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국문목차

표제지=0,1,4

요약=i,5,3

목차=iv,8,4

표목차=viii,12,1

제1장 서론=1,13,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1,13,2

제2절 기존연구 경향=2,14,3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4,16,2

제2장 이미지 이론과 1980년대 이전 한미관계 인식=6,18,1

제1절 이미지에 관한 이론적 고찰=6,18,1

1. 이미지(Image)의 개념=6,18,3

2. 이미지 형성과 구조=9,21,2

3. 국가이미지=10,22,3

4. 종합검토=12,24,2

제2절 1980년대 이전 한미관계의 인식=13,25,1

1. 미국의 국가 이미지=13,25,3

2. 1980년대 이전 여론 동향=15,27,2

3. 미국에 대한 이미지 형성 경로=16,28,3

제3장 1980년대 한미관계 인식변화=19,31,1

제1절 한국의 상황=19,31,1

1. 새로운 권위주의 정권 탄생=19,31,2

2. 남북한 관계 긴장고조=20,32,1

3. 경제호황=21,33,1

제2절 미국의 국가이미지 변화요인=22,34,1

1. 레이건 행정부의 대한국 안보정책=22,34,5

2. 레이건 행정부의 대한국 통상압력=26,38,8

3. 미국의 이미지를 악화시킨 사건들=33,45,2

제3절 한미관계 인식변화:반미감정의 대두와 확산=34,46,1

1. 반미감정의 대두=34,46,3

2. 반미감정의 확산=37,49,1

3. 여론조사에 나타난 반미현황=37,49,3

제4장 1990년대 한미관계 인식변화=40,52,1

제1절 한국의 상황=40,52,1

1. 정치적 민주화와 시민사회의 성장=40,52,3

2. 경제 상황 악화=42,54,1

제2절 미국의 국가이미지 개선요인=43,55,1

1. 클린턴 행정부의 유연한 대외정책=43,55,2

2. 대북 온건정책=45,57,5

3. 대외 통상정책=49,61,3

제3절 한미관계 인식변화:반미감정 완화=51,63,1

제5장 2000년대의 한미관계 인식=52,64,1

제1절 한국의 상황=52,64,1

1. 국민의 정부 대북포용 정책=52,64,5

2. 시민단체의 주한미군관련 문제의 이슈화=56,68,2

제2절 미국의 국가이미지 변화요인=58,70,1

1. 9.11테러 이후 부시행정부의 패권전략=58,70,4

2. 대북 강경정책=61,73,5

3. 여중생 사망사건 발생=65,77,3

4. 대 이라크 전쟁=67,79,4

5. 이라크 전투병 파병요구=70,82,2

제3절 한미관계 인식변화:반미감정 확산=71,83,3

제6장 결론 및 제언=74,86,9

부록:한미관계 관련 여론 조사 결과 요약=83,95,5

참고문헌=88,100,3

표목차

(표2-1) 미국의 잉여농산물 원조실적=17,29,1

(표3-1) 한미간 수출입관계=21,33,1

(표3-2) 미국의 국방비 지출(1985-1989)=29,41,1

(표3-3) 미국의 무역수지 및 재정적자 추이=30,42,1

(표3-4) 미국의 한국상품에 대한 규제(1989-1990)=33,45,1

(표3-5) 한국인의 대미 인식 변화의 추이=38,50,1

(표4-1) 클린턴 행정부의 군비 감축=44,56,1

(표5-1) 남북교류 현황=56,68,1

(표5-2) SOFA관련 보도횟수=57,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