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서론 10

1) 연구의 목적 10

2) 선행 연구의 검토와 과제 14

3) 연구의 구성과 범위 23

4) 자료 활용과 성격 25

제1장 광주민중항쟁의 배경 30

제1절 유신독재의 하나회 육성과 지역주의 30

1) 유신체제와 하나회 정치군인의 등장 30

2) 박정희의 지역주의와 김대중 탄압 50

제2절 신군부 등장과 다단계 쿠데타 64

1) 10ㆍ26 과 신군부 64

2) 12ㆍ12 반란 ; 구직업주의와 신직업주의의 충돌 72

3) 다단계 쿠데타의 진행 76

4) '80 년의 봄' 과 서울 및 광주 학생시위의 성격 83

제2장 광주시민의 민중화와 항쟁 94

제1절 공수부대의 살육작전과 광주시민의 민중화 94

1) 군부대의 사전조치와 18일 시위의 성격 94

2) 공수부대의 투입과 광주살육작전 104

3) 광주시민의 항거의식과 민중화 121

제2절 택시기사 궐기와 무장항쟁 152

1) 택시기사 궐기와 민중항쟁으로의 전환 152

2) 시민공동체의 함성 161

3) 발포명령과 민중의 무장항쟁 179

4) 공수부대의 철수와 그 성격 195

제3장 '시민공동체'의 자치와 수습책 204

제1절 시민 자치와 평화적 타결책 모색 204

1) 시민의 공동체의식과 시민ㆍ학생수습위원회 204

2) 복면부대와 광주교도소 습격사건의 진실 226

3) 주남마을 총격사건 및 원제마을의 참극 239

제2절 학생수습위원회의 강경노선과 최후 결전 248

1) 언론의 침묵과 유인물ㆍ유언비어 248

2) 대통령 담화문과 수습위원회의 호소문 262

3) 범시민대회와 학생시민투쟁위원회 270

4) 상무충정작전과 시민군의 최후저항 288

제4장 '5ㆍ18' 진상규명과 민주화운동 305

제1절 '광주'의 절규와 국가폭력의 난무 305

1)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의 진상 305

2) 계엄군의 제압과 '광주' 의 절규 312

3) 국보위 설치와 제 5 공화국 출범 324

제2절 민주화운동과 5ㆍ18의 '청산' 331

1) 천주교 사제들의 진상규명운동과 민주화 투쟁 331

2) 반미운동의 원인과 전개과정 344

3) 민중운동과 6 월항쟁 362

4) 민족화합수습위원회와 광주청문회 372

5) 5ㆍ18 특별법 제정과 성공한 쿠데타의 단죄 393

결론 400

참고문헌 420

영문요약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