoix 03 S/S)=113,133,1
(그림4-7) 절개면의 올을 푼 스커트(Junya Watanabe Comme des Garcons 02 S/S)(이미지참조)=113,133,1
(그림4-8) 자수의 부분장식 스커트(Dice Kayek 00/01 A/W)=113,133,1
(그림4-9) 소매의 퍼 장식 (Valentino 03/04 A/W)=114,134,1
(그림4-10) 시퀸의 부분장식 블라우스(Alexandre Mattheu 01/02 A/W)=114,134,1
(그림4-11) 배색 파이핑의 재킷 (Takashi Kataoka 00/01 A/W)=114,134,1
(그림4-12) 시접분을 겉으로 장식한 재킷 (Hanae Mori 03/04 A/W)=114,134,1
(그림4-13) 올푼 시접을 연결한 원피스 (Anne-Vale´rie Hash 03 S/S)=114,134,1
(그림4-14) 제감을 이용한 장식 테이프 부착 (Balmain 00/01 A/W)=115,135,1
(그림4-15) 프릴과 장식테이프의 원피스 (Narciso Rodriguez 04 A/W)=115,135,1
(그림4-16) 표면감촉형의 비딩 원피스 (Alberta Ferretti 00/01 A/W)=115,135,1
(그림4-17) 코트에 사용된 엠브로더리 스톤의 입체 효과 (Romeo Gigli 00/01 A/W)=115,135,1
(그림4-18) 세밀한 요철형의 셔링장식(허리부분) 블라우스 (John Bartlett 00/01 A/W)=116,136,1
(그림4-19) 세밀한 크로스턱의 원피스 (Marc Jacobs 03 S/S)=116,136,1
(그림4-20) 세밀한 요철형의 코디드 퀼팅 (Balenciaga 01/02 A/W)=116,136,1
(그림4-21) 리드미컬한 아코디언 플리츠 장식의 원피스 (Gre`s by Koji Tatsuno 04 S/S)=116,136,1
(그림4-22) 리드미컬한 파상형의 플라운스 장식 (Michel Harcourt 01 S/S)=116,136,1
(그림4-23) 탄력있는 입체형의 루시장식 (Keiko Suzuki 01/02 A/W)=116,136,1
(그림4-24) 크로스 스티치 턱의 입체표현 (A.F.Vandevorsr 02/03 A/W)=117,137,1
(그림4-25) 엮기와 휘감기의 조각적 표현 (Yoshiki Hishinuma 02 S/S)=117,137,1
(그림4-26) 조형작업을 통한 입체표면 (Masaki Matsushima 00 S/S)=117,137,1
(그림4-27) 조각연결의 구조적 표현 (Ji Haye 03 S/S)=117,137,1
(그림4-28) 가죽소재의 코르사주형 장식 (Martin Sitbon 00/01 A/W)=117,137,1
(그림4-29) 사틴소재의 코르사주형 장식 (Rochas 04 S/S)=117,137,1
(그림4-30) 볼륨형의 퀼팅 점퍼 (Bottega Veneta 01/02 A/W)=118,138,1
(그림4-31) 코르사주의 볼륨형 장식 (Alexandre McQueen 00 A/W)=118,138,1
(그림4-32) 스모킹과 주름 장식 (Haider Ackermann 02/03 A/W)=118,138,1
(그림4-33) 턱과 스모킹 장식의 코트 (Beige Shop 02/03 A/W)=118,138,1
(그림4-34) 단추와 프릴장식 원피스 (Jean Paul Gaultier 03 S/S)=119,139,1
(그림4-35) 퀼팅과 아플리케장식의 재킷 (Louis Vuitton 02 S/S)=119,139,1
(그림4-36) 절개를 지퍼로 장식한 원피스 (John Galliano 00 S/S)=119,139,1
(그림4-37) 절개구 사이를 테이프 장식한 바지 (Seredin & Vasiliev 01/02 A/W)=119,139,1
(그림4-38) 턱과 깃털장식의 원피스 (Alexandre McQueen 01 S/S)=119,139,1
(그림4-39) 카무플라주 패턴으로 표현된 러플의 겹 장식 드레스 (Jean Paul Gaultier 00 S/S Haute Conture Collections)=120,140,1
