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국문목차

표제지=0,1,4

국문초록=v,5,6

목차=xi,11,3

제I장 서론=1,14,12

제II장 김정희가 비판한 조선 후기 예술론의 제 현상:학문과 예술의 거리 확대=13,26,1

1 임진왜란 이후 예술의 자율성 자각과 서화감상 열풍의 대두=13,26,13

2 농연 일문(農淵一門)의 사상과 예술론:학문에 기반한 예술의 자율성 확립=25,38,2

2-1 성(性)에 대한 정(情)의 자율성 확대:성정경위설(性情經緯說)=26,39,1

(가) 김창협 이전의 성정론(性情論)=26,39,4

(나) 김창협의 사단칠정론=29,42,7

2-2 학문에 대한 예술의 자율성 확보:천기론(天機論)=35,48,12

2-3 농연 일문(農淵一門)의 예술론:개성과 정의 강화=46,59,1

(가) 문예론=46,59,6

(나) 화론=51,64,9

3 영정조대 예술론:학문과 괴리된 예술론=59,72,2

3-1 학문과 분리된 문학과 개인의 자율성=60,73,11

3-2 문인화론의 제 양상=70,83,16

3-3 첩학(帖學)과 비학(碑學)의 전개와 절충=85,98,10

제III장 김정희의 예술론:학문에 기반한 예술론의 체계 정비=95,108,3

1 김정희의 한송절충론:예술론에 전제된 도=98,111,2

1-1 조선의 한송절충론과 김정희의 한송절충론=100,113,11

1-2 김정희와 양주(揚州) 학파=110,123,12

1-3 김정희와 상주(常州) 학파=121,134,12

2 문예론:도와 문예의 상호필수적 관계=132,145,2

2-1 고문론:문도상수론(文道相須論)과 청대 제 문론의 수용 양상=133,146,12

2-2 시론:명청대 시론의 절충=144,157,2

(가) 시의 언표가능한 영역[실, 이]과 언표불가능한 영역[허, 신운]의 조화=145,158,10

(나) 개성 혹은 예술 고유의 재능[성령]과 후천적 정련[격조]=154,167,13

3 화론:동기창(董其昌)의 남종문인화론의 수용 양상=166,179,26

4 서예론:비학(碑學)과 첩학(帖學)의 절충=191,204,24

제IV장 19세기 예단과 김정희의 예술론=215,228,1

1 학문에 규제되는 예술론:홍석주와 홍길주=216,229,1

1-1 홍석주=216,229,9

1-2 홍길주=224,237,10

2 학문에 기반한 예술론:신위, 조면호, 신관호, 허련=233,246,1

2-1 신위=233,246,3

(가) 시론=235,248,7

(나) 화론=241,254,4

(다) 서예론=244,257,4

2-2 조면호, 신관호, 허련=247,260,6

3 개인에 기반한 예술론:조희룡=252,265,7

3-1 이념의 절대성에 대한 회의와 개인의 강화=258,271,1

(가) 이념의 절대성에 대한 회의=258,271,5

(나) 개인의 강화=262,275,5

3-2 개인을 향한 예술=266,279,1

(가) '사의(寫意)'의 변화:언표불가능한 영역의 확대와 세속적 개인의 긍정=266,279,6

(나) 전통의 축소와 자연의 확대=271,284,7

(다) 예술의 목표:개인의 정화=277,290,4

제V장 맺음말=281,294,12

참고문헌=293,306,12

ABSTRACT=305,318,4

감사의 글=309,322,2