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감사의 글

목차

국문 요약 10

제1장 서론 13

1.1. 연구목적 13

1.2.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16

제2장 이론적 배경 18

2.1. 스포츠캐스터 탄생과정과 개념 18

2.2. 스포츠캐스터의 역할과 기능 정의 21

2.2.1. 아나운서와 스포츠캐스터의 개념 21

2.2.2. 스포츠캐스터의 역할 23

2.3. 한국 방송 역사에서 스포츠캐스터의 발전과정 26

2.4. 방송인의 전문화 28

2.4.1. 전문화의 개념 28

2.4.2. 전문직의 중요성 31

2.4.3. 방송직의 전문화 32

2.4.3.1. 방송직종의 특성 32

2.4.3.2. 전문 직업인으로서 방송인 33

2.4.4. 방송직종의 전문화 34

2.5. 스포츠캐스터의 전문화 35

2.5.1. 기자 전문성의 스포츠캐스터로의 적용 35

2.5.2. 기자의 기사전문성의 스포츠캐스터 중계내용의 적용 42

제3장 스포츠 캐스터 현황 46

3.1. 공중파 스포츠캐스터의 현황 46

3.1.1. 공중파 3사의 스포츠캐스터 현황 46

3.1.2. 공중파 스포츠캐스터의 한계 51

3.2. 스포츠 전문채널의 현황 52

3.2.1. 스포츠 전문채널의 스포츠캐스터 현황 52

3.2.2. 스포츠 전문채널의 한계 55

3.3. 기타 스포츠캐스터들의 현황 및 한계 55

제4장 연구방법 및 설계 57

4.1. 연구방법 57

4.2. 연구절차 59

4.2.1. 예비 서베이 설문지 구성 59

4.2.2. 심층면접의 대상 선정과 내용 61

4.3. 예비 서베이의 내용 64

4.3.1. 현역 스포츠캐스터의 교육과정 64

4.3.2. 스포츠캐스터의 현 위상에 대한 인식 65

4.3.3. 스포츠캐스터의 전문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 66

4.3.4. 현재 스포츠캐스터의 문제점과 육성방안 제시 69

4.4. 심층 면접 내용 70

4.4.1. 현역 스포츠캐스터의 교육 및 선발과정 70

4.4.2. 스포츠캐스터의 현 위상 74

4.4.3. 스포츠캐스터의 전문성 76

4.4.4. 현재 스포츠캐스터의 문제점과 육성방안 82

제5장 결론 86

5.1. 연구결과 결론 86

5.2. 연구결과의 요약 89

5.2.1. 현재 스포츠캐스터의 위상과 문제점 89

5.2.2. 스포츠캐스터의 전문화를 위한 방안 90

5.3. 정책적 제안 92

5.4.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95

참고문헌 97

부록 100

ABSTRACT 103

(표 1) 기자전문성 구성요소의 스포츠캐스터의 적용 38

(표 2) 기사 전문성과 스포츠캐스터 중계내용의 관련성 44

(표 3) 아나운서 직종과 강조되는 특성 48

(표 4) 공중파 아나운서 중 스포츠캐스터의 분류 49

(표 5) 공중파 스포츠캐스터들의 연차에 따른 분류 50

(표 6) 스포츠 전문채널 아나운서 중 스포츠캐스터의 분류 53

(표 7) 스포츠 전문채널 스포츠캐스터의 연차에 따른 분류 54

(표 8) 면접의 방법 58

(표 9) 예비 설문의 내용 구성 60

(표 10) 심층면접 대상자 선정 61

(표 11) 심층 면접 대상자 명단 62

(표 12) 심층면접 내용 63

(표 13) 교육과정에 관한 설문 결과 64

(표 14) 스포츠캐스터 현 위상에 대한 인식 66

(표 15) 스포츠캐스터 전문화에 대한 인식 68

(표 16) 스포츠캐스터의 문제점과 육성방안 69

(표 17) 선발 및 교육과정의 문제점 73

(표 18) 모 스포츠 전문채널의 경력별 분포 79

(표 19) 채널간 스포츠캐스터의 전문화에 관한 비교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