(그림4-40) 깃털의 겹 장식 스커트 (Keita 00 S/S)=120,140,1
(그림4-41) 가죽테이프의 꼬임 효과 (Lagerfeld Gallery 01/02 A/W)=120,140,1
(그림4-42) 조각천의 드레이핑과 부착을 통한 조형적 표현 (Calvin Klein 04 S/S)=120,140,1
(그림4-43) 테이프를 부분적으로 꺽은 조형적 표현 (Guerriero 04 S/S)=120,140,1
(그림4-44) 플리츠 안쪽을 패턴물로 장식한 원피스 (D&G 04 S/S)=121,141,1
(그림4-45) 길게 늘어뜨린 비즈장식 (A Scott Henshall 01 S/S)=121,141,1
(그림4-46) 절개의 조형적 표현 (Daniel Herman 01/02 A/W)=121,141,1
(그림4-47) 광택에 의한 셔링의 음영효과 (YSL Rive Gauche 01/02 A/W)=121,141,1
(그림4-48) 가죽 턱 (I. E. Uniform 02/03 A/W)=122,142,1
(그림4-49) 가죽 셔링 (Alexander McQueen 02/03 A/W)=122,142,1
(그림4-50) 쉬폰 턱 (Alberta Ferretti 03 S/S)=122,142,1
(그림4-51) 체크무늬를 활용한 셔링 장식의 블라우스 (Victorio & Lucchino 01/02 A/W)=122,142,1
(그림4-52) 꽃무늬를 활용한 입체 표현 (Yoshiki Hishinuma 00/01 A/W)=122,142,1
(그림4-53) 트위드소재와 비즈장식의 믹스 & 매치 (Lanvin 02/03 A/W)=123,143,1
(그림4-54) 카무플라주 패턴과 러플의 믹스 & 매치 (Moschino Cheap&Chic 00/01 A/W)=123,143,1
(그림5-1) 풍성하게 표현된 플리츠 장식의 'opulence' 이미지 (Chanel 04 S/S)=134,154,1
(그림5-2) 풍성한 깃털 장식의 'opulence' 이미지 (YSL Rive Gauche 00/01 A/W)=134,154,1
(그림5-3) 레이스와 플리츠 장식의 'opulence' 이미지 (Rochas 04 S/S)=134,154,1
(그림5-4) 비즈 탑과 시폰 스커트의 'whispering' 이미지 (Genny 95 S/S)=134,154,1
(그림5-5) 하늘거리는 깃털장식의 'whispering' 이미지 (Rifat Ozbek 97 S/S)=134,154,1
(그림5-6) 플라운스장식과 달콤한 컬러배색의 'whispering' 이미지 (Victorio&Lucchino 00 S/S)=134,154,1
(그림5-7) 빈티지풍 자수원피스의 'handcraft deco' (Moschino Cheap & Chic 00/01 A/W)=135,155,1
(그림5-8) 빈티지풍의 손뜨개장식과 패치워크의 'handcraft deco' (Anna Sui 01 A/W)=135,155,1
(그림5-9) 에스닉한 자수장식의 'handcraft deco' (Louis Vuittoon 02 S/S)=135,155,1
(그림5-10) 에스닉 이미지의 화려한 시퀸장식 (Hussein Chalayan 02/03 A/W)=135,155,1
(그림5-11) 풀린올장식과 퇴색한 컬러감의 'antique touch' (Atsuro Tayama 00 S/S)=135,155,1
(그림5-12) 낡은듯한 소재감의 앤티크한 패치워크 (Hussein Chalayan 03/04 A/W)=135,155,1
(그림5-13) 모던한 턱 장식의 투피스 (Anne klein 02/03 A/W)=136,156,1
(그림5-14) 모던한 플리츠의 블라우스 (Jil Sander 02/03 A/W)=136,156,1
(그림5-15) 모던하고 세련된 이미지의 퀼팅 코트 (Gucci 00/01 A/W)=136,156,1
(그림5-16) 스포티한 이미지의 퀼팅 점프슈트 (Miu Miu 02/03 A/W)=136,156,1
(그림5-17) 스포티한 파이핑 장식의 셔츠 (Tommy Hilfiger 00 S/S)=136,156,1
(그림5-18) 와이어로 크기와 곡선을 과장한 러플의 아방가르드한 표현 (Junya Watanabe Comme des Gsrcons 00/01 A/W)(이미지참조)=137,157,1
(그림5-19) 패치워크, 테이프, 비즈의 과잉장식과 과장된 실루엣의 아방가르드 이미지 (Dior Haute Couture 01/02 A/W)=137,157,1
(그림5-20) 곰인형을 부착한 유희적 표현의 스커트 (D&G 03 S/S)=137,157,1
(그림5-21) 로맨틱한 러플 드레스와 메이크업의 미스매치에 의한 아방가르드 표현(Alexandre McQueen 03 S/S)=137,157,1
(그림6-1) Opulence의 컨셉 맵=140,160,1
(그림6-2) Opulence I의 작업지시서(블라우스)=144,164,1
(그림6-3) Opulence I의 작업지시서(스커트)=145,165,1
(그림6-4) Opulence II의 작업지시서 (원피스)=146,166,1
(그림6-5) Opulence I의 실물 사진 (앞)=147,167,1
(그림6-6) Opulence I의 실물 사진 (뒤)=148,168,1
(그림6-7) Opulence I의 실물 사진 (블라우스의 장식 디테일 _ 루시장식)=149,169,1
(그림6-8) Opulence I의 실물 사진 (스커트의 장식 디테일 _ 쉬폰 스커트의 인터록 처리와 겹의 표현)=149,169,1
(그림6-9) Opulence II의 실물 사진(앞)=150,170,1
(그림6-10) Opulence II의 실물 사진(뒤)=151,171,1
(그림6-11) Opulence II의 실물 사진 (장식 디테일 _ 앞가슴의 레이스, 비즈, 꽃잎 트리밍)=152,172,1
(그림6-12) Opulence II의 실물 사진 (장식 디테일 _ 뒷중심의 아플 리케와 꽃잎 트리밍)=152,172,1
(그림6-13) Handcraft-Deco (Funky Bohemian)의 컨셉 맵=153,173,1
(그림6-14) Funky Bohemian의 작업지시서 (탑)=156,176,1
(그림6-15) Funky Bohemian의 작업지시서 (스커트)=157,177,1
(그림6-16) Funky Bohemian의 실물 사진 (앞)=158,178,1
(그림6-17) Funky Bohemian의 실물 사진 (뒤)=159,179,1
(그림6-18) Funky Bohemian의 실물 사진 (장식 디테일 _ 탑의 부분:스톤에 의한 꽃의 표현과 턱)=160,180,1
(그림6-19) Funky Bohemian의 실물 사진 (장식 디테일 _ 스커트의 부분:크로스 스티치 턱과 스톤, 레의스 장식)=160,180,1
(그림6-20) Rhythmical Line의 컨셉 맵=161,181,1
(그림6-21) Rhythmical Line I의 작업지시서 (재킷)=164,184,1
(그림6-22) Rhythmical Line I의 작업지시서 (스커트)=165,185,1
(그림6-23) Rhythmical Line II의 작업지시서 (블라우스)=166,186,1
(그림6-24) Rhythmical Line II의 작업지시서(스커트)=167,187,1
(그림6-25) Rhythmical Line I의 실물사진 (앞)=168,188,1
(그림6-26) Rhythmical Line I의 실물사진 (뒤)=169,189,1
(그림6-27) Rhythmical Line I의 실물사진(스커트 부분의 장식 디테일 _ 패치워크:시접의 ��면처리)=170,190,1
(그림6-28) Rhythmical Line II의 실물사진 (앞)=171,191,1
(그림6-29) Rhythmical Line II의 실물사진 (장식 디테일:옆선의 플리츠와 비즈, 끈 장식)=172,192,1
(표3-4) 다양한 스모킹 스티치=53,73,1
(표6-1) 작품 기획표=139,159,1
(표7-2) 작품 제작 결과표=176,196,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